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charcoal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1초

목탄충진 목재판넬의 특성 (Properties of Charcoal-Packed Wood Panel)

  • 김남훈;황원중;권구중;권성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04
  • Five type boxes manufactured from cement(A), wood panel(B), charcoal-packed wood panel(C), plywood panel(D) and charcoal-packed plywood panel(E) were prepared. Relationship of preservation characteristic of strawberry and relative humidity, and properties of thermal and sound insulations in the boxes were examined. During the experimental duration, relative humidity in the cement box was highest and lowest in the charcoal-packed wood panel box. Weight loss of strawberry was greatest in charcoal-packed wood panel box and very little in cement box. In the boxes with charcoal-packed wood panel box and very little in cement box. In the boxes with charcoal, strawberry was preserved for 10 days without getting mold, but in cement box it was covered with mold in 3 days. The charcoal-packed boxes showed higher thermal insulation property than the cement bo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erty of sound insulation among the 5 type boxes.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charcoal-packed wood panels can be used for a better ecomaterial.

  • PDF

국내 시판용 목탄의 기능성 분석(II) (Analysi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Wood Charcoal in Korea)

  • 이동영;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480-489
    • /
    • 2010
  • 국내 시판용 전통 목탄의 과학적인 성질 규명과 주요 기능성 분석과 이용 방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시판용 목탄의 범위 내에서 해부학적 특성, 원소 조성, 무기성분 조성, 발열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 조습성 등의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재료로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판단하고자 하였다. 원소조성, 무기물 조성,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은 목탄 제조 방법과 제조회사에 따라서 큰 변이를 보였다. 특히 조습성은 흑탄의 경우 백탄이나 기계숯 보다 열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전통숯을 기능성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특성, 원소 조성, 무기물 조성, 발열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 조습성을 분석하여 선택적 이용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차후 원하는 기능에 맞는 목탄 제조 방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국산수종으로 탄화한 목탄의 물성 및 흡착성 (Some Physical Properties and Adsoptive Behaviors of Wood Charcoal Carbonized with Domestic wood)

  • 조태수;이오규;안병준;최준원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9-17
    • /
    • 2006
  • 탄화온도가 제조된 목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00{\sim}900^{\circ}C$에서 탄화한 국산 수종의 목탄 특성을 조사하였다. 탄화수율은 $600^{\circ}C$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율감소가 둔화되었으며, 탄화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목탄의 pH는 증가하여 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목탄의 열량은 $600{\sim}700^{\circ}C$에서 최고를 나타내며, 더 높은 온도에서 탄화하더라도 열량의 증가는 보이지 않았으며, 낙엽송 목탄이 상수리 목탄보다 다소 높은 열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탄화온도의 증가에 따라 탄소함량이 증가하는 반면, 수소나 산소함량은 감소되었고, 목탄의 비표면적은 $600^{\circ}C$까지는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되거나, 증가 폭이 감소된 후, $800^{\circ}C$ 이상의 탄화온도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목탄의 흡착력을 요오드흡착량 및 초산가스 흡착력으로 조사 한 바,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이들에 대한 흡착성이 증가하였으며, 낙엽송 목탄이 상수리 목탄보다 다소 높은 흡착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탄화온도에 따라 목탄의 물성과 흡착성이 다르기 때문에 목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용도에 사용되어야 목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목탄을 활용한 기능성 목질 벽판의 특성(I) (Properties of Charcoal-packed Functional Wood Panel(I))

  • 황원중;권구중;심응섭;이성재;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38
    • /
    • 2002
  • Five type boxes, which are from brick, wood panel, charcoal-packed wood panel, plywood panel and charcoal-packed plywood panel, were prepared. Relationship of preservation characteristic of strawberry and change of relative humidity in the boxes were measured. Physical properties and industrial analysis of white charcoal used were also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and industrial analysis showed that charcoal had: 1) $0.62-0.79g/cm^3$ of density, zero of refining degree and 8.6-9.4 of pH; and 2) 1.0-3.0% of moisture content, 1.9-2.9% of ash content, 3.9-5.0 of volatiles and 89.2-93.2% of fixed carbon, indicating high qualit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relative humidity was highest in the brick box and lowest in the charcoal-packed plywood panel box. Weight loss of strawberry was greatest in charcoal-packed wood Panel box and very little in brick box. In the boxes with charcoal, strawberry was preserved for 6 days without mold, but in brick box it was covered with mold in 3 day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arcoal-packed wood panel can be used for better ecomaterial.

  • PDF

A Fundamental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Charcoal as Green Infrastructure Materials

  • Choi, Jaehyuck;Shin, Soo-Jeong;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691-699
    • /
    • 2015
  •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harcoal as Green Infrastructure (GI) materials, data such as moisture content, amount of adsorbed water, and amount of evaporation were collected. Some data from previous study were referenced to find out if correlations exist between results i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y. Only porosity was directly related to moisture content. Two mechanical charcoal had better abilities than traditional charcoal in all three categories. Mechanical black charcoal chips produced by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NFCFC) adsorbed 333.3% of water in thirty minutes, 297.5% in five minutes, and evaporated around 75% water in four days. This ability is much higher than other five charcoal. Even though results of test showed various degrees and NFCFC was the best as GI materials, data of charcoal were also within acceptable range based on generally accepted characteristics of GI materials.

목탄 및 수피탄의 중금속 이온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Ions Using Wood Charcoal and Bark Charcoal)

  • 조태수;이오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37
    • /
    • 2007
  • 탄화온도 차이에 따른 목질 탄화물의 중금속 흡착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목부와 낙엽송(Larix kaempferi) 수피분말을 $400{\sim}900^{\circ}C$에서 탄화하였다. 목질 탄화물의 pH는 재료의 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900^{\circ}C$의 목탄 및 수피탄은 각각 10.8, 10.4를 나다내었다. 또한 탄화 온도 증가와 함께 탄소함량비가 증가하고 동일 탄화온도에서 목탄에 비해 수피탄의 탄소함량비가 큰 경향을 보였다. 액상흡착력을 나타내는 요오드흡착력은 목탄이 수피탄보다 다소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목탄과 수피탄에 의한 15ppm의 Cd, Zn 및 Cu 중금속용액에 대한 흡착제거율을 조사한 바, 높은 탄화온도에서 제조된 목탄과 수피탄일수록 높은 중금속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탄화물 종류에 있어서는 목탄이 수피탄 보다 높은 중금속 제거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목탄의 경우, $500^{\circ}C$ 이상에서 제조된 탄화물 0.2 g의 사용으로 거의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흡착질 종류에 있어서의 제거성능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화물의 흡착성은 Cu>Cd>Zn 순으로 높았다. 이는 목탄과 같은 흡착제와 흡착의 대상이 되는 흡착질과의 물리 화학적 상호관계가 흡착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목탄의 흡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재를 이용한 무할렬 숯잔 제조 및 발수특성 (Manufacturing of Wood Charcoal Cup by Using Carbonization Method and Its Water Repellency)

  • 박상범;이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7-212
    • /
    • 2014
  • With increased interests in environmental issues, people are looking for new materials that serve special and bio-activated functions. One of interesting materials is charcoal which has excellent adsorption ability for harmfu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ireproof performance, far-infrared ray emission,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ince non-crack carbonized board was developed from wood-based composite materials, carbonization method might be applied to woodcraft products such as wood cup and bamboo. In this study, manufacture of wood charcoal bowl was conducted with carbonization method developed in 2009 in order to activate wood products market. Ash tree(Fraxinus rhynchophylla) cup was carbonized at $600^{\circ}C$ with two pretreatments which were phenol resin and wood tar solution treatment. After carbonization of ash tree cup, non-crack charcoal cup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Phenol resin treatment affected on charcoal cup manufacturing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For a positive way, it prevented shrinkage. For a negative way, it decreased water repellency. On the contrary, wood tar treatment accelerated shrinkage a bit and increased water repellency. Based on the results, wood tar can be used as pre-treatment solution for reducing post-treatment costs. We confirmed woodcraft products can be carbonized without deformation, so carbonization may provide a high value-added products from wood.

  • PDF

탄화온도가 목탄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Changes of Woody Charcoals Prepared by Different Carbonizing Temperature)

  • 조태수;최준원;이오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53-60
    • /
    • 2007
  • 북양젓나무(Abies sibirica Ledeb)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탄화한 목분탄, 목섬유탄 및 수피탄 등 목질탄화물에 대한 탄소함량, 세공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목질탄화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가 상승할수록 탄화수율은 감소하였으며, 목탄의 탄소함량은 탄화온도의 상승과 함께 증가하였으나, 수소나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수피탄화물은 목분 또는 목섬유 탄화물과 비교하여 탄화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피탄화물내 회분함량도 상당히 높았다. 목분탄과 목섬유탄의 비표면적이 수피탄보다 큰 경향이 있으며, $600^{\circ}C$까지는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비표면적, 전세공용적이 증가하여 최대를 나타내었으나, $800^{\circ}C$로 탄화온도가 상승하면 오히려 비표면적과 총세공용적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평균세공크기는 목탄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의 상승과 함께 감소하였다. 한편 목탄의 표면 관능기양은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산성인 HCl 흡착량이 많고, 탄화온도가 낮을수록 염기성인 NaOH, $Na_2CO_3$$NaHCO_3$ 흡착량이 많으며, 이러한 결과는 목탄의 pH에 영향을 주어 고온탄화물은 알칼리성, 저온탄화물은 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질펠릿으로 제조한 탄화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arcoal from Wood Pellet)

  • 한규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15-21
    • /
    • 2006
  • 목질펠릿을 탄화하여 탄화물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밀도, 수율, 원소조성, 발열량, 메틸렌블루흡착량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목질펠릿은 현사시,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소나무, 졸참나무의 수피를 포함한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목질펠릿으로부터 $0.5{\sim}0.7g/cm^3$의 고밀도 탄화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탄화온도가 증가하면 탄화물의 탄소함량과 발열량이 증가하였다. 목질펠릿으로부터 얻어진 탄화물의 메틸렌블루 흡착 특성은 목재의 것과 거의 유사하였다.

목질탄화물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ufacture of Mineral Water with Wood Charcoals)

  • 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60-466
    • /
    • 2014
  •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의 제조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목탄의 무기성분 용출 및 수소이온농도 및 잔류염소흡착 성능을 조사하였다. 무기성분 용출은 탄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칼륨의 경우 용출량이 높아지나, 나머지 무기성분들의 경우 차이가 적었다. 무기성분 용출량은 각 수종에서 칼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나트륨, 칼슘 순으로 나타났고, 수종 간에는 칼륨의 경우 활엽수인 굴참남무와 버즘나무가 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송 및 잣나무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무기성분은 수종간 칼륨만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칼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소이온농도는 활엽수인 버즘나무($600^{\circ}C$의 경우 pH 8.5)와 굴참남무(pH 8.4)가 높게 나타났고, 낙엽송(pH 7.8), 소나무(pH 7.2), 잣나무(pH 7.0)가 앞의 두 수종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염소제거량은 모든 수종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제거량을 나타냈고,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가 활엽수인 낙엽송, 버즘나무, 굴참나무보다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분말목탄과 각형목탄 간 무기성분 용출량 및 수소이온농도에서 차이가 없으므로,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는 분말목탄보다 제조도 용이하고, 용출 후 처리도 용이한 각형목탄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