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Depending on Classroom Seat Arrangement By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실 자리배치에 따른 긍정적 교우관계 형성 분석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4.22
  • Accepted : 2019.04.30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arrangement of a teacher's student seat and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classroom, which occurs frequently in school but without systematic studies. To accomplish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by 28 high school senior students in Daejeon city, Korea in 2016. To analyze the survey data, structure hole, betweenness, subnetwork, in-degree, out-degree in Netdraw program were used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subnetworks formed naturally in the class and the students with the lowest intimacy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student seat in the physical classroom where the two subnetworks interact, it was confirmed that peer relationships were formed positively.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체계적인 기준 없이 이루어지는 교사의 자리 배치와 그에 따른 교우관계 형성의 관계성을 밝히려는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에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문과반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교우관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하위네트워크, 구조적 공백, 친밀도가 가장 낮은 학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자리배치를 인접행렬로 변환하여 학생간 친밀도와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Ucinet 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차이검정 통계를 위하여 SPSS Ver. 2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급 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하위네트워크가 4개가 존재하였고, 친밀도가 가장 낮은 학생 1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학생을 구조적공백을 가진 학생 주변에 위치시켰을 때 긍정적인 교우관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11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처치 전(3월 10일) 교육관계 네트워크

CCTHCV_2019_v19n6_11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처치 전(3월 10일) 교실 내 자리배치

CCTHCV_2019_v19n6_11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처치 후(10월 4일) 교육관계 네트워크

CCTHCV_2019_v19n6_11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처치 후(10월 4일) 교실 내 자리배치

표 1. 네트워크 정도(degree)

CCTHCV_2019_v19n6_114_t0001.png 이미지

표 2.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제약성

CCTHCV_2019_v19n6_114_t0002.png 이미지

표 3. 교사의 처치 전후의 정도(degree) 차이검정

CCTHCV_2019_v19n6_114_t0003.png 이미지

표 4. 교사의 처치 전후의 효율성과 제약성 차이검정

CCTHCV_2019_v19n6_114_t0004.png 이미지

표 5. 자리배치와 네트워크 차이검정

CCTHCV_2019_v19n6_114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임현정, 김종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생 친구 네트워크 하위그룹 식별과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요인 탐색," 교육평가연구, 제29권, 제3호, pp,565-595, 2016.
  2.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2007.
  3.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2002.
  4. 송호근, 김우식, 이재열, 한국사회의 연결망 연구, 서울대출판부, 2004.
  5. B. B. Brown and J. Larson,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In R, M, Lerner & L, Steinberg (Eds,),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3rd ed, pp.74-103), New York: Wiley, 2009.
  6. D. L. Espelage, M. K. Holt, and R. R. Henkel, "Examination of peer-group contextual effects on aggression during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Vol.74, No.1, pp.205-220, 2003. https://doi.org/10.1111/1467-8624.00531
  7. W. Shrum and N. H. Cheek, "Social Structure During the School Years: Onset of the Degrouping Proc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2, pp,218-223, 1987. https://doi.org/10.2307/2095450
  8. R. S. Burt,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9. R. S. Burt, "STRUCTURE, Version 4,1,"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Center For the Social Science, 1989.
  10. 김미애, 수줍음이 청소년의 친구관계만족 및 친구관계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 신지영, "동이 지각한 부모 애착수준, 유능감 수준 및 교우관계의 질적 특성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2. 박소영, "소년 교우관계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관계 구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김민정,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 이정숙,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교우관계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5. 성기영, 중학생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박의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또래관계 질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7. 김소희,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정미경,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김재현, 부모 애착 및 아동의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0. 허주연,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체계가 아동의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최유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이 교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2. 문정희,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가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3. 방다미, 교사-학생간의 인간관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이효원,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5. 최은신, "하이브리드 공간구성과 인간행태의 상호 관계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제6호, pp.435-443, 2009.
  26. www.schoolinfo.go.kr
  27. M. Girvan and M. E. Newman,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and biologic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2.
  28. Borgatti, Stephen, Martin Everett, and Linton Freeman,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User's Guide, Ha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002.
  29. 이현진,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동적 하위 그룹생성,"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2013.
  30. 정혜온, "SNA에 의한 교우관계 분석과 지도 방안,"교육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pp137-15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