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Style in IBL(Internet Based Learning)

인터넷 수업의 학습양식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차이에 대한 비교

  • 조은순 (목원대학교 교직학과) ;
  • 김인숙 (한양여자대학교 여성인력개발과)
  • Published : 2007.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es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style in IBL. This study analyzed 386 elementary school (ES) and 627 middle school (MS) students and 130 cyber teachers how they perceived learning styles in IBL. They filled out the 15 items questionnaire about three different learning styles (self-directed preference style, cooperative preference style, and dependent style) in IBL, and were compared their perceptions in terms of students comparisons (ES vs. MS) and students and teachers comparis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nd teachers preferred the self-directed preference learning style rather than cooperative preference style and dependent styles. However, the teachers judged the students more likely self-directed and dependent style than the students judged themselves.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S and MS students on the dependent learning style and ES and MS teacher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fferent design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IBL contents for ES and MS students preferred teaming styles. Tutoring strategies for cyber teachers should be also developed to understand learners' different loaming styles in IBL.

본 논문은 사이버 학습체제의 확산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인터넷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초, 중등 학습자들이 인터넷 학습 시 어떤 유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학습에서 고려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전국의 초등학생 386명, 중학생 627명, 사이버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차이 분석을 하였다. t-검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인터넷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양식을 선호하였고, 교사들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양식을 선호한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관점은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을 자기주도적, 의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더욱 많이 학생들을 자기주도적, 의존형이라고 판단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향후 초, 중등 학습자들을 위한 인터넷 학습의 설계와 개발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으로 본 논문은 향후 초, 중등 인터넷 교육 콘텐츠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양쪽의 학습양식에 대한 시각을 반영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 교과목별로도 특성화된 교수전략 및 학습전략을 수립하고, 사이버 교사들의 튜터링 전략에서도 차별화가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