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Input and Performance of Technical Support for ICT SMEs

ICT 중소기업 기술지원 투입과 성과간의 영향요인 분석

  • 이형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협력부) ;
  • 이용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협력부) ;
  • 박소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협력부) ;
  • 이일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협력부) ;
  • 김서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협력부) ;
  • 박근영 (주식회사 윕스 기술가치평가센터)
  • Received : 2018.01.05
  • Accepted : 2018.01.24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aim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echnical support input and performance of companies benefiting from ICT SME technology support operated by ETRI.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we surveyed 181 companies who received technical support between 2015 and 2017,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factors and performance factors through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was directl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level, and the cost reduction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support, the year of support, and the service quality. Also, input factors affecting contribution sales are the amount of support, and the support year and quality of support services are not effectiv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chnolog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on job creation,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job creation increases as the contribution sales increase.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운영 중인 ICT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수혜한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투입과 성과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2015년~2017년 사이에 기술지원을 수혜한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경로분석을 통하여 투입요인과 성과요인 사이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수준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원서비스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고, 비용절감 효과는 지원건수, 지원연차, 지원서비스 품질 모든 변수로 부터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기술지원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비용절감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여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요인은 지원건수이며, 지원연차와 지원 서비스품질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 경제적성과가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여매출액이 많이 발생할수록 고용창출효과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6
  2. 김수경, 이상용, "한국의 ICT산업의 발전과 고용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2호, pp.77-95, 2014. https://doi.org/10.14329/isr.2014.16.2.077
  3. 조병선, "독일 히든챔피언의 지속가능 성장요인: 독일 장수가족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3호, pp.79-110, 2013.
  4. P. N. O'Farrell and D. M. W. N. Hitchens, "Alternative theories of small-firm growth: a critical review," Environment and Planning, Vol.20, pp.1365-1383, 1988. https://doi.org/10.1068/a201365
  5. 이후성, "정부 R&D지원 유형에 따른 중소기업 기술적 성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3-97, 2015.
  6. 이형주, 이용훈, 이일진, 박소라, "탐색적 FGIdhk Delphi기법을 활용한 ICT 중소기업 기술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9호, pp.35-46,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9.35
  7. 이의영, 김경환, 신범철, "기술개발 지원 정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4호, pp.367-389, 2009.
  8. 전승표, 성태응, 서주환, "중소기업 R&D 정보 지원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ICT 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pp.48-79, 2016.
  9. Z. J. Acs and D. B. Audretsch, Innovation and Small Firms, MA: Cambridge, MIT Press, 1990.
  10. P. Hurmelinna-Laukkanen, Liisa-Maija Sainio, and T. Jauhiainen, "Appropriability regime for radical and incremental innovations," R&D Management, Vol.38, No.3, pp.278-289, 2008.
  11. 조남재, 기술기획과 로드매핑:미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시그마프레스, 2015.
  12. 이형주, 이용훈, 김태홍 ,김주석, "중소기업 기술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04-21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204
  13. 김상오, 윤선희,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279-298, 2014.
  14. N. P. Greis, M. D. Dibner, and A. S. Bean, "External partnering as a response to innovation barriers and global competition in biotechnology," Research Policy, Vol.24, pp.609-630, 1995. https://doi.org/10.1016/S0048-7333(94)00789-6
  15. G. P. Pisano, W. Shan, and D. J. Teece, Joint ventures and collabor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In D. Mowery(E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Ventures in U.S. Manufacturing, Ballinger Publishing, 1988.
  16. 김규남, 정현준, 오승환, "ICT 산업 R&D 투자의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32권, 제3호, pp.55-81, 2016.
  17.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연차보고서, 2016.
  18. 김선우, 양현채, 중소기업의 협력 R&D 수행현황과 네트워크 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19. 박웅, 김은정, 박호영, "ICT 분야 중소기업의 산.연 공동 연구 의사 결정 영향 요인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2호, pp.25-44, 2016.
  20. 김복철,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7.
  21. 윤수재, 김지수, "중앙정부 정책만족도 개선방안에 대한 내부고객과 외부전문가의 인식분석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0권, 제3호, pp.133-161, 2011.
  22. V. Meter and V. Hor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Administration & Society, 1975.
  23. R. Nakamura and F. Smallwood, The Policy Implementation, St. Martin's Press, 1980.
  24. 이병헌, 이수욱, 위세안,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5호, pp.157-171, 2014.
  25. 박문수, 이호형, "혁신형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정책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4권, 제1호, pp.197-218, 2012.
  26. 이현식, 서영욱, "ICT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방식에 따른 R&D 성과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4-4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034
  27. Scott J. Wallsten, "The effects of government -industry R&D programs on private R&D: the case of the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program,"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31, No.1, pp.82-100, 2000. https://doi.org/10.2307/2601030
  28. 김두섭, 사회과학을 위한 회귀분석, 법문사, 1994.
  29. G. W. Bohrnstedt and D. Knoke, Statistics for Social Data Analysis, Peacock Publishers, 1994.
  3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008.
  31. B. M. Byrn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