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offender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개인 수준 심리적 특성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Sexual Offenders in South Korea)

  • 정민철;조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88-100
    • /
    • 2015
  • 본 연구는 일반인, 일반범죄자, 성범죄자의 집단 간 비교를 통해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범죄자 123명, 일반범죄자 102명, 일반인 162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집단 간에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우울, 분노, 자기존중감, 공감, 충동성, 수치심, 사이코패스 성향, 알콜의존 변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성범죄자가 일반범죄자보다 높은 변인들은 우울, 충동성, 충동성-인지였으며, 성범죄자가 일반인보다 높은 것은 우울변인이었다. 일반범죄자는 자기존중감, 사이코패스 성향에서 성범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이 일반범죄자보다 높은 변인은 충동성, 충동성-인지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하였다.

Multifaceted Risk Factors for Mental Health Problems of Adolescent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oward an Integrated Implication for Rehabilitation and Reintegration into Society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9권2호
    • /
    • pp.29-43
    • /
    • 2008
  • This study explores a model that examines how multidimensional risk factors explain mental health problems of young offenders. One hundred and ninety six students aged 13 to 15 in correctional facilities were assessed for mental health symptom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ultifaceted risk factors on mental health condition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ecure unit students appear to have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risk factors and those factors have influenced mental health conditions. Results show that correctional facilities should reframe therapeutic and preventive approaches to disadvantaged students and develop integrated services and programs for rehabilitation and reintegration into society. It is recommended that those involved in treatment plans in correctional facilities consider that different treatment plans are necessary for each young offender.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과 폭력반응에 관한 조사연구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 김수연;오희영;안혜영;엄미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6-45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violence episodes by patients and/or their guardians and responses from emergency room nurses. Method: A convenient sample of 172 emergency nurses was selected from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A survey design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 to October 11, 2006.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Descriptive statistics, with the SPSS PC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ajority of nurses(97.1%) had experienced violence by patients or their guardians in the previous month. Violence offenders who were drunk comprised 68.6% of total offenders. Causes of violence were delays in examination and treatment(59.9%). The major coping behavior in dealing with violence episodes was ignoring(40.1%). Responses to violence experienced by emergency nurses were rated as 2.39. Response to viol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of violence experienced by emergency nurses, hospitals must develop and manag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 PDF

Nonparametric Inference for the Recurrent Event Data with Incomplete Observation Gaps

  • Kim, Jin-Heum;Nam, Chung-Mo;Kim, Yang-Ji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4호
    • /
    • pp.621-632
    • /
    • 2012
  • Recurrent event data can be easily found in longitudinal studies such as clinical trials, reliability fields, and the social sciences; however, there are a few observations that disappear temporarily in sight during the follow-up and then suddenly reappear without notice like the Young Traffic Offenders Program(YTOP) data collected by Farmer et al. (2000).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inference for a cumulative mean function of the recurrent event data with these incomplete observation gaps. Defining a corresponding risk set would be easily accomplished if we know the exact intervals where the observation gaps occur. However, when they are incomplete (if their starting times are known but their terminating times are unknown) we need to estimate a distribution function for the terminating times of the observation gaps. To accomplish this, we treated them as interval-censored and then estimated their distribution using the EM algorithm proposed by Turnbull (1976). We proposed a nonparametric estimator for the cumulative mean function and also a nonparametric test to compare the cumulative mean functions of two groups. Through simulation we investigated the finite-sampl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stimator and proposed test. Finally,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s to YTOP data.

살인으로 기소된 여성과 비폭력 범죄로 기소된 여성의 정서 특성 비교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2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Women Charged with Homicide or Non-violent Crimes : Focused on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 오세영;임명호;정지숙;유미경;임경옥;김선경;장소영;차승민;최종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19
    • /
    • 2018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female homicide offenders by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test. Methods :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ntal appraisals and MMPI-2 scores of 54 women charged with homicide and 67 women charged with non-violent crimes, who were referred to National Forensic Hospital in Gongju city for psychiatric evaluation between January 2012 and March 2016. Results : Women charged with homicid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Hs (p=0.018), D (p<0.001), Hy (p=0.002) and Pt (p=0.004) than the women charged with non-violent crimes. The women charged with homicide may have develop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and psychasthenia.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 final regression model including age of crime onset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explaining 16.5% of the variance in homicides committed by female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the female homicide offenders might be different compared to the non-violent crime offenders.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 in Prison)

  • 한인영;김진숙;김지혜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121-155
    • /
    • 2011
  • 본 연구는 교도소와 치료감호소에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로서 이론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의 본질구조를 살펴보고자 했고 실천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범을 막고 치료적 감호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근거 자료를 구축하고자 했다. 연구는 Van-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수행했고 연구에는 7명의 성폭력 가해자가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으로 수집했으며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론의 피해자라는 인식, 카인의 표식, 견본생활(show window)로 인한 성찰기회의 상실, 구별짓기(distinction)를 통한 집단차별화, 허물을 벗고자 하는 형이상학적 존재의 발현, 과학적 관리기술의 역이용, 상상계(the Imaginary)로부터의 미분화(undifferentiation), 도치된 소통으로 나타난 성행위, 통제받음의 반동형성으로서 지배영역을 찾음, 아동의 성마저 상품화하는 자본주의 속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성정체성 사회화과정에서의 왜곡, 억눌린 욕망의 화신으로 각인된 부상, 상실된 어머니의 순결성 회복, 산산이 부서진 이름으로서의 가족 등으로 나타났다.

가정 폭력 경험이 남자 범죄 청소년의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경호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82-309
    • /
    • 2003
  • 본 질적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영하는 것이 남자 청소년의 성정체성, 특별히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문헌들은 폭력 가정의 부정적인 남성 모델이 남자 청소년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한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남자 청소년은 종종 남성적 유능감을 입증하기 위안 방편으로 범죄를 저지른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청소년들의 범죄가 그들의 남성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남자 청소년들이 어떻게 가정폭력을 경험 하는지, 그 경험이 어떻게 그들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들의 남성성이 어떻게 범죄와 연관되는지에 관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안 청소년 교정 기관에 입소했던 남자 범죄 청소년 12명에 대해 행해진 최소 3회 이상의 인종학적 심층 면접 자료, 주당 1-2회 참여 관찰 후의 현장 기록, 그리고 교정기관의 공식 문서로 구성된 2차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열린 부호화, 표를 이용한 자료 축소, 주제별 분석을 위한 재부호화, 주요 범주와 하위 범주들의 발견, 표를 이용한 자료 재축소화, 그리고 집단 간과 집단 내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아동기 가정 폭력 경험이 사춘기 동안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폭력에 노출된 남자 범죄 청소년은 폭력 가정에서 무기력감을 경험했고 폭력의 피해자로서 억압된 어머니와 애착 관계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가정 폭력물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과 가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은 전반적인 성정체성의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관계적 성정체성의 형성과 연관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은 그들의 관계적 성정체성에도 불구하고, 기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처럼 남성적 유능감을 보여 주기 위해 폭력과 범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의철;박영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4호
    • /
    • pp.487-508
    • /
    • 2010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총 510명으로서, 보호관찰청소년 253명(재범 51명, 초범 202명)과 범죄 경력이 없는 일반청소년 257명이었다. 분석결과,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괴로울 때 친구에게 의논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친구와 함께 있으면 편안하다고 지각하였고, 친구이기 때문에 무조건 신뢰하는 경향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친구와 구체적인 활동 장소 및 활동내용을 보면, 보호관찰청소년은 친구와 주로 PC방에서 게임을 하고, 일반청소년은 주로 학교에서 같이 노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관찰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 경력별로 보면, 재범집단이 초범집단보다 공범친구가 보호관찰을 받거나 소년원에 다녀온 횟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판별분석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두 집단을 판별하는 매우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범 및 초범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만이 아니라, 공범친구의 보호관찰/소년원 경험 횟수도 의미있는 판별변인으로 포함되었다.

  • PDF

성폭력 범죄의 원인과 개입전략에 대한 고찰 (Etiology of Sex Offences and Intervention Strategy)

  • 고선영;양종희;이수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spc호
    • /
    • pp.117-146
    • /
    • 2004
  • 이 논문은 국내에서도 성폭력 범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전적인 의미의 논문으로서, 성범죄의 정의·원인 및 유형을 살펴보고, 성범죄자의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서구에서 수행되었던 경험적인 연구들에서 알아낸 성범죄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실들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한 지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성범죄의 재범연구들을 통하여 잠재적 위험요인들은 무엇이 있는지, 이런 위험요인들의 개선을 위한 치료개입 대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범죄에 대한 이 같은 학문적 발견들이 국내 형사정책 현장에도 어느 정도까지 활용가능한지를 탐색하였다.

  • PDF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Attention Bias Toward Drug Cues in Female Methamphetamine Addicts)

  • 김나연;음영지;김교헌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75-84
    • /
    • 2019
  • 중독자들은 물질이나 행동과 같은 중독-관련 단서에 주의를 더 기울인다. 그리고 이러한 단서들에 증가된 주의는 갈망과 관련이 있다. 국내 마약류 사범 중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마약류는 메스암페타민이며, 재범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3년 동안 전체 마약류 사범 중 여성의 비율은 21.1%이나, 여성 마약류 사범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관련 정책과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기관에 수용중인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중독 집단) 22명과 약물과 관련한 문제가 없는 정상인(통제 집단) 22명을 대상으로 탐침탐사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과제를 통해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및 정반응시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통제 집단은 정반응률과 정반응시간 모두에서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중독 집단은 중성단서에 비해 약물 단서에서 더 낮은 반응률과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마약류로부터 단절된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