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orchid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Plant Genetic Resources in Lam Dong province - Vietnam : Brief in medicine plants and wild orchids situation

  • Ket, Nguyen Van;Cho, Joon-Hy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71-583
    • /
    • 2009
  • Lam Dong Province of Vietnam has an exceptional diversity of orchids and herbs. At least 920 herb species are widely mentioned in Vietnamese traditional medicinal literature and over 239 Lam Dong wild orchid species are used for attention under the Conservation Vietnamese wild orchids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Department of Plant Biotechnology, Dongguk University - South Korea working under supported ODA funds from Korea government (MIFAFF), we will consider how to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plants in situ or conservating in vitro as a genetic resource.

한반도 야생란의 분포 및 보호 대상 식물 (Distributions and Red Dat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진실;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5-360
    • /
    • 2006
  • 표본에 근거하여 한반도 야생란 88분류군에 대한 분포를 조사하고, 각 분류군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한반도내 8개 식물 분포 아구에 분포하는 야생란의 분류군 수는 다음과 같았다; 갑산아구 27분류군, 관북아구 21분류군, 관서아구 13분류군, 중부아구 37분류군, 남부아구 39분류군, 남해안아구 33분류군, 제주도아구 64분류군, 울릉도아구 19분류군. 한반도 야생란의 72.7%가 제주도에 자라는데, 이 중 18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한다. 한반도 야생란 중 30분류군은 상록활엽수림대에 자라며, 16분류군은 북부지역이나 고산에 분포하는 북방계 요소였다. 분포 조사를 기초로, 한반도 야생란을 국내에서 변형한 IUCN 적색 목록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절멸종(EX) 또는 야생에서의 절멸종(EW)에 속하는 난초과 식물은 한반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위급종(CR)에 속하는 분류군은 Cymbidium kanran(한란), C. lancifolium(죽백란), C. ensifolium(소란), Cypripedium japonicum(광릉요강꽃), Cyrtosia septentrionalis(으름난초), Dendrobium moniliforme(석곡), Habenaria chejuensis(제주방울란), H. radiata(해오라비난초), Neofinetia falcata(풍란), Sedirea japonica(나도풍란) 10분류군이었는데, 이 중 소란과 제주방울란은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CR 범주로 기록되었다. 한편,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것은 22분류군으로, 이 중 Gastrochilus japonicum(탐라난), G. fuscopunctatus(금자란), Gastrodia verrucosa(한라천마), Habenaria flagellifera(방울난초),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씨눈난초), Chamaegastrodia sikokiana(애기천마), Lecanorchis kiusiana(제주무엽란), Neottia hypocastanoptica(한라새둥지란), Tipularia japonica(비비추난초)가 이번 연구에서 최초로 EN 범주에 포함되었다.

A Review of Orchid Mycorrhizae in Korea

  • Lee, Sang-S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169-178
    • /
    • 2002
  • Orchids are evolutionally known to be the most advanced plants in the order Liliales, and comprise approximately 1,000 genera and 35,000 species world-wide. In Korea, more than 110 species of Orchidaceae have been reported to be cultivated or to be collected in the wild. Orchids aye mostly dependant on orchid mycorrhizae(OM) throughout or in part of their life cycle. The OM endomycorrhizae belonging to basidiomycetes or rarley ascomycetes are needed for orchid seed germination. Various fungi, including plant pathogenic, antagonistic and symbio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orchid native to Korea. The OM fungi collected from the roots of Cymbidium goeringii were three species of Rhizoctonia namely, R. repens (anamorph state of Tulsanella repens), R. endophytica (Ceratobasidium cornigerum), and an unidentified species (possibly an anamorph of T. calospora). These symbiotic fungi induced peloton in the cortical cells of orchid roots, and differed biologically and in 18s rDNA sequences from plant pathogenic Rhizoctonia species. Also, the mycorrhyzal fungi enhanced the orchid root absorption of nitrogen sources and minerals from the soil. The activity of mycorrhizal fungal hyphae in the roots caused prevention from pathogenic fungi. In nature, the peloton is observed in the cortical cells of Cymbidium goeriingii roots, indicating mycorrhizal colonization in the native orchid roots. On the other hand, pathogenic fungi such as Fusarium and/or Rhizoctonia species are mostly isolated from commercial orchid plants. These suggest that application of symbiotic mycorrhizal fungi should be needed for orchid cultivation in nurseries and at the time of transplant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ymbiotic Fungi Associated with the Seed Germination of Gastrodia elata

  • Hong, In-Pyo;Kim, Han-Kyoung;Park, Jeong-Sik;Kim, Gwang-Po;Lee, Min-Woong;Guo, Shun-Xing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22-26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seeds germination of Gastrodia elata using symbiotic fungi. Since seeds of G. elata are very small and lack an endosperm and other nutrients, their germination is difficult without requirement for external nutrients. Out of twenty six isolates collected from protocorms of G. elata and roots of native orchids inhabited in wild, two strains(H-2 and H-21) were observed to stimulate the seed germination of G. elata. The seed germination of G. elates was excellent on oak tree leaves medium. The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symbiotic fungi were $25^{\circ}C$ and pH 6.0,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of H-2 strain was excellent on YMA medium, while H-21 was poor on PDA medium. In case of carbon sources, the mycelial growth of H-2 and H-21 was good on media supplemented with glucose and dextrin, respectively. Calcium nitrate was good for mycelial growth of H-2 strain as a nitrogen sources, whereas urea was effective to H-21 strain.

새우난초와 해오라비난초 종자의 기내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 of culture Media on Asymbiotic Seed Germination and Those Seedling Growth of Calanthe discolor and Habenaria radiata)

  • 정미영;정재동;지선옥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4
    • /
    • 1998
  • 우리나라 야생란 중 원예적 개발가치가 인정되나 대량 증식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원예종으로 보급이 미흡한 새우난초 및 해오라비난초를 중심으로 종자의 기내발아와 유묘의 생장촉진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우난초의 발아 및 유묘 생장은 파종전 초음파를 30분간 처리한 후 MS배지에 파종하여 얻은 유묘를 H$_3$P$_4$배지에 이식하여 육묘했을 때 가장 적합하였다. 해오라비난초는 종자를 H$_3$P$_2$배지에 파종하여 형성된 구근을 H$_3$P$_1$ 배지에 이식하여 맹아시킨 후 H$_1$P$_2$배지에 옮겨 배양했을 때 우량종구의 기내생산이 가능하였다.

  • PDF

베트남 람동성의 농업현황 및 한-벳 ODA 농업협력사업 전략 (Agricultural Status of Lam Dong Province in Vietnam and the Strategy for Korea-Vietnam ODA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 in Agriculture)

  • 조준형;장혜리;임종민;이석영;김완석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65-474
    • /
    • 2011
  • 베트남의 중앙고원 농업생태지역에 속하는 람동성 달랏의 농업환경은 다른 저지대 농업 환경과는 매우 다르다. 산림지대인 람동성은 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람동성은 다년생작물의 경작지가 가장 많으나, 일년생작물만을 놓고 보면 신선채소류의 경작지와 생산량이 람동성 전체의 38%(36,552ha)와 72%(993,082MT)로 가장 높다. 특히 행정도시인 달랏의 경우 베트남 경제특구인 호치민과 가까워 비교적 소득이 높은 양배추와 배추 등 신선채소류와 국화, 장미, 거베라, 난 등 화훼류가 주로 생산된다. 달랏의 경우 전체 경작지 면적의 64%인 8,447ha가 일년생작물의 생산에 그리고 36%인 4,777ha가 다년생작물을 재배하는데, 신선채소류의 생산량은 213,478MT으로 람동성 전체 신선채소류 생산량의 약 21.5%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국, 대만, 일본, 프랑스, 네델란드 등 다양한 국가에서 화훼류, 신선채소류, 차 등의 생산과 수출을 목적으로 달랏의 농업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2009년 달랏의 화훼경작지 면적은 람동성 전체 화훼류 경작지 면적의 55%를 넘으며, 국화, 장미, 백합, 카네이션, 난류, 거베라 등이 주로 생산되는데, 최근 6년 평균 연간 수출액 97억 달러로 화훼류를 제외한 람동성 전체 농업생산액 보다 높다. 따라서 람동성 및 달랏의 농업환경을 고려한 ODA 국제농업협력사업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지 지역의 농업환경 및 여건에 적합한 원예, 화훼, 및 특용작물 생산을 위한 농업기술과 시설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대상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과 연계한 농업발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향 후 ODA 국제농업협력사업은 공여국과 수혜국의 상생적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데, 최근 한국의 경제 발전에 따른 원예 및 화훼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중국과 대만 등으로부터 수입되는 원예 및 화훼류의 수입단가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람동성 달랏지역을 원예 및 화훼류의 생산기지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