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9.03
  • Accepted : 2014.10.08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225 male nursing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April 1 to June 4, 2014.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beta}=0.33$, p<.001),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gender role conflicts and club activity.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33% of the adaptations to college life in male nursing students(F=23.50, p<.001). Therefore, programs for resolving gender role conflicts and reinforcing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social support network which consist of professors and the senior-junior nursing students will help to improv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in male nursi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남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4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beta}=0.33$,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약 22%설명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성역할 갈등, 동아리 활동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전체 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약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50, p<.001). 그러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처능력 강화와 성역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 선후배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망 구축이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간호협회, 남자 국시합격자 반세기만에 1천명 돌파, 2014.
  2. R. J. Meadus and J. C. Twomey, "Men in nursing; Making the right choice," Canadian Nurse, Vol.103, No.2, pp.13-16, 2007.
  3. R. J. Meadus and J. C. Twomey, "Men student nurses: The nursing education experience," Nursing Forum, Vol.46, No.4, pp.269-279, 2011. https://doi.org/10.1111/j.1744-6198.2011.00239.x
  4. 이정섭, 김남정, 두현정, 안지연, 이윤경, "남자 간호학생의 학과 적응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9-169, 2005.
  5. A. Stott, "Exploring factors affecting attrition of male students from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A qualita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27, No.4, pp.325-332, 2007. https://doi.org/10.1016/j.nedt.2006.05.013
  6. A. Stott, "Issues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male student nurse: Implications for reten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s," Nurse Education Today, Vol.24, No.2, pp.91-97, 2004. https://doi.org/10.1016/j.nedt.2003.09.005
  7. 김지현, 황매향, 유정이, "남자지배 학과 선택 남학생과 여성지배 학과 선택 남학생의 성역할, 성역할갈등, 진로미결정과 진로정체감", 청소년상담연구, 제12권, 제1호, pp.132-142, 2004.
  8. J. M. O'Neil, B. J. Helms, R. K. Gable, L. David, and L. S. Wrightsman,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Vol.14, pp.335-350, 1986.
  9. 이도영, 백성희, 최준경, "남자간호학생의 학업경험", 전인건강과학회지, 제3권, 제1호, pp.25-36, 2013.
  10. 최선주, "여성주류 사회 속의 남자간호대학생의 생활 체험", 질적연구, 제4권, 제1호, pp.52-62, 2003.
  11. J. H. Lou, R. H. Li, H. Y. Yu, and S. H. Chen,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job adjustment and service attitude amongst male nur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0, pp.864-872, 2011.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0.03387.x
  12. 최지혜, 박미정,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39-349, 2013. DOI :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339
  13. C. E. O' Lynn, "Gender-based barriers for male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programs: Prevalence and perceived importa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3, No.5, pp.229-236, 2004.
  14. 윤미선, "남자간호대학생의 남자간호사에 대한 이미지와 직무 인식", 전인건강과학회지, 제2권, 제2호, pp.95-106, 2012.
  15. 신현숙, 구본용,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제9권, 제1호, pp.189-225, 2001.
  16. L. Magnussen and M. J. Amunds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experienc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5, No.4, pp.261-267, 2003.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3.00158.x
  17. 곽윤경,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178-2186, 2013.
  18. J. Hefner and D. Eisenber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9, No.4, pp.491-499, 2009. https://doi.org/10.1037/a0016918
  19. B. Montes-Berges and J. M. Augusto,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copin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4, No.2, pp.163-171, 2007.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7.01059.x
  20.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27, 2013.
  21.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2.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3. 김지현, 황매향, 유정이, "한국어 성역할 갈등 척도 (Korean Gender Role Conflict Scale: K-GRCS)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4권, 제3호, pp.35-41, 2003.
  24. 김정희,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7권, 제1호, pp.44-69, 1995.
  25.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26. 문재영, 대학생의 기업체 예비학습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R. W. Baker and B. Siryk,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nnaire man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28. 이윤정,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9. 이경주, 김미영,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질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46-57, 2014.
  30.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31. J. McMillian, S. A. Morgan, and P. Ament, "Acceptance of male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8, No.1, pp.100-106, 2006.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6.00066.x
  32. S. H. Chen, C. M. Fu, R. H. Li, J. H. Lou, and H. Y. Yu,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4, No.7, pp.862-882, 2012. https://doi.org/10.1177/0193945910384603
  33. 김건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01-313, 2014.
  34. 김은아, 장금성,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구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312-322,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312
  35. 정효주, 정향인,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 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88-196, 2012.
  36. 서미, 최보영, 조한익,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7권, 제2호, pp.271-288, 2006.
  37. 박진아,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67-276,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67
  38. 박정희,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125-144, 2009.
  39. 최바올,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이 대학생활의 적응과 스트레스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0.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제22권, 제1호, pp.23-33, 2014.
  41. 박복남, 박종선, 이정란,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53-164, 2009.

Cited by

  1.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vol.22, pp.2,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71
  2. Predictors of subjectives happiness for male nursing students vol.27, pp.2,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2.511
  3.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ing Students Who Return to University after Military Service vol.27, pp.1, 2018, https://doi.org/10.12934/jkpmhn.2018.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