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Social Workers, How about my Task ? ; Using the Subjective Study

공무원, 나의 업무를 생각해보다: 주관성연구를 활용하여

  • Received : 2019.02.21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started to diagnose the perception of 'public official' who are exposed to various tasks through public institutions in our daily work. In particular, among the public officials in various fields, public officials engaged in social welfare, health and welfare, and administration were diagnosed with the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to be equipped. For analysis, Q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iagnose and typify perceptions. First, th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into four types. In each type, shows the uniform distribution of public officials in health, administration and welfare fields and is named "General Type". is named as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 Type" because th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is high. has a high distribution of welfare officers and is named as "Welfare Official Type". is composed mainly of public health officials, and is named as "Health Official Type".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subject to this study should be responsible for "public service", that is, the unique work for the state and the public. In order to do this, we emphasize the accountability of the public officials themselves, and expect to expand into empirical research in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우리 일상업무 중에서 공공기관을 통한 다양한 업무수행시 접하게 되는 '공무원'들의 그들 고유의 업무 및 업무여건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고자 출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여 인식을 진단하고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각 유형으로, <유형I>은 보건, 행정 및 복지분야의 공무원들의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어, "전반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II>는 행정직 공무원들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행정공무원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III>은 복지담당공무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복지공무원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IV>는 응답자의 분포가 주로 보건직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건공무원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공무원은 '공무(公務)' 즉, 국가 및 대민을 위한 고유의 업무를 담당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무원 스스로의 일에 대한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향후 연구에서는 실증연구로의 확장을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56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4_56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Q-sort와 점수구성

표 1. Q표본

CCTHCV_2019_v19n4_564_t0001.png 이미지

표 2. 유형별 변량 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2.png 이미지

표 3. P표본의 인자가중치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4_564_t0003.png 이미지

표 4. Q 진술문 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4.png 이미지

표 5. 유형간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4_564_t0005.png 이미지

표 6. <유형 I>, 전반형의 진술문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6.png 이미지

표 7. <유형 II>, 행정공무원형의 진술문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7.png 이미지

표 8. <유형 III>, 복지공무원형 진술문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8.png 이미지

표 9. <유형 IV>, 보건공무원형 진술문분포

CCTHCV_2019_v19n4_564_t0009.png 이미지

표 10. 유형별 응답자 분포(명,%)

CCTHCV_2019_v19n4_564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장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의사소통과 감정 노동이 직무소진,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 윤정혜, 안정선,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질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8, pp.79-11, 2011.
  3. 박종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 성주섭,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수행 방향 모색," 사회복지정책, Vol.43, No.4, pp.109-139, 2016,
  6.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인사행정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9, No.1, pp.63-99, 2017. https://doi.org/10.22944/KSWA.2017.19.1.003
  7. www.law.go.kr
  8. 정승진, 박애선,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개편에 따른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3, No.2, pp.39-63, 2009.
  9. 조기용, 김재두, "행정개편에 따른 주민생활지원 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2, No.1, pp.21-45, 2008.
  10. Dean H. Hepworth, Ronald H. Rooney, and Jo Ann Larsen, Direct social work practice : theory and skills, 6th ed. Pacific Grove, CA : Brooks/Cole, 2002.
  11.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Vol.46, No.3, pp.133-161, 2008.
  12.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1994.
  13. 이도희, 이동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비영리회계 인식의 가설 발견적 접근," 회계연구, Vol.12, No.1, pp.281-308, 2007.
  14. W. Stephenson, "Scientific Creed. Philosophical Credo," The Psychological Record, Vol.11, pp.9-17, 1961. https://doi.org/10.1007/BF03393381
  15.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Vol.18, p.500, 1968. https://doi.org/10.1007/BF03393799
  16. K. P. Sanders, "William Stephenson: The Study of His Behavior," Mass Communication Review, Vol.2, pp.9-16, 1974.
  17.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Vol.6, No.1, pp.1-12, 1992.
  18. R.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Mass. 1980.
  19. R. S. Brown,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Q Methodology in Psych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Kent State University. Ohio. 1997.
  20. 김흥규,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 언론학보, Vol.13, pp.5-44, 1993,
  21.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착,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2. 이현실, 정진섭, "ABCD 모델의 구성요소, 개인 성과 및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 국제경영리뷰, Vol.22, No.3, pp.29-59, 2018.
  23. 김희동, 김종윤,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 요인이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2, No.2, pp.102-109, 2018. https://doi.org/10.7731/KIFSE.2018.32.2.102
  24. http://100.daum.net
  25. 김태홍, 감정 노동의 진실, 울림, 2014.
  26. 이도희, 갑을 관계, 나도 을이다, 열린충남, 63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