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 작품으로 본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영향력과 영감

William Shakespeare's Influence and Inspiration on Musical Works

  • 길한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 투고 : 2018.03.08
  • 심사 : 2018.04.22
  • 발행 : 2018.04.28

초록

이 논문은 음악사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작품들을 토대로 탄생한 다양한 음악작품을 중심으로 음악사 안에 내재된 셰익스피어의 영향력과 가치를 재조명한다. 그 방법으로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언급함과 동시에 동일 소재를 사용한 서로 다른 음악 작품들을 분석하며, 또한 셰익스피어가 제공한 극적 장치에 따른 음악적 구현에 관하여 '셰익스피어의 음악적 언급과 텍스트', '구성적 본보기와 그 변형', '인물묘사와 인간상의 구현', '장르적 다양성과 창조적 가능성' 등 네 가지 측면을 통하여 고찰한다.

This paper reevaluates the influence and value of Shakespeare inherent in the history of music, focusing on the works of playwright William Shakespeare who have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history of music and various musical works derived from his work. To consider ways referred to the original work of Shakespeare,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different musical pieces with his same material, and also about the musical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atrical devices provided by Shakespeare through the four aspects of 'Shakespeare's musical descriptions and texts', 'Configuration model and its variants', 'Portrayal of person and human character' and 'Genre diversity and Creative pos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E. E. Blind, "Shakespear's Influence on Music," Music Journal, New York, Vol.8, No.3, p.10, 1950.
  2. 김창호, "셰익스피어의 극과 음악," 새한영어영문학, 제54권, 제1호, pp.20-22, 2012.
  3. 박주향, "로저 퀼터(Roger Quilter)의 셰익스피어 연가곡연구: 세 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음악사연구, 제4권, pp.113-115, 2015.
  4. 진영종, "셰익스피어 시대 극장의 연극 장치에 한 연구,"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16권, p.299, 2009.
  5. 박정근, "베르디 오페라 오텔로의 연극적 변용과 그 의미,"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제17권, 제2호, pp.155-156, 2008.
  6. John W. Klein, "Verdi's 'Otello' and Rossini's," Music & Letters, Vol.45, No.2, 1964.
  7. E. K. Minear, ""A verse to this note": Shakespeare's haunted songs," The Upstart Crow; Clemson, Vol.29, pp.11-12, 2010.
  8. George Jellinek, History Through the Opera Glass: From the Rise of Caesar to the Fall of Napoleon, Kahn & Averill, pp.90-91, 1994.
  9. Rachal Becker, ""Wherefore art thou Romeo?": The Travesti Role of Bellini's I Capuleti ei Montecchi," The New Collection, Vol.7, pp.1-2, 2012.
  10. Sara Venturino, Musical-Istruzioni per l'uso, Ricordi, pp.224-225, 2000.
  11. 김광선, "서양연극 및 공연이론:뮤지컬의 다층적 언어-《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음악분석," 한국연극학, 제23권, pp.256-262, 2004.
  12. 김균형, "각색을 통한 '위상전이'에 대한 연구 - 프랑스 뮤지컬 <>를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42호, pp.114-122, 2012.
  13. 김균형, "프랑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et Juliette>의 구성 연구," 프랑스학연구, Vol.66, pp.417-420, 2013.
  14. Gilbert R. Davis, "Verdi's Projected Re Lear a study of frustration and dramatic genius," Grand Valley Review, Vol.2, 1986.
  15. William Berger, Verdi with a Vengeance: An Energetic Guide to the Life and Complete Works of the King of Opera, Vintage Books, pp.497-498, 2000.
  16. 이수완, "베르디의 초기 오페라 <맥베스>의 연구: 연극의 오페라 변용을 중심으로," 음악사 연구, 제4권, p.72, 2015.
  17. 이혜경, "베르디의 맥베스의 주역- 맥베스부인,"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제11권, 제2호,pp.40-42, 2002
  18. Wikipedians, Hector Berlioz, The Complete Guide, Pedia Press, p.99, 2008
  19. J. L. Tipton, A document in death and madness: A 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study of nineteenth - century art song settings on the death of Ophelia, Fine Arts, pp.31-38, 2014.
  20. 이혜진, "19세기 후반기 '표제적 관현악 작품'의 장르 문제 연구 - 리스트의 교향시 <햄릿>(1858)에 나타나는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과의차별성 연구를 중심으로," 음악논단, 제32집, pp.96-98, 2014
  21. 이재용, "햄릿에 대한 19세기의 음악적 해석: 베를리오즈, 리스트, 차이코프스키의 <햄릿>을 중심으로," 음악사연구, 제4권, pp.152-155, 2015
  22. 이혜진, “차이코프스키 '환상서곡'의 장르적 경계의 모호성–환상서곡 미오와 줄리엣 (1880)과 햄릿(1883)을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제14권, 제3호, pp.136-138, 2011.
  23. 박은송, 셰익스피어 희곡 <햄릿>의 음악적 서사표현 연구 : 리스트의 교향시 <햄릿>과 차이코프스키의 환상서곡 <햄릿>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연극학), pp.97-110, 2016
  24. Nigel Smith,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in Tchaikovsky criticism, Context,” Journal of Music Research, Issue.4, pp.5-7, 1992.
  25. 김강, "셰익스피어를 노래하다. 국내외 셰익스피어 공연에 대한 통시적 고찰과 문화적 전망," 영어영문학21, 제23권, 제4호, pp.39-40, pp.44-45, 2010.
  26. Laura MacDonald, William A. Everett, The Palgrave Handbook of Musical Theatre Producers, Palgrave Hndbooks, pp.492-49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