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record servic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패싯 기반 디렉토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 (Improving the Access Service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cusing on Facet Directory Service)

  • 정미옥;최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7-234
    • /
    • 2019
  •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민간의 기록물을 관리·보존할 수 있게 하고 기록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관한 정보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로 분산되어 있다. 둘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관한 정보가 컬렉션 수준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컬렉션 이하 수준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정보를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서 단일화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내용과 주제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다각적인 주제와 내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가지정기록물의 주제 디렉토리와 워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안했다.

Web Service 기반의 휴대용 건강 요약지 보고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reporting system for continuity of care document based on web service)

  • 김종욱;전소혜;임청묵;박선영;김남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402-404
    • /
    • 2009
  • The developmen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enables people to access, view and acquire personal health record. But still, there have been a number of obstacles such as the absence of the standard to realize the ideal Personal Health Record(PHR) system.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service model that serves periodic Health Record Summary which is made by a medical specialist to people who are in the busy lives. Healthcare data from EMR in a hospital including people generate themselves at home is sent to a physician to make a medical opinion, and then it is changed into Health Level 7 Continuity of Care Document(CCD) format for interoperability. After a physician writes his opinion about patient's health condition, it will send to people by email. People who receive the health record summary data by email can save them into a USB device to view own PHR and medical comments of a physician through a computer. It will help people managing their own health condition with an opinion of a medical specialist.

  • PDF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User Satisfaction of 'The Presidential Web Records Service')

  • 최재혁;김희섭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7-98
    • /
    • 2009
  •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검증과정에서 나타난 웹기록 서비스의 문제점 지적 및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 이용자만족의 네 가지 기본적인 차원과 이용자충성도와 이용자불평의 두 가지 부가적인 차원으로 구성된 정보시스템 평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 만족도가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들의 계속적인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 이용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cord Retrieval System based on Topic Map)

  • 권창호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57-102
    • /
    • 2009
  • 최근,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의 유통과 이용이 증가하고, 정보적 활용 가치가 제고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가 기록관의 중요업무로 부각되고 있다.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서 비스의 핵심은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검색시스템의 기본 메커니즘인 이용자질의와 기록정보표현의 매칭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 관리자들은 다양한 정보표현 도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여전히 정보검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는 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정보자원을 구조화하여 이용자 질의의 접근점을 확장하고, 의미있는 매칭을 통해 지식자원화된 검색결과값을 제공하기 위해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구축대상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불특정 이용자이며, 구축범위는 국가기록포탈의 기록자원 중 대통령 기록물로 선정하였다. 구축단계는 다음과 같다. 1)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설계한다. 2)설계한 온톨로지 모델을 바탕으로 국가기록포탈에서 추출한 정보자원목록을 에디터를 이용해 토픽맵으로 반입하여 검색시스템으로 구현한다. 3)구축된 검색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테스트질의를 통해 토픽맵기반 검색시스템의 특징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의미적 추론에 의한 연관 네비게이션검색을 확인하고, 분산된 기록정보자원 간의 연계된 결과값을 통해 지식자원화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WEB-BASED SERVICE REQUEST & FEEDBCK SYSTEM: THE LIFE CYCLE MANAGEMENT AS CONTINUOUS CUSTOMIZATION OF FACILITY INFORMATION

  • Jinsu Jeong;Kwang Jun Lee;Valerian Mirand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836-840
    • /
    • 2005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Web technology as a means of delivering facility information for better support facility operation and maintenance. Our research proposes a Web-based feedback system as a pragmatic solution to the limitations of current FM (Facility Management) processes. In practice work orders and records are often misplaced resulting in lower efficienc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is may be overcome by a system that states information digitally and provides a Web-based interface. The interface could allow customers to report facility problems, trace their work order in progress, view schedules for maintenance and provide feedback for service online. The benefit for a FM department is that it can receive feedback on performance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and build a record of practical experiences.

  • PDF

Redis를 활용한 Web Service 성능 향상 (Web Service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the Redis)

  • 김철호;박경원;최용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064-2072
    • /
    • 2015
  • 대부분의 Web Service는 성능 개선을 위해 사용자 접속 로그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생성된 접속 로그를 통해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와 어떤 Resource가 많이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로그 분석을 통해 Web Service의 성능 측정 및 개선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많은 공공부문 Web Service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에 접속량이 증가할 때, 처리 할 사용자 접속 로그 수 증가로 인해 Web Service의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튜닝을 필요로 하지만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의 접속이 줄어들게 되어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접속 로그 처리의 성능을 개선을 통한 Web Service의 성능개선을 제안한다. 또한, 최근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Redis를 활용하여 NoSQL을 일부 적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웹애널리틱스를 이용한 아카이브 이용자 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analysing the users of archives through web analytics)

  • 이효은;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45호
    • /
    • pp.83-120
    • /
    • 2015
  • 기록정보서비스는 이용자들의 행태를 관찰하고 그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기록정보에 연결하고 안내해주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그러나 국내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인정하지만 구체적인 사례나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고 있다. 웹의 대중화와 알 권리의 확산으로 웹기록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록관리기관에서는 실무 현장에서의 인식이 부족하고 인력과 예산의 불충분으로 웹로그분석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 담당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주면서 예산이 부족한 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는 분석 도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웹애널리틱스는 사이트에 방문한 웹이용자가 남긴 웹로그를 분석하여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구글애널리틱스는 무료로 다양한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있어 전 세계 많은 인구가 이미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애널리틱스를 중심으로 웹애널리틱스를 소개하고 이를 실제 기관에 도입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웹이용자 세분화와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문인식 기반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접근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ess control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백종현;이용준;염흥렬;오해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27-133
    • /
    • 2009
  • The pre-existing medical treatment was done in pers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computerizing medical history of patients has been proceed and has raised concerns in terms of violation of human right for private information. Which integ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ing patients' personal details as well as "Medical records" such as the medical history of patients and computerizes all the records processed in hospital. Therefore, all medical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from misuse and abuse since it is very important for every patient. Particularly the right to privacy of medical record for each patient should be surely secured. Medical record means what doctors put down during the medical examination of patients. In this paper, we applies fingerprint identification to EMR system login to raise the quality of personal identification when user access to EMR System. The system implemented in this paper consists of embedded module to carry out fingerprint identification, web server and web site. Existing carries out it in client. And the confidence of hospital service is improved because login is forbidden without fingerprint identification success.

정보자원의 개방과 연계를 위한 SRU, SRU Record Update 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SRU & SRU Record Update Protocol for Openness and Linkage of Resources)

  • 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7-336
    • /
    • 2009
  • 다양한 가상공간에 산재하는 많은 분산자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는 분산 정보자원 검색과 갱신을 위한 SRU, SRU Record Update 프로토콜의 개발 배경, 기능, 구성 요소 등을 살펴봄으로 새로운 표준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프로토콜과의 비교 및 실제 구현 사례 등을 통하여 자관의 정보자원을 외부에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외부 정보자원을 적절히 활용하려는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 기관들에게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 PDF

메쉬업(Mashup) 측량기준점관리체계에 관한연구 (Surveying Controlpoint Management by Mashup Web Map)

  • 차득기;양철수;이인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175
    • /
    • 2010
  • The Internet map service is word-wide trend and suggest to build up surveying control point management by mashup and API functions. In traditionally many surveyor used the record book. The result of mashup with cadastral control point and Web's map services as Daum and Google map was well matched which is transformed common points and should be useful manage the it and field recogn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