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ping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rom the Comparison of Traditional Medicine between Korea and Vietnam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의학 현황 비교를 통한 발전 방향 모색

  • Received : 2014.10.24
  • Accepted : 2015.01.28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medicine among the clinical doctors who working at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 in Vietna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month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2. As a result, the highest recognized traditional medicine was acupuncture(91.4%) and herbal medicine(86.1%). Almost of respondents had ever used acupuncture(99.4%), massage or acupressure(97.6%) and herbal medicine(95.3%) in daily clinical practice. And commonly treated health problem was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ease(23.5%). The most used diagnostic methods were tongue diagnosis and pulse diagnosis(97.6%). This survey will help to explor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raditional medicine of Vietnam and Korea. This survey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actively approach traditional medical markets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베트남 전통의학병원 임상의들을 대상으로 베트남 전통의학 인식도 및 활용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한국의 전통의학 현황과 비교하여 각국의 전통의학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350명의 베트남 임상의를 대상으로 1:1 인터뷰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설문 누락 항목이 없는 337건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베트남 임상의들은 전통의학 중 침구학과 약초학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의 90% 이상이 실제 임상에서 침구학을 사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마사지와 지압, 약초학 순으로 임상 활용도가 높았다. 이는 한국의 한의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8.6%가 침 치료 경험이 있고, 90.7%가 한약 복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베트남 전통의학 임상의들이 진료하는 주요 질환으로는 신경정신성 질환이 가장 많았고, 주로 사용하고 있는 진단 방법으로는 설진과 맥진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베트남의 전통의학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한국과의 전통의학에 대한 국제적 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 H. Landers, "Why health care Is going hom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63, No.18, pp.1690-1691,2010. https://doi.org/10.1056/NEJMp1000401
  2. 조현, 유진영, 박수희, "대체의학의 임상실험 현황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pp.603-606, 2010.
  3. 한방산업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보건산업진흥원, 2013.
  4. 이태형, 강연석, 차웅석, "한국저널에 수록된 보완대체의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DBpia에 수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제22권, 제1호, pp.69-80, 2009.
  5. 김병수, 강정수, "동의보감 집례에 근거한 동아시아 전통의학 역사의 삼원적구조-한의학과 중의학의 비교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746-753, 2008.
  6. 김덕곤, "한국한의학과 인도전통의학의 비교연구", 대한한의학회지, 제26권, 제2호, pp.201-216, 2005.
  7. 백영화, 김윤영, 장은수, "최근 3년간(2008-2010년)의 한의원 경영 현황 및 한의사의 인식도 조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7권, 제5호, pp.667-671, 2013.
  8. 남민호, 김윤지, 김호선, 박준형, 葉杏伊, 이예슬, 이순호, 정원모, 홍윤기, 이혜정, 박히준, 채윤병, "한국, 중국, 대만인의 전통의학 이용 의향에 미치는 요인 비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학회지, 제32권, 제1호, pp.36-55, 2011.
  9. 송성환, 최지애, "세계 전통의학 동향과 주요 한의학 R&D 분야에 관한 연구", 제16권, 제1호, pp.101-109, 2010.
  10. V. T. Nguyen, "Traditional Medicine in Vietnam. In: Oriental medicine: An Illustrated Guide to the Asian Arts of Healing," London: Serindia Publications, pp.209-216, 1995.
  11. 김슬기, 이상훈, 서현주, 백승민, 최선미, "국내보완대체의학 사용 실태조사 연구의 동향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제33권, 제1호, pp.24-41, 2012.
  12. 한방 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2.
  13. 이대원, 박지형, 엄시내, 김도원, 조승현, 고창용, 김한성, "지압과 온열의 조합마사지가 인체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제33권, pp.194-201, 2012. https://doi.org/10.9718/JBER.2012.33.4.194
  14. 장은수, 유종향, 김윤영, 박기현, 이시우, "사상체질 처방 활용 현황 및 유효 질환 조사", 사상체질의학회지, 제23권, 제1호, pp.87-97, 2011.
  15. 박영배, "맥진기의 현황과 전망", 대한한의진단학회지, 제1권, 제1호, pp.86-94, 1997.
  16. 김근호, 박경모, "설진의 과거와 미래 전망", 전자공학회지, 제37권, 제7호, pp.702-71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