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ws Frame Analysis of Real Estate Policy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 분석

  • 김성용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 오세준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6.03.29
  • Accepted : 2016.05.24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e public mostly get the information regarding real estate policy not from the press release of the government but from news articles. This type of information, though, might be delivered in a different frame depending on inclination of media or press. The media runs the articles within its own frame, so that it often conveys either expectation or concern depending on its inclin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rticles regarding 'Agreement to revise three major real estate regulations to perk up property market' and examined how the real estate policy imprinted in them depending on the disposition of the p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ervative press ran articles within a positive frame expressing favorable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progressive press mostly kept neutral or unfavorable tone on the same regulations within the negative fram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 different frames within articles depending on their disposition.

대다수의 국민은 부동산정책을 접할 때 정부의 보도자료 보다는 언론기사를 주로 접하며 정보를 얻는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언론사의 성향과 독자의 계층에 따라 다른 프레임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언론사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하여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기대와 찬성 또는 우려와 비판의 프레임으로 기사를 보도한다. 따라서 어떤 성향의 언론보도를 접하느냐에 따라 국민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와 우려는 바뀌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어떤 프레임을 가지고 신문보도에 투영되는지 '부동산 3법에 대한 여야합의 및 국회통과'와 관련된 기사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보수성향의 언론사는 부동산 3법의 국회통과에 대하여 긍정적 논조의 보도 및 정책에 대한 호의적 전망 프레임의 비율이 높았고, 진보성향의 언론사는 국회통과에 대한 중립적 또는 부정적 논조의 보도 및 정책에 대한 부정적 전망 프레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부동산 정책과 관련하여 여야가 합의한 사안이라 하더라도 보수와 진보로 구분되는 언론매체들 사이에 보도프레임에 대하여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신,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제3권, 제1호, pp.157-196, 2007.
  2. 김선덕, 김갑성, 김현아, 권대중,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대책," 도시정보, pp.3-22, 2013(6).
  3. 김수정, 김은이, "경제보도의 미디어 프레임과 정부의 경제정책: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보도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제24권, 제1호, pp.425-454, 2014.
  4. 김은희, 반현, "뉴스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언론의 위해식품 보도태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7권, pp.234-257, 2012.
  5. 반현, "소수인종 프레이밍 : LA폭동 전후 LA Times의 한인 이미지 변화, 한국언론학연구, 통권 제2호, pp.91-113, 2001.
  6. 이석능, "국책사업 입지 선정 관련 중앙.지역신문간 기사 프레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488-49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488
  7. 이완수, "한국 경제뉴스의 속성 프레임 효과 연구," 언론과 사회, 제15권, 제1호, pp.86-122, 2007.
  8. 임미영, 안창현, 감규식, 유홍식, "박근혜에 대한 보도 프레임 분석,"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457-498, 2010.
  9. 정석환, "국정최고의사결정자의 정책신념에 관한 연구(III): 제16대 노무현대통령의 부동산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02-2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02
  10. 최진봉, "텔레비전 뉴스 콘텐츠에 나타난 탈북민의 이미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03-414, 2016.
  11. 최영재, "집중점검 8.31 부동산대책과 언론보도," 신문과 방송, 한국언론진흥재단, 2005.
  12. P. Berger and T. Luchman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Doubleday, 1967 ; 박충선 역, 지식형성의 사회학, 기린원, 1989.
  13. B. Hester and R. Gibson, "The Economy and Second-level Agenda Setting: A Time-Series Analysis of Economic News and Public Opinion about the Economy,"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0, pp.73-90, 2003. https://doi.org/10.1177/107769900308000106
  14. G. Tuchman,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Press, 1978 ; 박홍수 역, 메이킹 뉴스: 현대사회와 현실의 재구성, 나남, 1995.
  15. H. A. Semetko and P. M. Valkenburg, "Framing european politics: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0, pp.93-109, 2000.
  16. R. M. Entman,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s in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1, No.4, pp.6-27, 1991.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1.tb02328.x
  17. R. M. Entman, "Framing :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4, pp.51-58, 19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304.x
  18. S. Iyengar,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19. T.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20. www.chosun.com
  21. www.donga.com
  22. www.hani.co.kr
  23. www.khan.co.kr
  24. www.kind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