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minded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Predicting US and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textiles and apparel related cultural products

  • Lee, Yu-Ri;Kim, So-Young;Cho, Yun-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0권2호
    • /
    • pp.15-36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 consumer's evaluations of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textiles and apparel-related cultural products are influenced by their culture, as indicated by their nationalities. Additionally, several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novelty-seeking tendency, world-mindedness, and familiarity with Northeast Asian cultu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to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ultural influences with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400 female consumers in two countries: 200 from the USA and 200 from China. Key findings showed that, nationality and novelty-seeking were fou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hen product evaluation variables were not included. Evaluation of appearance and Northeast Asian design emerged highly significant predictors of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regardless of the product type. Cross cultural comparative research on cultural product evaluations is extremely rare. This study focused on groups of consumers residing in the US and China and asked them to evaluate a series of textiles and apparel-related cultural products produced in Korea.

"Offshore"해양특수선의 LQ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FPSO선박의 Living Quarter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ving Quarter interior design of Offshore Ship - Focused on the Living Qauter of FPSO -)

  • 주민규;이규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57-366
    • /
    • 2013
  • Global Energy Industry's high oil prices persist while their petroleum and gas production areas are entering the decline phase. More and more the drilling facilities used to bore oil from deeper depths are advancing further out into the oceans, which cause the development of "OFFSHORE" ship manufacturer facility's production demands to increase. The "OFFSHORE" ships provide a living space or L.Q (Living Quarters) for crewmen who work on the water far away from any mainlan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This research analyzes the LQ area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ior designs of different types of "OFFSHORE" ships that were built in South Korea. Also using overseas countries' Classification Society, known as "NORSOK," and analyzing their own design guidelines in conjunction with the research, the process of interior design and baseline data research was used to blueprint the new LQ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ere ships get comprised of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s by standards of the Classification Society's RULE,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sign and design method of the LQ area.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a conservative shipbuilding market of the Shipbuilding Company and ship owners' feelings are steadily changing to more open mindedness of acceptance. Therefore, the Korean Classification Society has to provide the new design principle to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more various interior design plans of LQ areas needed to be present based on the new design guidelines. The capacity of the South Korean OFFSHORE shipbuilding industry is the world's top leader; however, the interior design of the LQ areas are still based from outdated designs from the 1980's. Hopefully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the cornerstone to help the shift from the outdated designs of the LQ areas to more practical modern designs.

의료협력과 국제 의료관광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센텀 메디컬 파트너스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Network on Medical Association and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 Based on Centum Medical Partners -)

  • 박기수;배종철;최봉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71
    • /
    • 2014
  • Purpose. Medical tourism is recently becoming a new industry with great growth potentia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shifting medical tourism from simple cultural tourism 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with a new paradigm. Methods.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positive support and marketing polic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concerning foreign patient attraction to the medical law in 2009, and various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round the country has participated actively in medical tourism by themselves or in cooperation of government bodies and made increasingly greater performance.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have been making efforts to see more development and profitability in diverse ways, including medical tourism for foreign patients and the advance of the Korean medical institutions into foreign markets. However, many local governing bodies and medi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medical tourism around the country have primarily focused on examination and treatment on the basis of foreign patients' visit to South Korea and rarely built a medical network with other countries directly for medical tourism.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building a local medical network and a network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successfully on the basis of the local medical association, CMP, which has been formed naturally in Busan. The success factors for CMP included 1) enthusiasm of the official in charge; 2) the medical level, the service level, and open-mindedness of participant medical institutions; 3) cost efficiency due to executive office management with no costs, no conflicts, and constant partnership; 4) security of non-competitive expertise for participants; 5) local factors of CMP; 6) participation of good agencies; 7) reinforcement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8) post facto management and local doctor management. Conclusions. Its positive effects included patient introduction and greater profitability on an internal basis as well as construction of the collaboration system with the institutions related to medical tourism and confidenc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t is still difficult to predict performanc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ir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observe their constant activities since a single medical association was involved.

표층과 심층의 시각에서 바라본 대순진리회 - 종교적 경험의 관점에서 - (Daesoonjinrihoe from both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 Focused on Religious Experience)

  • 이은희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245-282
    • /
    • 2016
  • 지금 전 세계에는 자기 안의 신성을 되찾고자 하는 영성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종교 갈등은 진행 중이다. 테러 사건, 종교 간의 분쟁 등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등 오히려 더 규모가 커지고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종교 간의 화합은 더욱 요원해 보인다. 종교 간 갈등의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 종교공동체 사이에 소통한다는 것이 이토록 어려운가? 비록 문화가 다르고 교리적 의례적 표현은 다르지만 어느 종교이든 핵심적인 부분인 심층을 들여다보면 대체로 종교 상호 간에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통점을 찾고 차이점을 인정할 때 서로 배움의 자세가 되어 소통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다면 종교 간의 공통점으로 무엇이 있을까? 많은 학자들은 각 종교의 신비주의에서 말하는 '하나됨'의 경지를 주장한다. 이 하나됨의 경지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성숙시키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의 궁극적 도달점인 것이다. 이 도달점에 이르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깨달음의 종교가 심층종교라고 할 수 있다. 표층종교가 기복적이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심층종교는 내 안의 신성(神聖), 참나, 큰나를 깨닫는 것을 강조하는 종교이다. 표층종교와 심층종교라는 것은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 교수가 편의상 분류한 용어로, 이 잣대는 상대적 개념이며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러나 표층·심층종교의 개념은 종교생활이나 종교성의 발달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종교에 대한 논의를 보다 분명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층·심층의 분류를 이러한 의미에서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고자 한다. 필자는 표층·심층의 용어를 빌리되 여러 학자들의 분류를 참조하여 재고찰해 보고, 이 시각을 종교적 경험과 연결해 보고자 한다. 종교성의 발달 즉 신앙의 성숙은, 진리에 대한 깊이 있는 깨달음은, 개방적이고 공감하는 태도는 어떻게 가능할까? 대부분의 많은 학자들은 '종교적 경험'을 꼽는다. 종교적 경험을 통해 기복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표층적인 믿음에서 좀 더 성숙한 신앙으로, 계속되는 깨달음과 그 실천으로 더욱더 깊은 신앙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사에는 표층종교와 심층종교의 측면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역대 종교에 대한 비판의 소리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표층과 심층의 시각으로 대순진리회 수도인들의 종교적 경험 수기 몇 가지를 분석하여, 표층에서 심층으로의 종교성의 발달이 종교적 경험을 통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회화심미(繪畵審美) 고찰 (A Study on the Painting's Aesthetic of Gongjae Yoon Duseo)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75-183
    • /
    • 2021
  • 조선 후기 해남(海南) 출신의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는 숙종년간 활동한 선비화가로서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교체되는 전환기에 조선 후기 사실주의 회화의 선구자로서 그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남인(南人)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당쟁에 휘말려 출세길을 접고 서화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조선 후기가 시작되는 18C는 실학(實學)이 대두되고 민족주의에 대한 자각으로 진경(眞景)시대가 열린 시기였다. 이러한 때 실학사상을 예술세계에 접목하여 실사구시적(實事求是的)이며 현실개혁적(現實改革的) 심미의식을 발휘하여 서민풍속화 개척, 서양화법의 적용, 사실주의적 기법 추구, 남종문인 화풍 도입 등을 도모하였다. 철저한 학고(學古)를 통해 변통(變通)을 도모했던 그의 회화관은 학(學)·식(識)의 학문과 공(工)·재(才) 기예적 요소를 두루 갖추어야 화도(畵道)를 이룰 수 있다는 형신(形神) 겸용을 강조하였다. 그는 다양한 화목을 두루 섭렵하였는데, 특히 인물화는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사실주의 표현을 심미 특징으로 한다. 대표작인 「자화상(自畵像)」은 극사실적 묘사력과 구도의 혁신성이 탁월하며, 자신의 울분을 비장감있게 전신사조(傳神寫照)한 파격적 실험정신이 돋보인다. 그의 산수화는 형사적 진경과 신사적 관념을 융합하여 형상으로써 도를 아름답게 구현한 망적지적(忘適之適)한 이형미도(以形媚道)를 이루었다. 한편 개방적 사고로써 다양한 서민 생활을 소재로 삼은 서민풍속화는 이형사진(以形寫眞)의 실득(實得)으로 파격을 도모하였는데, 이는 부패한 권력에 대한 소극적 항거이자 애민정신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후 그의 화풍은 장남 윤덕희(尹德熙), 손자 윤용(尹愹)에게 가전되어 전해져 조선 후기 서화예술의 변화와 부흥을 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