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 개발

  • 위영은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 ;
  • 정효정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
  • 임정연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 Received : 2018.09.28
  • Accepted : 2018.11.18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learning based education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ave developed a training model that includes definitions of flipped-learning, major learning activities, and operational strategies in each occupation. In addition, delphi survey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model for HRD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pecialists. Finally, the flipped-learning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nsists of three stages: Pre-learning, Main-learning, and Post-learning. Pre-learning stage include Online lectures, Simple tasks, Main-learning stage include Active learning and Coaching-Debriefing lecture, Post-learning stage includes Individual reflection-Additional task performance activities. The educational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the focus on improving the linkage and the performance of the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 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해당 직종에서의 플립러닝의 정의, 단계별 주요 학습활동, 운영 전략을 포함하는 교육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HRD 및 직업교육훈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용 모델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교육모델은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의 3단계로 구성되며, 사전학습 단계는 온라인 강의 수강-간단한 과제 수행, 본 학습 단계는 도입활동-능동적 학습활동 및 코칭-디브리핑 강의, 사후학습 단계는 개별 성찰-추가과제 수행 활동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육모델은 직업교육훈련의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가능하며, 연계성과 훈련성과 향상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3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직업교육훈련 플립러닝 모델 개발 절차

CCTHCV_2019_v19n1_37_f0002.png 이미지

그림 3. 직업훈련에서의 플립러닝 교육모델(최종)

표 1. 델파이 조사 참여 전문가 리스트

CCTHCV_2019_v19n1_37_t0001.png 이미지

표 2. 교육모델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토 결과(1차)

CCTHCV_2019_v19n1_37_t0002.png 이미지

표 3. 운영전략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토 결과(1차)

CCTHCV_2019_v19n1_37_t0003.png 이미지

표 4. 플립러닝 교육모델 수정 내용

CCTHCV_2019_v19n1_37_t0004.png 이미지

표 5. 교육모델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토 결과(2차)

CCTHCV_2019_v19n1_37_t0005.png 이미지

표 6. 플립러닝 운영전략 수정 내용

CCTHCV_2019_v19n1_37_t0006.png 이미지

표 7. 운영전략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토 결과(2차)

CCTHCV_2019_v19n1_37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차산업혁명이 바꿀 산업인력의 미래를 전망하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보도자료, 2017.2.2.
  2.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4-2024," 한국고용정보원.
  3. H. J. Ju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Corporate e-learning Cont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9, No.2, pp.65-72, 2018. https://doi.org/10.13106/ijidb.2018.vol9.no2.65.
  4. 한형종, 임철일, 한송이, 박진우, "대학 역전학습온, 오프라인 연계 설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p.46, 2015.
  5. J. L. Bishop and M. A. Verleger,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In ASEE 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Vol.30, No.9, pp.1-18, 2013.
  6. 최정빈, 김은경, "공과대학의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교과운영사례,"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18, No.2, pp.77-88, 2015. https://doi.org/10.18108/jeer.2015.18.2.77
  7. 박상준,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2, pp.1-21, 2015.
  8. Educause, "7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flipped classrooms," 2012, available at: www.educause.edu/ir/library/pdf/ELI7081.pdf
  9. N. Hamdan, P. McKnight, K. McKnight, and K. Arfstrom,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2013, available at: www.flippedlearning.org/cms/lib07VA01923112/Centricity/Domain/41/LitReview_FlippedLearning.pdf
  10. B. Lee and J. Recker, "How to apply the flipped classroom model for buisiness learning," 2013, available at: www.elearningguild.com/olf/olfarchives/index.cfm?id1051&actionviewonly
  11. A. Sams and J. Bergmann, "Flip your students'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Vol.70, No.6, pp.16-20, 2013.
  12. 임정훈,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pp.165-199, 2016.
  13. 박에스더, 박지현,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 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1, pp.169-178, 2016.
  14. J. Go, K. Known, Y. Kim, and Y. Won, "Development of a futuristic class model for moral leadership training," Confucianism Culture Research, Vol.58, pp.177-204, 2014.
  15. 구본혁, 허서정, 이희숙, 김창석, "MOOC 를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및 수업 방안,"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4, No.2, pp.149-151, 2014.
  16. 김은경,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4, pp.847-856, 2016.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4.847
  17. 이병현, "스마트 러닝 체제 구축을 위한 flipped learning 모형 개발," 단국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16.
  18. 홍기칠, "거꾸로 교실 (Flipped Classroom) 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교육방법연구, Vol.28, pp.125-149, 2016.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1.125
  19. M. Adler and E. Ziglio, Gazing into the oracle: The Delphi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policy and public health, London and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6.
  20.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28, No.4, pp.563-575, 19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