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inten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보행보조로봇을 위한 다중 생체/역학 센서의 신호 분석 및 사용자 의도 감지 (Detection of Implicit Walking Intention for Walking-assistant Robot Based on Analysis of Bio/Kinesthetic Sensor Signals)

  • 장은혜;전병태;지수영;이재연;조영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94-301
    • /
    • 2010
  • In order to produce a convenient robot for the aged and the lower limb disabled, it is needed for the research detecting implicit walking intention and controlling robot by a user's inten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sensor module system to control the walking- assist robot using FSR sensor and tilt sensor, and analyzed the signals being acquired from two sensors. The sensor module system consisted of the assist device control unit, communication unit by wire/wirel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formation operation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PC which handles integrated processing of assist device control. The FSR sensors attached user's the palm and the soles of foot are sensing force/pressure signals from these areas and are used for detecting the walking intention and states. The tilt sensor acquires roll and pitch signal from area of vertebrae lumbales and reflects the pose of the upper limb. We could recognize the more detailed user's walking intention such as 'start walking', 'start of right or left foot forward', and 'stop walking' by the combination of FSR and tilt signals can recognize.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에 의한 보행 의도 감지 (Walking Intention Detection using Fusion of FSR and Tilt Sensor Signals)

  • 장은혜;전병태;이재연;지수영;강상승;조영조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41-448
    • /
    • 2010
  • 보행보조로봇은 고령화 사회에 노인 복지 및 중증 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이동을 도울 수 있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특히, 하지 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보조로봇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환자의 보행 의도를 내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환자 의지에 따라 로봇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보행 의도 감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먼저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을 통하여 3족 보행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분석하였다. 저항 센서는 사용자의 양쪽 손바닥과 발바닥에 각각 부착되어, 부착된 위치의 압력을 센싱하였다. 양쪽 손바닥의 신호는 보행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바닥의 신호는 보행 단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기울기 센서는 몸의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 요추에 부착되어 상체의 움직임(roll, pitch)을 센싱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가 지팡이를 바닥에 짚을 때 양 손바닥에서 측정되는 2개의 저항 신호만으로 기본적인 보행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나, 기울기 센서 정보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오른발 뻗기, 왼발 뻗기 등의 움직임을 시작하려는 상태 등에 대한 보행 의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저항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에 기반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할 수 있었다.

  • PDF

도보관광의 체험요소(4Es),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Walking Tour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김승리;인옥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9-107
    • /
    • 2014
  • 최근관광에도 여러 가지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보고, 즐기는 도보관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보관광지 체험과 도보관광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차후 지자체의 도보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실증분석을 위해 북한산 둘레길을 방문하는 도보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250부에 대해 SPSS 18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AMOS 7.0을 활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모형검증(Model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ine과 Gilmore(1998)의 개념적 연구의 4가지(오락, 교육, 심미, 일탈) 요소 중 심미적 체험요소와 일탈적 체험요소가 도보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재방문 의사에 대한 만족도의 영향은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매우 강한 인과관계를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는 도보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여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심미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의 질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Unmanned Technology Research Center Exoskeleton Implementing the Precedence Walking Assistance Mechanism

  • Cha, Dowan;Oh, Sung Nam;Lee, Hee Hwan;Kim, Kyung-Soo;Kim, Kab Il;Kim, Sooh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2376-2383
    • /
    • 2015
  • Assistance of the operator’s walking ability while carrying a load is a challenging area in lower limb exoskeletons. We implement an exoskeleton called the Unmanned Technology Research Center Exoskeleton (UTRCEXO), which enables the operator to walk with a load more comfortably. The UTRCEXO makes use of two types of DC motor to assist the hip and knee joints. The UTRCEXO detects the operator’s walking intention including step initiation with insole-type FSRs faster without using any bio-signals and precedes the operator’s step with a reference torque. It not only reduces interaction forces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UTRCEXO, but also allows the operator to walk with a load more comfortabl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UTRCEXO implementing the walking assistance mechanism with interaction force reduction during walking.

EMG-based Hybrid Assistive Leg for Walking Aid using Feedforward Controller

  • Kawamoto, Hiroaki;Sankai, Yoshiyuk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32.2-32
    • /
    • 2001
  • We have developed the power assistive leg called HAL (Hybrid Assistive Leg) which provide the walking aid for walking disorder persons or aged persons without nursing person. We developed HAL-3 by considering some problems of HAL-1,2 which had developed previously. The mechanism of HAL-3 actuator could be simplified and sophisticated by using the harmonic drive. As the control signal of HAL-3 EMG signal was used. We proposed a calibration method to identify parameters which relates the EMG to joint torque by using HAL-3. We could obtain suitable torque estimated by EMG and realize power assist in walking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To the remove discomfort for quick motion power assist, the feedforward controller was installed at the beginning of motion ...

  • PDF

지능적 족형 보행 재활 보조 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Legged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 김현;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9호
    • /
    • pp.825-83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하지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사용하는 크러치에 로봇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타입의 착용식 족형 보행 재활 로봇에 대해 서술하였다. 개발된 로봇의 주된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 착용 방식의 특징으로서, 팔꿈치에 착용하여 환자를 보조하는 엘보 크러치와 달리 환자의 가슴부에 족형 로봇을 착용함으로써 보행 시 넓은 가슴 면적으로부터 하중을 분산시키고 팔에 작용하는 집중 하중을 제거하였으며, 팔과 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였다. 두 번째,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족형 로봇의 발에 부착된 3축 힘센서를 이용하여 지면 반발력의 크기와 방향으로부터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이에 따라 가슴 착용형 로봇을 보행시켰다. 마지막으로, 계단 보행을 위한 근력 강화 방법으로서, 둔턱을 오르내리는 근력 훈련이 가능하도록 바닥 높낮이에 따라 상하 운동 궤적이 변화할 수 있는 둔턱 보행 기능을 구현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로봇이 보행 의도를 인지하고 로봇 다리로부터 보행 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하지 근전도 측정을 통하여 보행 시 로봇이 하지 근력을 보조하는 성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Intelligent robotic walker with actively controlled human interaction

  • Weon, Ihn-Sik;Lee, Soon-Geul
    • ETRI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522-530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obotic walker that actively controls its speed and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r's gait intention. Sensor fusion between a low-cost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and inertia measurement units (IMUs) helps determine the user's gait intention. The LiDAR determines the walking direction by detecting both knees, and the IMUs attached on each foot obtain the angular rate of the gait. The user's gait intention is given as the directional angle and the speed of movement. The two motors in the robotic walker are controlled with these two variables, which represent the user's gait intention. The estimated direction angle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a Kinect sensor that detects the centroid trajectory of both the user's feet. We validated the robotic walker with an experiment by controlling it using the estimated gait intention.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의 금연의도와 관련 요인: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Korean Adult Smokers: Using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문성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78-190
    • /
    • 2017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Korean people's intention to quit smoking. Methods: The subjects were 851 men and 145 women, aged 19 or mor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categorized as "within 6 months," "after 6 months," or "no intention". The associations of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with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were examined in a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male smokers, the number of diseases, perceived somatotype, vigorous intensity leisure activity, aerobic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intens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female somkers, the economic status, number of diseases, walking activity, and moderate intensity leisur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ion: To increase male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moking is harmful to. Moreover,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low-educated female smokers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quit smoking.

남자 흡연자의 금연의도 관련 요인: 호남지역 13개 지역 2010 지역사회 건강조사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Male Smokers in 13 Communities in Honam region of Korea: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 류소연;신준호;강명근;박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5-85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male adult smokers in 13 communities of Korea. Methods: Data from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CHS) in 13 communities of Honam region, Korea, were analyzed. Multiple logis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lected factors on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male smokers. Results: Residential area, smoking amounts per day, exposure to secondhand smoking, past attempts to quit, walking activity, brushing teeth after lunch, and stres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income were not associated. Conclusions: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provides possibilities for shaping effective policie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smoking cessation in Korea.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보행보조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Walking Assistive Robot Using Stereo Cameras)

  • 박민종;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8호
    • /
    • pp.837-84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보행이 불편한 노인들의 효과적인 자가 재활을 위한 보행 보조 로봇의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발된 로봇의 주요 특징은 크게 유아보행기 및 전동휠체어 메커니즘을 융합한 안전성 및 운동성향상과 가변저항 및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정확한 보행 추종 제어 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보행기의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 넘어지는 사고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다리근육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골반지지대를 설계하였으며, 전동휠체어와 같이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골반지지대에 부착된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도 및 방향을 로봇이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사용자를 추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하체모션분석 알고리즘으로부터 추종 반응속도와 정확성을 한층 높였다. 최종적으로, 단계적인 보행 보조 실험을 통해 개발된 로봇의 사용자 보행 추종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