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services to Decrease Stage-Anxiety of Actor

배우의 무대불안극복을 위한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고찰

  • 오진호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영화영상학부 영화연기)
  • Received : 2011.11.30
  • Accepted : 2011.01.04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ctor with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idit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n but als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ield study to decrease stage-anxiet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 actor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as composed of five stages, 12times and categoriz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heart rate bio-feedback training, self concentration, routine training, behavior therapy & self reinforcement, image training. The effects was examined on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observation of experts.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o decrease stage-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unseling and observation, they were changed affirmative on self confrontation, harmony and rapport between actor and object. This result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 counseling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ere effective.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배우를 대상으로 무대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극단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2명을 목적적 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크게 5단계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기초 교육, 호흡 조절법, 점진적 이완법, 집단상담,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자기집중훈련, 루틴훈련, 행동수정 및 자기강화훈련, 심상훈련 등으로 내용화되었다.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과 상담을 적용한 결과, 신체적 인지적 상태불안요인 모두 훈련 적용 전보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내적 변화 역시 긍정적으로 유발되어 무대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의 자기발견, 배우와 배우간의 앙상블, 배우와 관객 사이의 교감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및 상담은 현장 적용성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숙, 표내숙, 정용각, 안정덕, 무대 불안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3호, pp.391-400, 2003.
  2. 김종구, 한국 연기자의 무대공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1998.
  3. 김재은, 무대 위의 얼굴, 서울: 도서출판 시민, 1990.
  4. 김수진, 배우들의 신체훈련에 있어서의 긴장 이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홍성은, 무대에서의 긴장감 나는 이렇게 푼다-피아노 음악, p.64, 1991.
  6. 홍길동, 오진호, 이기호,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130-139, 2008.
  7. 홍성택, 오진호, 연극배우의 심리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 권, 제3호, pp.222-226, 2011.
  8. 홍길동, 이홍식, 이형국, 오진호, 이기호, 배우의 공연 시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76-189, 2008.
  9. R. Martens, D. Burton, R. S. Vealy, L. A. Bumped, and D. E. Smith,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CSAI-2), Competitive Anxiety in spor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117-190, 1992.
  10. G. A Goodspeed,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training on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of female gymna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1983.
  11. L. D. Zaichkowski and C. Z. Fuchs, Biofeedback applications in exercise and athletic performance. In K. Pandolf(Ed.), Exercise the Sport Sciences Reviews, New York: Macmillan, pp.381-422, 1998.
  12. R. F. Baumeister, A. L. ZELL, and L. E. Williams, How emotions Facilitate and impair self-regulation In J. J. Gross(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pp.408-42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