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게임 평가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타당화 -Jak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시스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Validation in Emotional Evaluation System as Game Evaluation Tool -Focused on Comparison with Jakob Nielson's Evaluation System-

  • 서미라 (동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 게임공학과)
  • 발행 : 2007.08.28

초록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의 증대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게임 산업에도 감성적 성향을 가진 게임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게임의 근간이 되는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여 몰입을 유도하는 온라인 게임개발에 있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평가단계가 있는데, 이 단계에서 게임의 기능은 물론 감성적 평가를 할 수 있는 감성 평가시스템은 사용성과 인간 감성 욕구를 게임 출시 전에 검증해볼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 평가시스템의 효용성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결과가 부재한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피 실험자인 일반 사용자 그룹을 통해 Jakob Nielson의 사용성 평가시스템과 비교하여 게임의 평가 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유용성 및 타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Online game industry is also making much efforts in developing games that have emotional disposition which is rapidly growing by the increase of emotional demand by the user. In the online game development that induces immersion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human has the evaluation stage it must surely pass, and in this stag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is known as the evaluation method that one can verify the function, usage and human emotion desire of the game before its launching. Nevertheless, at this situation the studying result is absent in the verification of efficiency and validity of th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work on the avail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game comparing with the Jakob Nielsen's evaluation system through common user group which are the subjects.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Use of Emotion Rule for Game Characters Emotion Structure vol.16, pp.1, 2016, https://doi.org/10.7583/JKGS.2016.16.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