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ning raw materia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Thrichoderma atroviride 배양액의 tyrosinase 억제제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Tyrosinase by Metabolites Originating from Thrichoderma atroviride)

  • 강동우;김규민;김예성;서유진;송다영;오다윤;최시온;황주현;김삼웅;방규호;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7-51
    • /
    • 2021
  • 현대인에게 미백화장품은 미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균류는 미백에 연관된 다양한 물질대사산물을 생산한다. 본 연구에서 미백기능성 화장품에 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Trichoderma atroviride 배양액에 물질대사산물에 의한 tyrosinase inhibitors를 조사하였다. 또한, 억제 효과는 식의약안전처에 미백화장품 원료로 승인된 알부틴과 비교하였다. T. atroviride 배양액에 물질대사산물은 알부틴의 활성보다 높은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보였다. T. atroviride 배양액에 포함된 tyrosinase inhibitors 중 일부는 열에 안정한 반면에, 일부는 열에 불안정하였다. 본 물질들은 약산성~중성 pH 영역에서는 안정하였지만, 그 외 영역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였다. Proteinase K에 의해 활성 영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inhibitor들은 대부분 물질대사산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T. atroviride 배양액에 물질대사산물은 미백화장품 소재로써 잠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제의된다.

항산화 및 미백화장품 원료로서의 땅콩새싹 추출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anut Spouts Extract a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Skin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 윤미연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14-19
    • /
    • 201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anut sprout extract on skin care, we measured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examine independent anti-oxid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there was strongly scavenging activity. Fluorescent material DCF-DA was used to measure hydrogen peroxide created in RAW 264.7 cells, and all concentration dependently decreased ROS produc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nitric oxide to examine anti-inflamm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there was strongly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yrosinase activation was found to inhibited dose-dependant. Melanin production was also prevented dose-dependan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in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ginseng complex as a cosmetic material)

  • 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mu}g/mL$에서 36.8%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mu}g/mL$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tudy on the promotion of inflammation and whitening of natural materials using bioconversion technology

  • Lee, Se-Won;Lim, Jeong-Muk;Lee, Seong-Hyeon;Lee, Jeong-Ho;Oh, Byung-Tea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2018
  • Bioconversion, the enzymatic process by microorganism on organic precursor to desired products. The natural extract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easily absorbed into the skin, while scaling up of to higher quantity is possible. Selection of naturally processed raw material rather than chemically processed is preferred. Therefore,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by mixing Rubus coreanus Miquel, soybean, Zanthoxylum schinifolium as bioconverting materials, the possibility of inflammation, whitening material were checked. In this study, useful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various salted fish, and 16S rDNA sequence was analyzed to confirm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Combining the three natural materials using bioconversion technology to study their activit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ere examined. Raw 264.7 cells were used to evaluate MTT assay, NO and $TNF-{\alpha}$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lso, to evaluate the whiten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B16F10 cells. In total 34 strains were obtained from various salted fish. The effective strains useful for the bioconversion process, showed tha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polyphenol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two kinds of microbial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16S rDNA sequencing analysis of the strains showed excellent in Pediococcus pentosaceus B1 in comparison. An increase of up-to 156%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141% in polyphenol content was observed after bioconversion. In addition, after mixed fermentation the toxidty of Raw 264.7 and B16F10 cells tended to decrease and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well. Also,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ignificantly. synthesis decreased significantly.

  • PD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and their Whitening Activities

  • Roh, Hyun Jung;Noh, Hye-Ji;Na, Chun Su;Kim, Chung Sub;Kim, Ki Hyun;Hong, Cheol Yi;Lee, Kang R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3호
    • /
    • pp.283-289
    • /
    • 2015
  • The half-dried leave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SPE) and partitioned with n-hexane (SPEH), dichloromethane (SPED), and ethyl acetate (SPEE) successively. SPE and SPEE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against melanogenesis and tyrosinase activities. By bioassay-guided isolation, t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from SPEE. The whitening effect of the isolated compounds from SPEE were tested for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elanogenesis using B16 melanoma cells, in vitro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L-3,4-dihydorxy-indole-2-carboxylic acid (L-DOPA) auto-oxidation assay. A cytotoxic activity assay was done to examine the cellular toxicity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Of the compounds isolated, gallic acid and quercetin reveal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elanogenesis compared to arbutin. In particular, quercetin exhibited simila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and L-DOPA oxidation without cy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PE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skin-whitening material in cosmetics as well as in food products.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증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richosanthis Cucumeroidis Radix Extract)

  • 유선희;이은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0-5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항염증 활성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와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쥐참외뿌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멜라닌 세포인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통한 미백 활성 효과, 대식 세포인 RAW 264.7 세포에 대한 NO 생성 억제능을 통한 항염증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쥐참외뿌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슷한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확인되었다. 100 nM 𝛼-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과 LPS 1 ㎍/mL로 유도된 NO 생성 억제능을 유의하게 억제 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쥐참외뿌리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항염증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이 사료되어 진다.

Inhibitory effects of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on tyrosinase in IBMX-induced B16F10 melanoma cells

  • Jang, Tae-Won;Choi, Ji-Soo;Mun, Jeong-Yun;Im, Jong-Yun;Nam, Su-Hwan;Kim, Do-Wan;Lee, Seung-Hyu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2019
  •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TRG) is a Korean endemic plant, and it is widely used for edible, medicinal, landscape material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MITF, tyrosinase, TRP-1 and TRP-2 by TRG extract (TRGE) in IBMX-treated melanocyte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RG as a whitening material. IBMX were reported as melanin synthesis enhancers. It could increase intracellular melanin synthesis by activation of th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signaling pathway. TRGE did not show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below $100{\mu}g/ml$ in B16F10 cells. TREG dose-dependently inhibited protein and mRNA levels of MITF, tyrosinase, TRP-1 and TRP-2. Therefore, we suggest that TRGE is an important natural resource for cosmetic raw materials for whitening function.

  • PDF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김일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7
    • /
    • 2020
  •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mL 농도에서 81%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 방법에 따른 비파엽 추출물의 미백 및 항염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박정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비파엽 추출물을 제조하고 효소 및 세포 활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평가는 tyrosinase 측정법을 이용한 미백 효능, NO 측정법을 이용한 항염 효능에 대한 활성등을 분석하였다. 미백 효능 관련 tyrosinase 활성 저해는 10% 농도의 비파엽 초임계 추출물에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효능 관련 NO 활성 저해 분석 결과, 초임계 추출물, 에탄올 환류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순서로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 5% 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효능 관련 멜라닌 생성 저해는 5% 처리 농도에서 30%,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이 강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제조를 통한 우수한 항염 효능 및 미백 효능 관련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용 자료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산 식물 3종과 조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활성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effect as a cosmetic material using 3 kinds of domestic plants and combination oil)

  • 정숙희;정희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03-313
    • /
    • 2022
  • 본 연구는 장흥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한 총 3가지 식물을 수증기 증류 추출(편백, 석창포, 라벤더)을 통해 얻은 각 천연 에센셜 오일에 대한 GC-MSD 향기 성분 분석 후 추출된 오일들과 시판 오일(클라리세이지, 시나몬, 프랑킨센스)을 조합하여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 미백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 편백 오일의 주요 성분으로는 Sabinene, 석창포 오일은 Asarone, 라벤더 오일은 L-Linalool이 동정되었다. 6종 에센셜 조합 오일의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100 𝜇L/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은 27.76% 억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9.69%,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4.66%,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55.9%를 보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