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ehavioral Analysis of Revisiting Tourism for Chung Nam Dae Sightseeing Site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행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2.01
  • Accepted : 2013.03.07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e research is basically designed to reveal a revisiting behavior for Chung Nam Dae which is inherently characterized sightseeing site. Distributional lag model is tentatively employed to analyze economic factors such as entrance fee and a different level of income. Empirical findings investigate that the revisiting behavior that is associated with a long run effect is mo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national income, but not the level of incomes in Chung Cheong region and Chung Buk province as well. As far as revisiting intention concerns, the entrance fee tends to affect to it by a shorter distributional lag, but the level of income affects to it by way of a pretty much longer distributional lags. To this end, perceived value for Chung Nam Dae should be exposed in order to induce a re-visitor. Such a goal could be attainable by taking care of its system for entrance fee, expanding facilities, re-branding, service improvement, and developing useful programs. Also, setting up an inter-connected networking system with a sightseeing site around is highly recommended.

본 연구는 고유한 특성이 강해 초기 관광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관광지인 청남대를 대상으로 재방문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시도이다. 분석기법으로는 다변량 통계분석인 시차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행태를 입장료나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바탕으로 하였다.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를 결정하는 장기적인 분석결과에 의하면 단기분석과는 달리 청남대 관광객의 재방문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충청권 및 충북지역의 재방문 관광객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남대 재방문 의도의 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입장료에 의한 영향은 초기 방문을 통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득수준에 의한 영향은 시차가 길어질수록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남대 재방문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청남대 입장료의 요금체계 개선뿐만 아니라 이에 부합하는 시설 확충, 이미지 제고, 서비스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잠재된 관광지 가치의 개발이나 주변의 유사 관광지와의 연계개발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임병훈, 안광호, 하재은, "관광지 개성과 속성이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제15권, 제3호, pp.149-168, 2012.
  2. 김원인, "관광지의 공간환경에 대한 의사결정자의 관광매력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4권, pp.71-85, 1994.
  3. 신현호, "관광라이프스타일과 관광지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J.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제4권, 제1호, pp.1-24, 1999. https://doi.org/10.1080/12297119.1999.9707453
  4. 조태영, 서태양, "안동 하회마을 문화관광체험이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361-370, 2009.
  5. 조태영, "문화적 고유성이 관광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동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3권, 제4호, pp.59-80, 2009.
  6. 이민재, 이연주, 서원석, "지자체의 관광자원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 10호, pp.499-509, 2012.
  7. 손병모,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자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6권, 제1호, pp.201-228.
  8. 류시영, 엄서호, "관광만족과 재방문의도 관계의 재고찰: 변화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1권, 제2호, pp.89-104, 2009.
  9. 이윤섭, "관광지 매력속성의 만족과 재방문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제23권, pp.135-153, 2005.
  10. 윤준.임근욱, "관광지 마케팅믹스와 관광이미지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61-285, 2009.
  11. 박영기, 윤지환, "단양지역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75-190, 2005.
  12. 조장현, 권종현, 유럽관광지 매력속성의 기대수준과 만족수준 평가 및 재방문/추천과의 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2호, pp.19-34, 2004.
  13. N. R. Dumitru, C. I. Negricea, and A. Slapa, "Social Tourism-A Factor in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Change," Romanian Economic and Business Review, Vol.4, No.2, pp.89-94, 2009.
  14. M. O. Ciopi, "Marketing Plan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ultural and Wine Tourism in Prahova," Bulletin, Vol.62, No.2, pp.116-123, 2005.
  15. T. Cuccia and R. Cellini, "Is Cultural Heritage Really Important for Tourist? A Contingent Rating Study," Applied Economics, Vol.39, pp.261-271, 2007. https://doi.org/10.1080/00036840500427981
  16. E. Ruda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in Small Historical Towns," Tourism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nference Proceedings, pp.577-586, 2010.
  17. M. K. Ruzzier, "Extending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Concept into Customerbased Brand Equity for a Tourism Destination," Economic Research, Vol.23, No.3, pp.24-42, 2010.
  18. M. Konecnik and M. Ruzzier, "The Customer's Perspective on the Tourism Destination Br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Transformations in Business and Economics, Vol.7, No.1, pp.169-184, 2008.
  19. K. Vodeb and H. N. Rudez, "Potential Tourist Destination Development in the Istrian Countryside," Tourism and Hospitality Management, Vol.16, No.1, pp.75-84, 2010.
  20. J. W. Van. Stadenn and L. Marais, "The Tourism Potential of Beaufort West: A Study based on Visitor Demand," Development Southern Africa, Vol.22, No.2, pp.233-249, 2005. https://doi.org/10.1080/03768350500163147
  21. B. Oertel, S. L. Thio, and T. Feil, "Benchmarking Tourism Destinations in the European Un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ourism 2001: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Montreal, Canada, pp.234-243, 2001.
  22. D. Gorica, D. Kripa, and E. Luci, "Sustainable Tourism-A Dynamics Method for Destination Planning," Romanian Economic and Business Review, Vol.5, No.2, pp.9-30, 2010.
  23. 충청북도 청남대관리사업소 운영팀
  24. R. S. Pindyck and D. L. Rubinfeld, Econ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s, 4th. ed., McGraw-Hill, 1998.
  25. 김명직, 장국현, 금융시계열분석, 경문사, 2002.
  26. T. Amemiya, Advanced Econometric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