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Internal Competency on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내부역량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용주 (보건복지부 국립공주병원)
  • Received : 2019.10.04
  • Accepted : 2019.11.01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pabilities and job satisfaction using the 7S model and propose measure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internal factors. For this study, seven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up, and the survey conducted among members of all professio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20, 2016, 385 people were surveyed, and 327 pieces of data (84.9%) used for the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cap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earch model was suitable by showing 69.1%, and among the 7S factors, the leadership style (β=.392**),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β=.129*), the membership (β=.232**), and the management technique (β=.204*)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at has been confirmed to affect job satisfaction as the standardized factor values increase. Relationships between strategies, systems, and shared values on job satisfaction could not be identified.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internal capacity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is that internal capacit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improvement measures. Internal capacity can b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size, and location. Further implications will also be provided for measuring future internal satisfaction levels separately from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본 연구는 7S 모형을 이용하여 내부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내적요인을 통한 경영성과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지방중소도시의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모든 직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2016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38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327매(84.9%)의 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내부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69.1%를 보여 적합하였으며, 7S 요인 중 리더십 스타일(β=.392**), 조직구조(β=.129*), 구성원(β=.232**), 관리기술(β=.204*)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표준화 계수 값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략, 시스템, 공유가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일부 내부역량 요인들과 직무만족도와의 유의한 관계 확인은 내부역량이 조직의 성과향상 방안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내부역량은 설립구분, 규모, 위치 등 다양한 환경변수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향후 내부만족도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재요인 등으로 분리하여 측정하는 것도 더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배현진, 기업 내부역량이 공동브랜드 활용 집약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이창호, 병원의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갈등, 직무만족의 관계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 J. B. Quinn, Strategies for Change: Logical Incrementalism, Richard D. Homewood Ill : Irwin. 1980.
  4. A. M. Pettigrew,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4, No.4, pp.570-581, 1979. https://doi.org/10.2307/2392363
  5. W. G. Ouchi, Markets, Bureaucracies and Cla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5, pp.129-141, 1980. https://doi.org/10.2307/2392231
  6. T. J. Peters and R. H. Waterman, In Search of Excellence: Lessons from America's Best-Run Companies, k: Harper and Row, Prentice-Hall, 1982.
  7. R. Hoppock, Job Satisfaction, Harper and Brothers, 1935.
  8. 예동민, 조직진단 7S 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A재단 산하병원을 대상으로,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F. Herzberg, "The Motivation to Work Among Finnish Supervisors," Personnel Psychology, Vol.18, No.4, pp.393-402, 196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65.tb00294.x
  10. C. I. Alderfer,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 in Organizational Settings, The Free Press. 1972.
  11.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 D.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 pp.1297-1343, 1976.
  12. 김상한, 병원 간호사에 대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LMX, 지각된 조직지원 및 병원규모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3. B. M. Bass,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 Vol.1. No.18, pp.19-31, 1990. https://doi.org/10.1016/0090-2616(90)90061-S
  14. R. House, M. Javidan, P. Hanges, and P. Dorfman, "Understanding Cultures and Implicit Leadership Theories Across the Globe: an Introduction to Project Globe,"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37, No.1, pp.3-10, 2002. https://doi.org/10.1016/S1090-9516(01)00069-4
  15. 정영석, 파워풀 컨베이션: 강력한 리더들의 의사소통 비법, 거름출판사, 2006.
  16. A. D. Chandler, Strategy and Structure , MIT Press, 1962.
  17. C. I. Barnard, Functions of the Executive , Harvard University Press, 1938.
  18.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4th Edition, Published by Jossey-Bass, 2010.
  19. D. Katz and R. L. 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 John Wiley and Sons, Inc. 1966.
  20. 서영, 이상호, "공연예술기관의 조직진단모형 7S 요인이 과제환경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9권, 제1호, pp.427-439, 2018.
  21. 윤호, 병원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2. 엄지현, 병원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3. J. Peppard, "The Conundrum of IT Management,"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6, No.4, pp.336-345, 2007. https://doi.org/10.1057/palgrave.ejis.3000697
  24. R. T. Pascale and A. G. Athos,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NY, Penguin Books. 1981.
  25. R. M. Grant, "The Resource-Based Theory of Competitive Advantage: Implications for Strategy Formul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3, No.3, pp.114-135. 1991. https://doi.org/10.2307/41166664
  26. 허갑수, 병원조직의 문화적 특성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7. 최정, 하나선, 박효미, 간호조직문화 7S 요인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55-263, 2004.
  28. J. M. Burns, Leadership , Harper & Row. 1978.
  29. 박영배, "기업 종업원의 근로 가치관과 리더십 스타일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34-160, 1996.
  30. R. Buzzel, B. Gale, and R. Sultan, "Market Share a Key to Profita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53, No.1, pp.97-106, 1975.
  31. R. E. Miles and C. C. Snow, Organizational Strategy, Structure and Process, McGraw-Hill Book Co. 1978.
  32. M. E. Porter, Competitive Strategy: Techniques for Analyzing Industries and Competitors, Free Press. 1980.
  33. V. Govindarajan and A. K. Gupta, "Linking Control Systems to Business Uni-Strategy: Impact on Performance,"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Vol.10, No.1, pp.51-66, 1985. https://doi.org/10.1016/0361-3682(85)90031-5
  34. 손은호, 호텔기업의 핵심역량과 경쟁전략 간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5. 송현경, 김순기, "병원의 전략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93-110, 2011.
  36. 심계원, 경영전략이 경영정보시스템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7. 장원혁, 전문병원의 역량, 경영환경 및 경쟁전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8. 오석홍, 조직이론(제7판), 박영사, 2011.
  39. J. M. Pfiffner and F. P. Sherwoo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rentice-Hall, 1960.
  40. J. Hage and M. Aiken, "Routine Technology,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Tool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4, No.3, pp.366-376, 1969. https://doi.org/10.2307/2391132
  41. 최재웅, 7S 관점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경영성과 영향 연구,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2. 강성원,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3. 김미숙, 배성윤, 서보민, "종합병원 여성근로자의 조직몰입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와 성취욕구의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7권, 제2호, pp.311-325, 2014.
  44. 손운선,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이직 의도와 조직 갈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5. 최철문, 조직진단 요인의 분류와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류,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