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atent Trend on Dengue Virus Detection Technology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동향 분석

  • Received : 2018.11.27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Dengue virus is a typical mosquito-borne virus, and the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is exposed to infection. Dengue virus causes relatively mild symptoms such as dengue fever. However, when not treated properly, it is known to cause severe symptoms such as dengue hemorrhagic fever and dengue shock syndrome with a mortality rate of over 20%. Development of dengue virus detection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reported that early diagnosis of dengue fever can lower the mortality rate to less than 1%. In this study, patent search related to dengue virus detection technology was conducted in Korea, USA, Europe, Japan, and China.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69 validated patents from the searched patents was conducted by country, year, and patent holder. In addition,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lassifying into three categories: molecular diagnostics, immuno-diagnostics, and cell culture-based diagnostics from all validated patents. From these results, we analyzed the patent trend related to dengue virus detection and dengue fever diagnosis technology and discussed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molecular diagnostics and immuno-diagnostics at present level.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to overcome limitations.

뎅기 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바이러스로, 전 세계 인구의 약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뎅기 바이러스는 뎅기열과 같은 비교적 경미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20%가 넘는 뎅기 출혈열 및 뎅기 쇼크 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뎅기 바이러스 검출을 통해 감염 여부를 조기에 진단한다면 치사율을 1% 미만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 5대 강대국인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을 대상으로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및 뎅기열 진단기술과 관련된 특허문헌 검색을 수행하였다. 검색된 특허문헌으로부터 관련도가 높은 유효 특허문헌 69건을 대상으로 국가별 연도별 특허권자별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특허문헌을 검토하여 유전자 검출 기반의 분자진단, 단백질 검출 기반의 면역진단, 세포배양법을 통한 진단 등의 3가지 분류로 나누어 정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및 뎅기열 진단기술 관련 특허동향을 파악하였으며, 현재 수준에서의 분자진단과 면역진단의 특징 및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 방향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25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문헌의 국가별 정량분석

CCTHCV_2019_v19n2_25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문헌의 연도별 정량분석

CCTHCV_2019_v19n2_25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문헌의 기술분류별 심층분석

표 1.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문헌 검색조건

CCTHCV_2019_v19n2_259_t0001.png 이미지

표 2.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 관련 특허문헌 검색결과

CCTHCV_2019_v19n2_259_t0002.png 이미지

표 3.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의 주요 특허권자

CCTHCV_2019_v19n2_259_t0003.png 이미지

표 4. 국가별 뎅기 바이러스 검출기술의 분포

CCTHCV_2019_v19n2_259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R. J. Kuhn, W. Zhang, M. G. Rossmann, S. V. Pletnev, J. Corver, E. Lenches, C. T. Jones, S. Mukhopadhyay, P. R. Chipman, E. G. Strauss, T. S. Baker, and J. H. Strauss, "Structure of Dengue Virus: Implications for Flavivirus Organization, Maturation, and Fusion," Cell, Vol.108, No.8, pp.717-725, 2002. https://doi.org/10.1016/S0092-8674(02)00660-8
  2. Y. Modis, S. Ogata, D. Clements, and S. C. Harrison, "Structure of the Dengue Virus Envelope Protein after Membrane Fusion," Nature, Vol.427, No.6972, pp.313-319, 2004. https://doi.org/10.1038/nature02165
  3. J. N. Conde, E. M. Silva, A. S. Barbosa, and R. Mohana-Borges, "The Complement System in Flavivirus Infections," Front. Microbiol., Vol.8, p.213, 2017.
  4. W. C. Ng, R. Soto-Acosta, S. S. Bradrick, M. A. Garcia-Blanco, and E. E. Ooi, "The 5' and 3' Untranslated Regions of the Flaviviral Genome," Viruses, Vol.9, No.6, p.137, 2017. https://doi.org/10.3390/v9060137
  5. J. D. Zeidler, L. O. Fernandes-Siqueira, G. M. Barbosa, and A. T. Da Poian, "Non-Canonical Roles of Dengue Virus Non-Structural Proteins," Viruses, Vol.9, No.3, p.42, 2017. https://doi.org/10.3390/v9030042
  6. S. Leta, T. J. Beyene, E. M. De Clercq, K. Amenu, M. U. G. Kraemer, and C. W. Revie, "Global Risk Mapping for Major Diseases Transmitted by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Int. J. Infect. Dis., Vol.67, pp.25-35, 2018. https://doi.org/10.1016/j.ijid.2017.11.026
  7. 조승희, 이동한, "2016년 동남아시아 지역 뎅기열발생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제9권, 제8호, pp.139-143, 2016.
  8. T. M. Ross, "Dengue Virus," Clin. Lab. Med., Vol.30, No.1, pp.149-160, 2010. https://doi.org/10.1016/j.cll.2009.10.007
  9. M. G. Guzman, D. J. Gubler, A. Izquierdo, E. Martinez, and S. B. Halstead, "Dengue Infection," Nat. Rev. Dis. Primers, Vol.2, p.16055, 2016. https://doi.org/10.1038/nrdp.2016.55
  10. http://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dengue-and-severe-dengue
  11. 김백남, "한국에서 뎅기열을 어떻게 진단할 것인가," J. Korean Med. Assoc., 제57권, 제7호, pp.624-626, 2014. https://doi.org/10.5124/jkma.2014.57.7.624
  12. 이재갑, "뎅기열," 대한내과학회지, 제86권, 제3 호, pp.277-281, 2014.
  13. V. Wiwanitkit, "Dengue Fever: Diagnosis and Treatment," Expert Rev. Anti Infect. Ther., Vol.8, No.7, pp.841-845, 2010. https://doi.org/10.1586/eri.10.53
  14. 정문현, "뎅기열," 대한내과학회지, 제77권, 제2호, pp.165-170, 2009.
  15. 염준섭, "국내 모기매개 질환의 현황과 전망," J. Korean Med. Assoc., 제60권, 제6호, pp.468-474, 2017. https://doi.org/10.5124/jkma.2017.60.6.468
  16. M. Aguiar and N. Stollenwerk, "Dengvaxia Efficacy Dependency on Serostatus: A Closer Look at More Recent Data," Clin. Infect. Dis., Vol.66, No.4, pp.641-642, 2018. https://doi.org/10.1093/cid/cix882
  17. K. Fatima and N. I. Syed, "Dengvaxia Controversy: Impact on Vaccine Hesitancy," J. Glob. Health, Vol.8, No.2, p.010312, 2018. https://doi.org/10.7189/jogh.08.020312
  18. 정영의, 이은주, "국내 뎅기열 진단실험실의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제6권, 제38호, pp.761-765, 2013.
  19. D. A. Muller, A. C. Depelsenaire, and P. R. Young, "Clinical and Laboratory Diagnosis of Dengue Virus Infection," J. Infect. Dis., Vol.215, pp.S89-S95, 2017. https://doi.org/10.1093/infdis/jiw649
  20. http://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zika-virus
  21. 체외진단 시장(연구개발특구기술 글로벌 시장동향 보고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7.
  22. H. J. Ho, J. G. X. Wong, W. Mar Kyaw, D. C. Lye, Y. S. Leo, and A. Chow, "Diagnostic Accuracy of Parameters for Zika and Dengue Virus Infections, Singapore," Emerg. Infect. Dis., Vol.23, No.12, pp.2085-2088, 2017. https://doi.org/10.3201/eid2312.171224
  23. 이상호, 정석, 이정훈, 강지윤, "디지털 진단 기술 및 동향 분석," KEIT PD Issue Report, 제18권, 제7호, pp.19-3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