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Quality of the Nursing Hospital in Japan on the Inpatient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일본 요양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이 입원환자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황선자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일본학과)
  • Received : 2018.08.29
  • Accepted : 2018.10.26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edical service quality of the nursing hospital on the inpatients'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patients'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5 male and female inpatients in Hiroshima in Japan.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as a model of path coefficients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and hypothesis test. As a result of verification, level of medical team and medical service, reception, facility and fee of the medical service quality of the nursing hospital perceived by the inpati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patients' satisfaction. The inpatients'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reuse intention. The level of medical team and medical service, reception, facility and fee of the medical service quality of the nursing hospital perceived by the inpatients shows a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use intention. But, they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use intentio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patients'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medical service quality on the inpatients'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of the nursing hospital. In this process,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role and function of medical service quality of the nursing hospital.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입원환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입원환자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본 히로시마 소재 요양병원 입원환자 255명으로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얻은 경로계수로 모형과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입원환자인 고객이 지각하는 의료서비스 품질의 의료진 및 의료수준, 응대성, 시설 및 요양비용 품질 요인은 입원환자 만족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입원환자 만족과 재이용의도 간의 경로계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한편, 입원환자인 고객이 지각하는 의료서비스 품질의 의료진 및 의료서비스 품질, 응대성, 시설 및 요양비용 품질 요인은 입원환자 만족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입원환자 만족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산업 차원의 마케팅전략에 있어서, 의료서비스 품질을 반영하여, 요양병원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요양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의 역할 및 작용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58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조사대상자의 특성

CCTHCV_2018_v18n11_581_t0001.png 이미지

표 2. 측정도구 구성 및 출처

CCTHCV_2018_v18n11_581_t0002.png 이미지

표 4. 전체 연구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18_v18n11_581_t0003.png 이미지

표 3. 연구변수들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적합도

CCTHCV_2018_v18n11_581_t0004.png 이미지

표 6. 연구가설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1_581_t0005.png 이미지

표 5. 연구모형의 적합도 비교

CCTHCV_2018_v18n11_581_t0006.png 이미지

표 7. 요양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입원환자 만족도 요인의 매개효과

CCTHCV_2018_v18n11_581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최귀선, "의료서비스에서 SERVQUAL 활용에 대한 고찰," 보건행정학회, 제19권, 제4호, pp. 140-156, 2000.
  2. 김미교, 병원선택요인에 따른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 김성수, 서비스관계에 따라 서비스품질, 서비스가 치, 감정반응 및 명성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영구, 김교원, "의료종사자와 고객 간의 관계의 질이 병원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논총, 제22권, 제1호, pp. 205-228, 2007.
  5. 김현애,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의 집행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3호, pp. 44-49, 2016. https://doi.org/10.20924/CCTHBL.2014.12.3.044
  6. 이광재, 한국과 일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제정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 정책네트워크모형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E. Babacus and W. G. Mangold, “Adapting the SERVQUAL Scale to Hospital Service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Health Service Research, Vol. 26, No. 6, pp. 767-768, 1992.
  8. K. D. Bopp, “How Patients Evaluate the Quality of Ambulatory Medical Encounters : A Marketing Perspective,” Journal Health Care Marketing, Vol. 10, No. 1, pp. 6-16, 1990.
  9. A. Donabedian, “The Quality of Care : How Can It Be Assessed?,”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6, No. 12, pp. 1743-1748, 1988.
  10. 박종환, 의료서비스품질이 감정과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 이정철, 의료서비스품질이 의료고객 만족과 지 속가능한 의료관광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박재산, "병원입원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 만족도, 서비스 가치, 병원 재이용 의사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Vol. 7, No. 4, pp. 123-151, 2002.
  13. 권해경, 의료기관의 서비스품질이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R. S. Lytle and M. P. Mokva, “Evaluating Health Care Quality : The Moderating Role of Outcomes,”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 12, No. 1, pp. 460-469, 1992.
  15. M. B. Zifko Georgette and F. K. Robert, “Marketing Perception of Hospital Quality,” Marketing Health Services, Vol. 17, No. 1, pp. 28-35, 1997.
  16. E. Day and M. R. Crask, "Value assessment the antecedent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ur, Vol. 13, pp. 42-50, 2000.
  17. G. C. Pasco, "Patient Satisfaction in Primary Health Care :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 6, pp. 185-210, 1983. https://doi.org/10.1016/0149-7189(83)90002-2
  18. P. S. Linder, “Toward the Patient Theory of Patient Satisfaction,” Social Science Medical, Vol. 16, No. 5, pp. 583-589, 1982. https://doi.org/10.1016/0277-9536(82)90312-4
  19. K. Megivern, Margo Haim, and G. Jones, “Measuring patient satisfaction as an outcome of nursing care,” Journal of Nursing Quality, Vol. 6, No. 4, pp. 9-24, 1992.
  20. 박광민, 종합병원 이용자의 병원선택요인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1. 이성각, 호텔경영형태에 따른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경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2. A. D. Baker and J. L. Crompton,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7, No. 3, pp. 785-804, 2000.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108-5
  23. Brady, Robertson and Cronin, “Deeping the Understanding of Hospital Patient Satisfaction : Fulfillment and Equity Effects,”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 5, No. 3, pp. 7-18, 2001.
  24. L. L. Berry,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Growing Interest, Emerging Perspectiv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23, No. 4, pp. 236-245, 1995. https://doi.org/10.1177/009207039502300402
  25. F. F. Reichheld and W. E. Sasser, “Zero Defections : Quality Comes to Services,” Harvard Business Review, Vol. 68, No. 9, pp. 105-111, 1990.
  26. 김병용, 노인전문병원의 의료서비스품질이 환자 만족, 관계품질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7. S. Steiber and W. H. Krowinski, Measuring and Managing Patient Satisfaction, American Hospital Publishing, 1990.
  28. R. L. Oliver and W. O. Bearden, “Disconfirmation Process and Consumer Evaluations in Product Us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13, No. 3, pp. 235-246, 1985. https://doi.org/10.1016/0148-2963(85)90029-3
  29. 문기태, 의료소비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의 구성차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30. 박재산, "병원입원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 만족도, 서비스 가치, 병원 재이용 의사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Vol. 7, No. 4, pp. 123-151, 2002.
  31. 이혜진, 외래 간호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2. 양종현, 송태균, 장동민, "의료서비스품질이 암환자의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 269-28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69
  33. 권정희, 호텔레스토랑에서의 서비스회복공정성이 관계의 질, 만족, 재구매의도,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4. L. A. Crosby, K. R. Evans, and D. Cowels, “Relationship Quality in Service Selling :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Vol. 54, No. 4, pp. 3-21, 1990. https://doi.org/10.1177/002224299005400402
  35.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 5, No. 8, pp. 20-38, 1994.
  36. 이상영, 여행사 브랜드자산이 브랜드충성도 및 고객의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