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Focus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2.29
  • Accepted : 2016.03.28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by promoting the enhancing social relations in old age based on that. To attain the study goal, this researcher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272 elderly persons having experience to participate a senior employment project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elderly people's internal factors, self-esteem and external factor, job satisfaction, influence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i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have higher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their social relations are better.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provides politic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elderly people's self-esteem. Secon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ir worker's status, diversify business types and areas for them, and improve their labor conditions so that elderly people can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both official and non-official support systems and build networks to form new social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후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 사업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이 높일수록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근로자성의 인정, 사업유형 및 분야의 다양화,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공적 비공식적 지원체계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B. Neugarten, R. Havighurst, and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2. 박석돈, 박순미, 이경희, 노인복지론, 경기: 양서원, 2013.
  3.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사회적 지원망 특성: 연결 고리의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7-29, 2004.
  4. 통계청, 2014 한국의 사회동향, 2014.
  5. 박상철, 웰에이징, 서울: 생각하는 나무, 2009.
  6. 전혜정, 노년기 사회적 관계와 정신건강, 한국가정관리학회, 2003 성공적인 호화를 위한 가정관리전략 학술발표자료, 2003.
  7.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호, pp.331-354, 2013.
  8. 김동배,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1호, pp.211-231, 2008.
  9. 백지은, 최혜경,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16, 2005.
  10. 성영혜, 유정헌,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2호, pp.75-93, 2002.
  11.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60-1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12.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지지,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13.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23-13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23
  14. 정세희, 문영규,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4권, 제4호, pp.216-226, 2013.
  15. 박용두, 정민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16-226, 2013.
  16. 박경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인적자본, 사업참여 요인이 프로그램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노인인력개발포럼, 창간호, pp.48-64, 2008.
  17. 윤석경, 권정만, "노인일자리사업에서의 참여만족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제4권, 제2호, pp.31-54, 2010.
  18. 보건복지부, 2016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2016.
  19. 한경혜, 김주현, 김경민,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제23권, pp.6, 2003.
  20. 박영란, 박경순,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323-352, 2013.
  21. H. Litwin, The social network of older people, Westport: Praeger Publishers, 1996.
  22. D. Knoke and J. H. Kuklinski,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2.
  23.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 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제34권, pp.621-647, 2000.
  24. P. Crotty and R. Kulys, "Social Support Networks," Social Work, Vol.30, No.4, pp.56-70, 1985. https://doi.org/10.1093/sw/30.1.56
  25. P. A. Thoits,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c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buffering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3, pp.183-190, 1982.
  26. 김미곤, 노일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27. 함철호, 오혜연,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8호, pp.229-250, 2010.
  28. O. Olsen, L. Iversen, and S. Sabroe, "Age and the Operationalization of Social Support,"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32, No.7, pp.767-771, 1991.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302-S
  29. J. R. Bloom,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30, No.5, pp.635-637, 1990.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162-L
  30.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339-349, .
  31. D. Gill, B. Kelley, K. Williams, and J. Martin,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well-being to physical activity and stair climbing in older adult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Vol.65, No.4, pp.367-371, 1994. https://doi.org/10.1080/02701367.1994.10607642
  32. J. Gordon and W. Dowling, "Adult Learning on the Context of African-American Women's Voluntary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14, No.4, pp.306-319, 1995. https://doi.org/10.1080/0260137950140404
  33. 김은희, 이종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005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56-157, 2005
  34. 민순, 주리애, 정현필, 정영주, 김미란, 김윤경,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32-38, 2008.
  35. 하춘광, 김효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93-414, 2009.
  36. 허준수, "노인일자리사업과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참여 노인들의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14권, pp.89-128, 2011.
  37. 임은의, 구본진, 임세현,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567-590, 2014.
  38. A. Bandura and R. E. Wood,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pp.805-814,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6.5.805
  39. 배지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0. 김계하,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주관적질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1. 윤혜미,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 이직의 도, 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18권, pp.83-116, 1991.
  42. 설진화,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7권, pp.47-66, 1999.
  43. 지은숙,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