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Building's Attractiveness and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 Centered with the Effects of Medical Integration

중·소병의원 건물매력도와 교통인프라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집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research refers to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health care facilities and health care fac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health care in relation to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Orthographic analysis First, a hypothesis was adopted that the attractiveness of building materials will affect the positive (+) impact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transport infrastructur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has been denied.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building appea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of the medical industry is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the transport infrastructur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care is adopted. Fifth, the hypothesis that medical integr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is adopted. Sixth, the hypothes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lient was found to be partly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re was a partial role. The assump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traffic infrastructure was established has been identified as a complete para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provide the basis for selecting the location for future health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중소병의원의 개원 및 운영과 관련하여 입지 및 건물의 매력도와 의료집적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의료집적성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매력도가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교통인프라가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건물매력도가 의료집적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교통인프라가 의료집적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의료집적성이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여섯째, 건물매력도와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를 의료집적성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매개역할이 있음이 확인되어 채택되었다. 일곱째, 교통인프라와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를 의료집적성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완전매개역할이 있음이 확인되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의료서비스 시설의 입지선정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건강보험통계연보, 2016.
  2. 대한의사협회, 국민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제안서, 2017.
  3. 김경환, 장영일, 의료산업 혁신전략과 실천, 대명, 2009.
  4. 이용규, 도시 병원입지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시를 사례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5. 유정화, 성형외과의 입지와 방문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 차길수, "서비스기업의 입지의사결정에 관한 개념적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7권, 제2호, pp.185-208, 2004.
  7. 이건세, "지리적 접근성을 이용한 도시지역 보건지소의 입지선정," 예방의학학회지, 제29권, 제2호, pp.216-218, 1996.
  8. 김춘배, 강명근, 고상백, 김한중, 유승흠, 손명세, "중심지이론을 이용한 의사의 지역적 분포에 관한 실증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6권, 제2호, pp.58-90, 1996.
  9. 이준규, 입지 및 의료서비스 품질이 교정치과의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 김흥순, 정다운, "서울시 의료시설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3집, 제1호, pp.27-45, 2010.
  11. 류지수, "대구경북지역 종합병원 입지와 소비자의 의료서비스 선택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제12권, 제1호, pp.195-212, 2010.
  12. 이승연, 요양병원 입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3. 박종덕, 의료서비스산업 입지요인 정립에 관한 연구 : 입지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영양관계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 William Alonso, "location and land: Toward a General Theory of Land Rent," Honolulu: East-West Center Press, Vol.42, No.3, pp.1-5, 1966.
  15. 김수배, "병원의 외적환경 변화와 적응 대한병원협회지," 제23권, 제5호, pp.39-44, 1994.
  16. 김종성, 병원입지선정에 관한 분석적 연구 : 적정입지 요건의 모색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17. M. H. Vahidnia, A. A. Alesheikh, and A. Alimohammadi, "Hospital site selection using fuzzy AHP and its derivativ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90, No.10, pp.3048-3056, 2009. https://doi.org/10.1016/j.jenvman.2009.04.010
  18. 김영진, 부동산학 범론, 동경 : 동경법경학원 출판부, 1979.
  19. 이호병, 부동산 입지론, 서울 : 형설출판사, 2005.
  20. 이기용, 의료용 부동산 입지선정 및 투자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1. 서월순, 클리닉센터 입지선정요인과 사업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2. 이용재, "지역특성이 보건의료자원 분포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상황과 복지, 제21권, 제21호, pp.49-78, 2005.
  23. 서위연, 전문과목별 병원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4. 변문정, 울산시 의료시설의 공간적 입지패턴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5. 이광수, 홍상진, "한방병원의 입지특성과 내원환자 규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제20권, 제4호, pp.97-113, 2010.
  26. 공고은, 진료과목별 병원 입지요인 및 의료서비 AHP를 이용한 의료시설 서비스시설스품질과 의료기관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박종덕, 의료서비스산업 입지요인 정립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8. 오영희, 병원입지요인 및 의료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9. 길혜민,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을 활용한 요양병원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0. 최영근, 이동명, "AHP를 이용한 의료서비스시설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28권, 제8호, pp.293-308, 2017.
  31.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서울, 2002.
  32.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서울, 2015.
  33.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4. 조현주, 최종석, "중소/전문병원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실행 분류체계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25권, pp.407-417, 2013.
  35. 김석태, 오찬옥, "병원선택에 미치는 요인과 사용자 집단간의 인식차이,"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제18권, 제4호, pp.39-51, 2012.
  36. 최명일, 김찬아, 유재웅, "AHP를 이용한 병원선택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광고연구, 제89호, pp.155-176, 2011.
  37. 정윤, 김슬기, 이견직,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활용한 도심형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133-158, 2014.
  38. 국토연구원,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평가방안연구, 2009.
  39. 정용일,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정책형성연구 : 정책흐름모형과 Allison 모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0. 김상한, 병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 병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1. 지은희, 강성홍, 김유미, "병원외래고객만족도 평가의 의료서비스 최적화 방법적용,"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1호, pp.463-49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