• 제목/요약/키워드: version

검색결과 8,562건 처리시간 0.029초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Sources of Sikuquanshuzongmoktiyao)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95-312
    • /
    • 2019
  • 이 논고는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의 분류와 종류의 조사 및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의 분류를 크게 국가본, 지방본, 개인본과 관원본 및 사회유통본의 5종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내부본과 칙찬본 등은 국가본으로 분류하고 각 지방과 지역의 각성채진본을 지방본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가장본(家藏本)으로 명명하여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던 개인본과 관원본은 전자는 성명(省名)과 장서가의 이름으로 조합된 경우, 후자는 관직명과 성명으로 조합한 경우로 분류하였다. 넷째, 사회유통본은 당시 사회에서 유통되던 통행본 외에 구입본을 포함하였다. 다섯째, "사고전서"에 채록된 문헌은 전국적 규모이며, 문헌수는 지방본, 국가본, 개인본, 관원본, 사회유통본의 순으로 많음을 밝혔다. 여섯째, 1) 관원본의 관직명, 2) 개인본 중의 상호명, 3) 방각본 대신 통행본 명칭을 취하고 있는 점을 통해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 명명에 다소 명분을 중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p-Version 유한요소법에 의한 형상 최적화설계 (Shape Optimal Design by P-version of Finite Element Method)

  • 김행준;우광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29-740
    • /
    • 1994
  • h-version 유한요소법에 근거를 둔 형상최적화 설계에서는 초기모델의 기하형상에 대한 이상적인 체눈설계가 최종해석시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최적화의 반복단계마다 모델의 단변형상에 대한 새로운 체눈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p-version 유한요소법은 형상최적화 문제 해석을 위한 매우 매력적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p-version 유한요소법은 h-version 유한요소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큰 장점을 갖고 있다. 첫째로, 보간함수의 차수가 3차이상이 되면 요소의 찌그러진 형상에 대한 유한요소 해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로, 심지어 응력특이 문제도 h-version에 비해 p-version은 적절한 체눈설계를 하게되면 훨씬 효율적이다. 셋째로, 초지 체눈설계와 최종 체눈설계가 동일하므로 반복단계마다 새롭게 체눈설계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Bezier의 곡선보간법, 경사투사법과 적분형 르장드르 다항식에 기초를 둔 2차원 형상최적화를 위한 p-version 모델이 제시되었다. 수치해석 경과는 p-version 소프트웨어인 RASN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 PDF

DNA 분자를 이용한 Version Space 학습 (Version Space Learning with DNA Molecules)

  • 임희웅;장해만;채영규;유석인;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361-363
    • /
    • 2002
  • Version space는 목표 개념이 속성 값에 대한 제한조건의 연언(conjunction)으로 표현될 수 있는 귀납적 개념학습에서 가설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Version space의 크기는 속성 값의 수에 대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우리는 DNA 분자를 이용하여 version space를 표현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version space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 연산과, 이를 DNA 분자를 이용하는 구현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DNA 분자로 표현된 version space를 활용하여 새로운 example에 대한 분류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P-Version 유한요소법

  • 우광성
    • 전산구조공학
    • /
    • 제2권4호
    • /
    • pp.15-20
    • /
    • 1989
  • 이글에서는 2가지 예제를 통해 h-version과 p-version의 비교를 살펴보면서 p-version 해석이 h-version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신뢰도, 정확도, 효율성, 경제성, 용장성 등 측면에서 우월함을 증명해 보였다. 특히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일어나는 crack-tips, cut-outs, reentrant corners, presence of stiffners, mixed boundary conditions 등 많은 특이성(singularity) 문제에 더욱 적합함을 본 예제 외의 발표된 많은 논문들을 통해 알 수 있으며, 모델링의 단순성에 기인하여 사용이 매우 쉽다는 것도 무엇보다 큰 이점이라 하겠다. p-version은 h-version의 비효율성을 차수 p를 1, 2 또는 3으로 줄인 후 이 값을 고정시키고 다시 요소분할을 통해 진해(true solution)에 접근시키는 방식을 위하면 다시 종래의 h-version으로 환원되는 호환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고로 구조해석에서 h-p version이 가장 이상적인 유한요소해석 방법이라 할 수 있겠는데, 다시 말하면 균열문제의 경우 균열선단(crack-tip)에서는 p-level을 높이고 (p=8, 9 or 10) 비교적 응력집중이 낮은 영역에서는 p-level을 낮춤으로써 (p=3, 4 or 5) 그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겠다.

  • PDF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WHODAS 2.0 (36-Item Version): Reliability and Linking to ICF

  • Song, Ju Min;Lee, Hae J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0권6호
    • /
    • pp.246-25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 a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the WHO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WHODAS) 2.0: 36-item version. Methods: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process of transl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of an instrument was us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WHODAS 2.0: 36-item version. Linking each item in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ensure the concepts in the translated instrument were compatible with ICF. All translated versions of the instrument, linking results and feedback from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final adapt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strument. The Korean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assessed twice on different occasions to examine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calculated. Results: Twelve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and linking process. Ninety-five volunte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ifty participants completed the self-rated version of the instrument and 45 finished the interviewer version. The Korean WHODAS 2.0: 36-item version was found to have excellent reliability: self-rated version and interviewer version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ICC=0.92 and ICC=0.94, respectively. Thirty-four items of the translated instrument were to be linked to ICF categories. Some adaptation was made; details and a familiar example were added to help respondents answer the question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daptation of the 36-item version of WHODAS 2.0 to Korean was successful and the instrument is ready for use in testing its psychometric properties.

초유한 보간법에 의한 p-version 유한요소해법 (Transfinite Interpolation Technique for P-Version of F.E.M.)

  • 우광성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1호
    • /
    • pp.75-82
    • /
    • 1992
  • h-version 유한요소에서 평활 곡선경계는 충분한 갯수의 직선경계에 의해 근사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곡선경계가 충분하지 않은 갯수의 직선변을 갖는 다각형요소, 또는 곡선요소등에 의한 사상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해가 수렴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특히, 곡면에 수직방향의 응력은 다른 방향의 응력요소에 비해 수렴속도가 늦거나 틀린 해를 보여준다. 한편, p-version 유한요소는 사용되는 요소의 크기가 클 뿐아니라 변형되는 정도가 크므로 이러한 이산오차를 피하기 위해 초유한 보간기법에 제안되어 정확한 사상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경계는 물론 곡선경계에 초유한 사상을 h-version과 p-version에 적용하는 방법과 이에 필요한 초유한 보간자를 유도하여 세 문제의 예제를 통해 그 적용성과 우월성을 보이고자 한다.

  • PDF

인장력을 받는 균열판의 응력확대계수 산정을 위한 p-version균열모델 (P-version Crack Model for Comput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 of Cracked Panels Subjected to Membrane Forces)

  • 윤영필;우광성;박병기;신영식
    • 전산구조공학
    • /
    • 제6권4호
    • /
    • pp.57-66
    • /
    • 1993
  • 적분형 르장드르 다항식과 가상균열확장법을 사용한 p-version균열모델이 선형 탄성파괴력학에서 응력확대계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이 모델의 큰 장점은 소수의 요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재료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균열선단 부근에서 높은 정확도와 빠른 수검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두 가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형에너지의 정해인 극한치가 수검구간에 있는 연속된 3개의 p-version 유한요소 결과로 부터 확정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인장력을 받는 균열판 해석에서 p-version의 수검율은 균등 또는 유사균등 요소분할에 근거를 둔 h-version모델에 비해 거의 2배 가량 빠름을 알 수 있다.

  • PDF

『어약원방(御藥院方)』 이본(異本)에 대한 연구 - 「담음문(痰飮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Eoyakwonbang Based on the Phlegm-fluid Chapter)

  • 엄동명;송지청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16
    • /
    • 2018
  • Eoyakwonbang is a collection of prescriptions of Yuyaoyuan, an imperial medical bureau of China. While the first edition of this book does not exist at present, two versions printed in Korea, and one printed in Japan, which is the well-known Gyesasingan Eoyakwonbang have been passed down. Eoyakwonbang is a meaningful text for the history of medical communication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but research on the different versions and contents of Eoyakwonbang have been insufficient. Out of the 2 versions published in Korea, Eulheja Eoyakwonbang is different from Gapjinja Eoyakwonbang [another version in Korea] and Gwanjeong Eoyakwonbang of Japan, in that the prescriptions are organized, the ingredient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ch ingredient for each formula, and the amounts are recorded in an accurate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Gapjinja version has many mistakes in the characters and content. The Gwanjeong version has lesser mistakes in characters, but repeats the content error of the Gapjinja version. Eulheja was printed after correction based on the original version or unknown version from China. Gapjinja was re-printed based on the Gyesasingan version, while Gwanjeong seems to have used the Gapjinja version as its original script, as the mistakes made in the Gapjinja version are repeated in the Gwanjeong version as well.

웹문서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버전 제어 (Ontology Version Control for Web Document Search)

  • 김병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9-48
    • /
    • 2013
  • Ontology has an important role in semantic web to construct and query semantic data. When system make changes to ontologies, questions arise about versioning of these changes. Applying this changes on a dynamic environment is even more important. To apply these changes, change specification method is needed. Early studies show RDF-based syntax for the operations between old and new ontologies. When several ontology versions can be used for some query, if possible, using possible newest version ontology with prospective use is best way to process the query. Prospective use of ontology means using a newer version of an ontology with a data source that conforms to a more recent ontology. In this paper, for prospective use of ontology version, structure of change specification of class and property through several ontology versions is proposed. From this, efficient adaptive ontology version selection for a query can be possible. Algorithm for structure of version transition representation is proposed and simulation results show possible newest version number for queries.

한국어판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 소아 섬망 사정 도구의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

  • 남송이;박기영;최수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4-26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 (CAPD). Methods: For testing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this study calculated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and the Interrater Correlation Coefficient (ICC) by comparing the independent assessment results of three nurses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Fo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the assessment resul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compared with that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V (DSM-V).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analysis was used for measuring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Overall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ICC was .98 (95% CI .96~.99). Cronbach's α was .91 for eight items. The concordance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and psychiatrist's diagnosis was 90.0%. When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has the cut point of 9, sensitivity was 93.8%, and specificity was 75.0%. The area under the curve indicated by the ROC analysis was .88.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APD show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tool will be useful for pediatric delirium screening and management in Korean PIC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