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transfer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6초

실시간 비디오 스타일 전이 기법에 관한 연구 (Real-time Style Transfer for Video)

  • 서상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4호
    • /
    • pp.63-68
    • /
    • 2016
  • 텍스처전이(Texture Transfer) 기법은 타겟영상의 고주파 성분인 텍스쳐를 소스영상에 적용시키는 영상처리 방법이다. 이 텍스쳐 전이기법은 입력 영상에 표현되고 있는 질감 등의 스타일을 대상 영상에 전이시키는데 사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텍스쳐 전이기법을 비디오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동영상에 적용시키기 위한 실시간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텍스쳐 전이기법에 사용되는 커널의 모양을 변경하여 병렬화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동영상 적용 시 발생하는 시간적 일관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 프레임 영상의 다중해상도를 사용한 광류측정법을 제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비디오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적응적 전송 미들웨어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daptive Transmission Middleware for Video Streaming)

  • 김영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637-644
    • /
    • 2004
  • 본 논문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의 유동적인 환경 변화와 전송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적응적 전송 미들웨어를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적응적 전송 미들웨어는 SR-RTP 기반의 스트리밍 모듈과 TFRC 기반의 전송률 제어 모듈로 구성되며, SR-RTP 기반의 스트리밍 모듈은 패킷 손실에 의해 손실된 비디오 데이터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만을 선별적으로 재전송하여 패킷 재전송에 따른 전송 지연의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패킷 손실에 따른 에러를 크게 감소시킨다. TFRC 기반의 전송률 제어 모들은 TCP 기반의 데이터 전송과 정당하게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폭을 공유하면서 최적의 전송 대역폭을 산출하여 전송률을 제어함으로써 유동적으로 변하는 전송 대역폭에 적응적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률을 제어한다. 외부 인터넷 환경에서 적응적 전송 미들웨어를 적용하여 비디오 스트리밍을 실험하고 패킷 손실에 대한 복구 성능과 스트리밍 지터 정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적응적 전송 미들웨어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리밍 성능을 보였다.

모바일폰에서의 원격 영상 전송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te video transmit technique of mobile phone)

  • 정종근;김철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914-1919
    • /
    • 2006
  • 모바일에서의 영상전송의 문제점은 전송속도와 제어이다.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압축기법이 필요한데 압축을 위해서 H.263 코덱을 사용하였으며, 원격지에서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접속 사용자 수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통해 기존의 RF를 이용한 영상 전송시의 거리 제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최적의 영상과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실시간 영상전송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Real-Time Video Transfer System on Android Environment)

  • 이강훈;김동일;김대호;성명윤;이영길;정석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전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스마트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서버를 통해 원격지의 안드로이드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며, 실제 3G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결과 초당 16프레임까지의 영상을 끊김 없이 전송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활용할 경우 별도의 고가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마트 단말기의 내장 카메라만으로 실시간 방송이나 영상 채팅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arallel TCP 를 이용한 고속 HD 영상파일 전송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igh Speed Transfer System for HD Video Files using Parallel TCP)

  • 박형일;송병준;이정규;신용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23
    • /
    • 2013
  • 최근 방송사에서는 사용하는 고화질 제작용인 대용량 영상파일의 사이트간 전송을 위해 Public IP Network 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특히 장거리 Public IP Network 는 QoS 를 보장되지 않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전송성능이 저하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 디지털미디어의 대용량 HD 영상파일을 장거리 전송하는데 발생하는 성능 저하의 원인을 분석하고, 고속 파일전송을 위하여 Parallel TCP Application을 이용해서 다중세션으로 호스트간 Network 을 연결을 하는 방법을 통해서 Network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이용하는 구현 사례를 알아본다. 그리고 대용량 HD 영상파일의 고효율 고속 전송시스템을 방송사에서 사용한 결과를 실증하여 IP network 을 사용하는 효율적인 영상전송방식을 검증한다.

  • PDF

비디오 기반의 질감 전이 기법 (Texture Transfer Based on Video)

  • 콩푸팔라;이호창;윤경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406-407
    • /
    • 2012
  • Texture transfer is a NPR technique for expressing various styles according to source (reference) image. By late 2000s, there are many texture transfer researches. But video base researchers are not active. Moreover, they didn't use important feature like directional information which need to express detail characteristics of target. So, we propose a new method to generate texture transfer animation (using video) with directional effect for maintaining temporal coherence and controlling coherence direction of texture. For maintaining temporal coherence, we use optical flow and confidence map to adapt for occlusion/disocclusion boundaries. And we control direction of texture for taking structure of input. For expressing various texture effects according to different regions, we calculate gradient based on directional weight. With these techniques, our algorithm can make animation result that maintain temporal coherence and express directional texture effect. It i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ource and target image well. And our result can express various texture directions automatically.

Two-Strea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Video Action Recognition

  • Qiao, Han;Liu, Shuang;Xu, Qingzhen;Liu, Shouqiang;Yang, Wangg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0호
    • /
    • pp.3668-3684
    • /
    • 2021
  • Video action recognition is widely used in video surveillance, behavior detectio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dically assisted diagnosis and motion analysis. However, video action recognition can be disturbed by many factors, such as background, illumination and so on. Two-strea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es the video spatial and temporal models to train separately, and performs fusion at the output end. The multi segment Two-Strea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trains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video to extract their feature and fuse them, then determine the category of video action. Google Xception model and the transfer learning is adopted in this paper, and the Xception model which trained on ImageNet is used as the initial weight. It greatly overcomes the problem of model underfitting caused by insufficient video behavior dataset, and it can effectively reduce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 the video. This way also greatly improves the accuracy and reduces the training time. What's more, to make up for the shortage of dataset, the kinetics400 dataset was used for pre-training, which greatly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model. In this applied research, through continuous efforts, the expected goal is basically achieved, and according to the study and research, the design of the original dual-flow model is improved.

EBCOT를 이용한 다 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ulti-Channel Video Transfer System with EBCOT)

  • 추연학;김영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5-81
    • /
    • 2001
  • EBCOT(Embedded Block Coding with Optimized Truncation)는 현재 개발 중인 JPEG2000의 기본압축 코덱으로 본 논문에서는 EBCOT를 이용하여 하나의 압축 코덱에서 나온 이미지를 밴드 폭이 상이한 여러채널에 전송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동영상에 적용하여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EBCOT가 JPEG에 쓰이는 RLC와 Huffman Coding 통한 VLC보다 압축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실험적 결과를 통해 알 수 있고 JPEG에 적용할 경우 구조적으로 Paralleling의 증가와도 Error Resilience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MPEG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다 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을 MPEG으로 구현 할 때의 Rate-Control이 힘든 문제와 원하는 Bit-Rate마다 코덱이 각각 있어야 하는 문제점 을 EBCOT를 적용시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 PDF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Protocols and the Evaluation Metric for VIDEO Transmissions in an Ad Hoc Network

  • Chen, Ruey-Shin;Chao, Louis R.;Chen, Ching-Piao;Tsai, Chih-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10권1호
    • /
    • pp.115-126
    • /
    • 2009
  • Video transmission effectiveness in the Ad Hoc network is becoming important recently, if different routing protocols are applied. Some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 reactive protocols are better for file transfer protocol (FTP) and constant bit rate (CBR) o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ransmission in an Ad Hoc wireless network but the performance report of video transmission is not much. This study adopts Qualnet (Network Simulator) as a simulation tool for environmental designing and performance testing, and employs an experimental design with eight groups. Our experiment shows that: (1) The performance of AODV (reactive) protocol is better than DSDV, ZRP and DSR when the transmission load has only one video stream; (2) Proactive (DSDV) and Hybrid protocols (ZRP) are better for a smaller Ad Hoc network when it transmits a video stream with some applications (VoIP, FTP and CBR). We conclude that packet loss rate is sensitive to the quality of video transmission and it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value. In addition, our experiment also shows that PSNR is a simple Metric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video transmission.

MobileNetV3 전이학습 기반 스포츠 비디오 클립 추출 구현 (Implementation of Sports Video Clip Extraction Based on MobileNetV3 Transfer Learning)

  • 위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897-904
    • /
    • 2022
  • 스포츠 영상은 중요한 정보 자원에 속하여 있고 정확다가 높게 스포츠 영상 속에 유효 클립을 추출할 수 있어서 코치를 잘 보조하여 영상에서 선수들의 동작을 분석하며 사용자가 더 직관적으로 선수들의 타격 자세를 감상할 수 있다. 현재 스포츠 영상 클립 추출된 결과가 주관이 뚜렷하고 업무량이 많고 저효율 등 결함에 대해 MobileNetV3을 기반으로 스포츠 비디오 클립 분류 방법을 제시하였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하게 한다. 실험이 추출된 유효 클립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했으며 추출된 클립에서 유효적인 비율은 97.0%로 자지해서 유효 클립이 추출된 결과는 양호를 밝히는 동시 후속 배드민턴 동작의 원본 영상 데이터 집합의 구성을 위한 기초를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