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Policing Program Operation Case of the U.S.A - Centering Sanmateo County California State -

미국의 지역사회경찰활동 프로그램 운용 사례 - 캘리포니아주 산마테오 카운티를 중심으로 -

  • 강맹진 (남부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ecently, crime prevention is away of important criminal justice policy and police activity also pursuit different change compare to the present times. After modern times, as get to know crime control change, eventually on the basis of experience that crime prevention is best way of crime control, what come out with new sight angle for the role of police is community policing. And emphasis points in police activity are variety of police activity, positive entry of community. In relation to this, we are learning crime prevention of the U.S.A and the program of community policing through crime prevention theory books that published in domestic. Then, there are misunderstanding possibilities that the programs which introduced relation books are doing someways all around the U.S.A In this research two cities san mateo county. california, of the U.S.A made a choice, and is going to search main crime present condition of these cities and really done community policing program or crime prevention program operation case.

근래 범죄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형사정책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 하면서 경찰활동도 기존과 다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근세 이후 범죄통제경향의 변화에서도 알 수 있듯, 종국적으로는 범죄예방이 범죄통제의 최선이라는 경험을 바탕으로 경찰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등장과 더불어 나타난 것이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다. 또한 경찰활동에서 강조되는 것은 경찰활동의 다양화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발간된 "범죄예방론" 등 관련 서적을 통하여 미국의 범죄예방활동과 지역사회경찰활동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을 접하고 있다. 그런데 관련 서적에 소개된 프로그램들이 마치 미국 전 지역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산마테오 카운티에 속한 도시 가운데 비교 연구가 용이한 두 도시를 선정, 이들 도시에서 발생한 주요 범죄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경찰활동프로그램 또는 범죄예방프로그램 운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창호, 경찰학개론, 서울: 화학사, p.545, 2005.
  2. 경찰대학, 범죄예방론, 경기: 경찰대학, p.83, 2004.
  3. 미연방 법무부 Community policing 연구.교육 협회인 Community policing Consortium의 정의를 경찰대학, 범죄예방론, p.104에서 재인용한 것임, 2004.
  4. http://www.communitypolicing.org/abtcp.html.
  5. 경찰대학, 범죄예방론, 경기: 경찰대학, p.105, 2004.
  6. J. Skolnick and D. H. Bay, Community Policing: Issues and practices around the world.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p.37, 1988.
  7. http://www.burlingame.org/index.aspx2.page=1361
  8. http://millbrae.areaconnect.com/crime1.htm
  9. http://www.ci.millbrae.ca.us/index.aspx2page=57
  10. 경찰대학, 범죄예방론, 경기: 경찰대학, p.83-84, 2004.
  11. 강맹진, 현대사회와 범죄, 서울: 대왕사, p.126, 2007.
  12. 전대양, 현대사회와 범죄, 서울: 형설출판사, p.292, 2002.
  13. 경찰대학, 범죄예방론, 경기: 경찰대학, p.86,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