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ulinary Arts Major Students's Type of Subjectivity Recognition through Restaurant Start-up Experience Program -Focused on Pop-up Restaurant-

외식창업교육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조리전공 재학생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팝업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김찬우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
  • 신승훈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 Received : 2019.04.05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for analogizing culinary arts major students' subjectivity through their participation of one of restaurant start-up experience program, called pop-up restaurant. The study tried to figure out particular structure of among students' responses and noticed five distinctive types. There were Increase learning effect type(Type 1, N=4), Collaboration of members importance type(Type2, N=8), Marketing PR need type(Type3, N=6), Restaurant business plan type(Type4, N=4), Industry work experience required type(Type5, N=3).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each type contained diverse characteristics figures in their own. The research finding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source of future similar research but in other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ormat of difference among students or diverse measuring point of time frame.

본 연구는 외식창업교육 체험프로그램 중 창업동아리에서 운영하는 팝업레스토랑에 참여한 조리전공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구조를 도출하여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 한 후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형분석 결과 총 5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 1유형(N=4) : 학습효과 증대 형 (Increase learning effect type), 제 2유형(N=8): 구성원의 협업 중요 형 (Collaboration of members importance type), 제 3유형(N=6): 마케팅 홍보 필요 형 (Marketing PR Needed type), 제 4유형(N=4): 외식창업 계획 형(Restaurant business plan type), 제 5유형(N=3): 산업체 실무 경력 필요 형 (Industry work experience required type)으로 명명 하였으며,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관련 유사연구에서 외식창업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생들 간의 차이분석, 학년별 측정 시기의 다양화를 통해 진행 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34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설계

CCTHCV_2019_v19n6_34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각 진술문의 긍정 및 부정의견 점수 분포방식

표 1. Q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01.png 이미지

표 2.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

CCTHCV_2019_v19n6_347_t0002.png 이미지

표 3. P 표본의 특성과 인자가중치

CCTHCV_2019_v19n6_347_t0003.png 이미지

표 4. 유형별 아이겐 값(eigen value)과 변량

CCTHCV_2019_v19n6_347_t0004.png 이미지

표 5. 전체 유형별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6_347_t0005.png 이미지

표 6. 제 1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06.png 이미지

표 7. 제 1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07.png 이미지

표 8. 제 2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08.png 이미지

표 9. 2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09.png 이미지

표 10. 제 3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0.png 이미지

표 11. 제 3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1.png 이미지

표 12. 제 4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2.png 이미지

표 13. 제 4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3.png 이미지

표 14. 제 5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4.png 이미지

표 15. 제 5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347_t0015.png 이미지

표 16. 일치하는 항목과 평균 표준점수 (Consensus Items And Average Z-Scores)

CCTHCV_2019_v19n6_347_t0016.png 이미지

References

  1. 양서영, 청년실업률 악화 원인 및 시사점 , Weekly KDB Report, pp.10-11, 2018.
  2. 아시아 투데이, "면접이라도 봤으면…청년실업률 6월 기준 최악수준," 2019.04.20. http://www.asiatoday.co.kr/
  3. M. Botha and A. Bignotti, "Internships Enhancing Entrepreneurial Intent and Self-Efficacy: Investigating Tertiary-Level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s," The Southern African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8, No.1, pp.1-15, 2016.
  4. R. W. D. Zondo, "Explo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Privat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South Africa," CBU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Vol.5, pp.516-520, 2017. https://doi.org/10.12955/cbup.v5.977
  5. 최경수, "청년실업률은 왜 상승하는가?," KDI Focus, Vol.88, pp.1-10, 2017.
  6. 신승훈, 유동숙, "하이브리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외식창업관련과목의 교육효과-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pp.453-46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53
  7. K. H. Vesper and W. E. Mcmullan, "Entreperneurship: Today Course, Tomorrow Degre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3, No.1, pp.7-13, 1988. https://doi.org/10.1177/104225878801300102
  8. 김기영, 조원영, "팝업 레스토랑을 통한 외식창업교육 체험프로그램이 청업의도와 창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Vol.31, No.12, pp.209-223, 2017.
  9. 최명철, 노유진, 엄현철, "외식전공대학생들을 위한 청년 창업지원 사업이 창업기회 인식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산업경영연구, Vol.12, No.1, pp.5-31, 2016,
  10. 김기영, 강진희, "경영관리교육이 외식업 자영업자의 창업의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Vol.29, No.9, pp.95-109, 2015,
  11. 이인숙, 나영아, "대학 내 외식창업지원요인이 대학생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Vol.28, No.7, pp.155-166, 2014.
  12. 양재장 함종현, "창업동기와 창업교육 만족이 창업준비활동, 자기효능감 그리고 외식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경남지역 창업교육 수료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Vol.30, No.6, pp.47-66, 2015.
  13. 전효진, 김지응, 손국, "외식산업 예비 창업자의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창업의식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Vol.30, No.4, pp365-385, 2015.
  14. 강제희, 강진희, "외식관련 대학의 창업자와 교육과정이 학교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Vol.28, No.2, pp.201-224, 2013.
  15. 신혜성, 안윤영, "예비창업자들이 지각한 외식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Vol.28, No.2, 2015.
  16. Z. A. Muhanmmad, G. Fariha, P. S. Hakkarainen, and M. Z. Tasdemir, "Valid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Questionnaire to Asses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ducation and Science, Vol.44, No.197, pp.383-399, 2019.
  17. M. Botha and R. Ras,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hancing or Discouraging Graduate Start-up at the University of Pretoria," Africa Education Review, Vol.13, No.2, pp.96-114, 2016 https://doi.org/10.1080/18146627.2016.1224106
  18. 성가희, 주안치, 윤갑근, "체험마케팅을 위한 팝업 스토어의 공간디자인 표현 특성," 디자인지식저널, Vol.29, pp.117-126, 2014.
  19.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dhology, Vol.2, pp.67-91, 2005. https://doi.org/10.1191/1478088705qp022oa
  20.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Vol.1, No.3, pp.120-140, 1999.
  21. F. N. Kerlinger,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NY: CBS College Publishing, 1986.
  22. B. Mckeown and D. Thomas, Q-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1988.
  23. S. S. Kline, R. E. Kleine, and C. T. Allen, "How is a Possession "me" or "notme"? Characterizing Types and a Antecedent of Material Possession Attachment," Journal of Consumer Reserch, Vol.22, pp.327-343, 1995. https://doi.org/10.1086/209454
  24. 김흥규, "Q 방법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세미나 자료, 1990.
  25. W. Stephenson, "Protoconcursus: The concourse theory of communication," Operant Subjectivity, Vol.9, pp.37-58, 1986.
  26. 김흥규, "주관성(Subjectivity)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