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Tasks for Senior Welfare Viewed from Needs Assessment in Communities

지역사회 욕구조사를 통해 본 노인복지의 정책적 과제

  • 윤숙이 (경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Received : 2021.01.29
  • Accepted : 2021.04.10
  • Published : 2021.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ervice customized for the elderly' and furthermore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enhance welfare services for them in communities, and therefore, understanding local seniors' entire life conditions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who live in Masanhoiwon-gu, Changwon-si. To this end, this study would attempt to examine their life conditions and needs for welfare, 600 senior citizens aged 60 or order in Masanheowon-gu, Changwon-si.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munity has had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incre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poor economic status, chronic illness and lack of volunteer work. Based on them, this study proposed a policy agenda for municipalities to resolve the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에 초점을 맞추어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거주하는 지역 어르신들의 전반적인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어르신 맞춤형 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어르신들의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60세 이상 어르신 600명을 대상으로 어르신들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내 어르신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내 홀몸어르신의 증가 및 열악한 경제상태, 만성질환, 자원봉사활동의 부재 등 사회참여의 부족, 취업연계서비스의 부족 등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I. 서론

21세기 초반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변화 가운데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이에는 다양한 주제들이 있겠지만, 사회복지 분야로 제한하자면 ‘지방화’와 ‘복지화’라는 두 가지 흐름이 아닐까 생각한다. 먼저, ‘지방화’와 관련된 최근 우리 사회의 변화로서는 참여정부의 지방분권화 정책으로 사회복지행정이 커다란 전환기를 맞이하였다고 하는 것을 들 수 있다[1-6]. 2003 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과 더불어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업 주체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시군구 차원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2015년부터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개칭) 구성과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이 의무화 되었고, 2005년에는 사회복지사업의 지방이 양에 따른 재정분권이 추진되어, 보건복지부가 소관하는 138개의 국고보조사업 중 67개의 사업이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되었으며, 그 재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재원으로 전액 충당하는 구조로 전환되었다[1][4][7]. 또, 2006년 7월부터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조직을 ‘주민 생활 지원 서비스체계’로 개편하고, 2016년부터는 ‘읍면동 복지 허브화’를 추진하는 등 지방분권화를 위한 복지 행정의 제도정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옴으로써, 비로소 사회복지행정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어느 정도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는 체제가 정비되었다[6][8].

또한, ‘복지화’와 관련된 최근 우리 사회의 변화로서는 상술한 사회복지행정에서의 지방분권화 추진과 거의 동시에 추진된 사회(복지)서비스 확대정책을 들 수 있다[9]. 2000년대 이후 급속한 인구구조 및 가족구조의 변화 속에서 노인을 비롯하여 아동‧청소년과 여성‧장애인 등의 사회적 부양 및 사회적 돌봄을 위한 정책적 개입이 연이어 이루어졌다[10-12]. 특히,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 및 질적 변화에 따라 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대응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중 시급한 것은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 분권화에 따라 지역의 책임성이 강화되고 있으며 사회서비스에 대한 욕구 또한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지역별 노인 특성의 차이 및 노인의 욕구를 반영한 지자체 차원의 노인복지정책방안을 마련하는 것[13]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지역사회 차원에서 노인복지 욕구를 살펴봄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것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복지정책의 추진방향일 것이다. 정부는 2017년 9 월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을 발표하여 지역사회 치매 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추진하고 있고, 2018년 11월에는 ‘지역사회통합 돌봄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여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케어 실현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9년 10월에는 노인돌봄사업을 통합‧개편하여 2020 년 1월부터 노인의 욕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과 함께 11월에는 2021년까지 노인일자리를 80만개로 확대하여 제공할 방침임을 밝히고 있다[14-17].

이상과 같은 상황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 시대의 본격화와 더불어 제반 복지정책이 지자체에 위임되어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방화’와 ‘복지화’라는 두 가지 커다란 과제가 교착하는 지점인 ‘지역사회’(특히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복지서비스(특히 노인복지서비스)에 주목하여 ‘노년층’이 가지고 있는 복지 욕구를 조사함으로써 ‘어르신 맞춤형 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어르신들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정책적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지역사회 욕구조사의 의의

사회복지사업을 계획하고 실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욕구부터 정확히 파악하여 여러 가지 욕구들의 정책적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 지역사회를 단위로 욕구측정을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에 따라 경제‧사회‧교육 등에 걸친 문화적 환경이 상이할 수 있어 그곳에서 발생하는 주민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도 다를 수가 있으며, 나아가사회복지사업이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계획‧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18].

그리고, 욕구측정에서 얻은 자료를 통해서만 일정한 지역 내에서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빈도와 문제의 성질 및 확산 정도를 규명하고, 주민의 서비스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제공해야 할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방‧치료‧재활을 위한 구체적 서비스 목표를 수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달성을 위한 사업정책을 수립할 수가 있다[19-21].

2. 기존 지역사회 노인복지 욕구조사의 한계

한편, 각 지역사회에서는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각 지자체에서 4년마다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 욕구조사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지역의 사회보장 수요, 즉 지역 주민의 사회보장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 수립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욕구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필수적 [22]이다. 따라서 조사문항들은 표준화1)작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욕구를 파악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2019~2022) 수립을 위한 지역 주민 욕구 조사 시 지자체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책적 목적이 없는 불필요한 욕구조사 항목들을 최소화하고, 지자체별로 이루어지던 지역사회조사를 광역시‧도에서 총괄하여 실시하였다. 이로써, 조사과정의 체계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지역간 비교가 가능하다[22]는 이점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개별 지자체별 지역사회 특성이나 특정 집단의 욕구나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특히, 노인복지와 관련하여 대상별 문항에 노인을 추가하여 조사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노인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에는 미흡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각 지역마다 처한 상황과 조건이 다르고. 특히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서비스 정책의 경우, 지역의 특성과 욕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역할은 중앙정부보다는 지방정부가 더 잘 수행할 수 있다[23][24]. 따라서,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노인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 내 어르신들의 전반적인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선행연구 검토

최근 심각한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과 관련한 사안이 더욱 확대되고,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복지정책의 수립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데다, 지역의 환경과 재정상태에 따라 복지 욕구가 다양한 만큼 지역사회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25].

지방 단위의 노인복지 관련 욕구조사 중 이은희[26] 의 성남시 노인들의 복지욕구 및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을 하고 싶거나 일을 하고 싶어도 자신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60.9%로 매우 높게 나타남에 따라 노후생활보장을 위한 소득보장을 위해 노인 취업 알선센터 설립 및 노인인력 뱅크 조직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며, 경로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이 전체조사 대상자 중 70%를 차지함에 따라 고독감과 소외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경로당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그리고 조당호[27]의 평택시 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에서는,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정보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권역별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 및 욕구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권역별 복지서비스의 차별화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고, 신승연 [13]은 저소득층 노인의 생활안정지원 및 재가 복지서비스 미흡, 농촌지역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욕구 미충족, 노인일자리 사업 부족, 경로당 설치 및 활성화, 요양 예방 욕구 미충족,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노인 자살 예방 등을 평택시 노인복지 과제로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복지서비스의 확충, 통합적인 요양예방 관리체계 구축,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권리옹호 시스템구축 등을 중심으로 한 노인복지 정책방향 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병관[28]은 전국 노인과 아산시 노인의 복지 욕구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아산시 노인의 월평균 소득과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전국 노인보다 낮거나 나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노인복지 멘토링제도와 맞춤복지지원제도의 도입 운영 등의 맞춤형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확충방안의 제시와 복지마을 네트워크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김도희 등[29]의 울산광역시 남구 지역 노인 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파악을 위한 연구에서는, 어르신들이 필요한 복지정책은 노인복지관의 확충과 경제활동 및 소득보장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사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복지의 정책적 시사점으로 지역 특성과 수혜자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형 노인복지 모델의 개발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노인복지관 확충요구에 대해 현행 운영되는 경로당 중 거점 경로당을 지정하고, 지정된 거점 경로당에 복지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가 보여주는 것처럼,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지역의 특성과 복지 욕구를 파악, 이를 반영한 정책모델을 개발하고 지역의 복지환경과 인프라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복지인프라를 구축 할 필요가 있다[29].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에 초점을 맞추어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의 복지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어르신 맞춤형 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어르신들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정책적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어르신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로는, 광역 단위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중소도시가 도‧농 복합형 도시 형태이며 창원시의 경우 이러한 특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고, 또한 창원시2)의 5개 행정구 중 농촌의 특성을 반영하는 ‘읍’ 단위와 도시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동’ 단위를 모두 포함하는 마산회원구3)가 창원시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고, 2019년 1월 1일 현재 전체인구 199, 457명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9, 471명 (14.8%)으로 고령사회에 도달한 상황이어서 지역사회 어르신들의 전반적인 생활실태와 욕구를 살펴보는데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전문조사원을 활용하여 1:1 면접 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조사원을 대상으로 조사목적, 조사항목별 조사기준 및 응답에 대한 기입방법 등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0월 27일까지 약 20일간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618부를 회수하였으나 이 중 내용이 충실하지 않은 18부를 제외한 6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SPSS ver.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과 개별 문항의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복지욕구 등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교차분석,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3. 연구방향

지역의 노인복지 정책 수립은 각 지자체의 현실 상황에 부합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어르신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경제상태 및 근로활동, 건강 및 영양상태, 여가 및 사회활동, 사회적 관계, 만성질환 및 수발 등)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모형으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CCTHCV_2021_v21n6_2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은, 여자가 62.0% 남자가 3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은 70대가 51.5%로 가장 많고, 대부분이 100만원 미만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어르신이 자녀가 있으나, 사별을 포함하여 이혼 또는 별거, 미혼 등의 홀몸 어르신이 62.5%를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홀로 사는 어르신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주요 소득원은 연금 또는 퇴직금이 가장 많고, 소득의 대부분을 각종 노인성 질환에 따른 의료비와 생활비로 지출하고 있었다.

표 1. 일반적 특성

CCTHCV_2021_v21n6_274_t0001.png 이미지

2. 경제상태 및 근로활동

어르신들의 대부분(83%)이 월100만원 미만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이는 2020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 기준인 1인 가구 최저생계비4) 1, 054, 316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써 어르신들의 열악한 경제상태와 함께 노후 소득보장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노년층의 경제적 문제를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의 하나인 사회보장제도의 미흡함[30] 속에서도 근로활동을 하는 어르신은 18.9%에 그치고 있었다. 이는 노환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어르신들이 할 수 있는 일자리의 폭이 넓지 않음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반면에, 근로를 하는 경우 대부분이 정부 지원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금하고 있는 일을 계속하기를 희망하는 한편, 취업 관련하여 노인일자리 제공과 공공근로 및 자활사업 등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속적인 정부지원 일자리의 확대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 2. 경제상태 및 경제활동 관련 현황

CCTHCV_2021_v21n6_274_t0002.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3. 건강 및 영양상태

어르신 중 1/3이 식사를 거르고 있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와 영양상태는 전반적으로 나쁜 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도 높음[31]을 감안할 때 어르신들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표 3. 건강상태 및 영양상태

CCTHCV_2021_v21n6_274_t0003.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a. 1=매우나쁨, 2=나쁜편임, 3=그저그렇다, 4=건강한편임, 5=매우건강함

b. 1=매우나쁨, 2=나쁜편임, 3=그저그렇다, 4=양호한편임, 5=매우양호함

한편, 여자 어르신들이 식사를 더 자주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신이 생각하는 건강상태와 영양 상태에 대해서는 남자 어르신이 여자 어르신보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생각의 차이를 보여준다.

4. 여가 및 사회활동

평소 어르신들은 친구나 이웃들을 만나거나 경로당에서의 활동을 통해 즐겁게 살고 싶어서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으며, 경로당에서 제공받고 싶은 프로그램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체크, 체조 등)을 가장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과 건강증진을 위해 물리치료와 운동, 재활 등의 서비스를 희망하는 욕구와도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표 4. 경로당 이용 및 이유

CCTHCV_2021_v21n6_274_t0004.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반면, 사회복지시설(복지관)을 이용하는 어르신은 16.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복지관 이용 경험이 없거나 노인복지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가 낮은 데에 기인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복지관에서는 지역사회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복지관의 다양한 사업 및 지역사회 내에서의 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알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표 5. 자원봉사 및 지역사회 활동

CCTHCV_2021_v21n6_274_t0005.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a. 1=전혀관심없음, 2=관심이 없는편임, 3=그저그렇다, 4=관심 있는편임, 5=매우 관심이 많음

또,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앞으로도 참여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정도는 높았(M=3.46, SD=1.01)다. 이를 입증하듯이 어르신들의 대부분이 지역 주민들이 함께 하는 지역사회 활동 모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바람직한 모임 운영형태로 이웃들과 관계회복을 위한 친목활동 중심의 모임형태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쩌면 그동안 지역의 어르신들은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싶지만 딱히 어떤 참여할 활동 거리가 없어서 참여하지 못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결과는 이웃들과의 관계회복을 하고 싶으나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라서 참여할 수 없었던 어르신들에게 지역사회를 위해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역할을 부여하는 지역사회 활동 모임의 운영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해 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5. 사회적 관계

어르신들은 평소 결혼 또는 분가한 자녀들과 한달에 1~2회 정도 만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거의 교류하지 않거나(명절, 생일 등 특별한 경우에만 교류) 전혀 교류하지 않는 경우도 34%를 차지하는 반면, 이웃(친구, 친지 포함)과는 어르신의 절반이 매우 자주(주 2~3 회 정도) 교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들보다는 가까이 있는 이웃과 더 자주 교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대부분이 가족에게 연락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어 긴급상황 시에는 가족에게 의지하고자 하는 어르신들의 심리를 엿볼 수 있다.

표 6. 자녀 및 이웃과의 교류 현황

CCTHCV_2021_v21n6_274_t0006.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6. 만성질환 및 수발

지역사회 어르신들은 1인당 평균 약 3가지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여자(M=3.40, SD=2.273)가 남자 (M=2.20, SD=1.374)보다 질병의 수가 더 많았다.

이러한 만성질환은 고혈압(63.6%)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관절염, 류머티즈 관절염(40.5%) 순인 것으로 나타나, 일단 발병하면 그 증상이 오래 지속되며 빠른 시간 내에 회복되지 않는 만성질환의 특성을 감안할 때이로 인한 고충을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표 7. 성별에 따른 만성질환의 수 차이

CCTHCV_2021_v21n6_274_t0007.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또한,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르신들의 절반 정도가 가족원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노인돌봄서비스(각종 공공 돌봄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돌봄은 가족에게 의지하는 비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8. 일상생활 도움 현황 및 거동불편시 희망 거주유형

CCTHCV_2021_v21n6_274_t0008.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하지만, 향후 건강이 나빠져서 거동이 불편해 질 경우에는 자녀와 함께 거주하기 보다는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서 거주하기를 더 희망하고 있는데, 이는 가족 (자녀)에게 돌봄(수발) 부담을 떠안기지 않으려는 어르신들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고 하겠다.

표 9. 거동불편시 희망 거주유형

CCTHCV_2021_v21n6_274_t0009.png 이미지

* p<0.05, ** p<0.01, *** p<0.001

Ⅴ. 결론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어르신의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를 경제상태 및 근로활동, 건강 및 영양상태, 여가 및 사회활동, 사회적 관계, 만성질환 및 수발 등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 결과 및 그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내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자녀(가족)가 있고, 또 무슨 문제 발생 시에는 가족(배우자, 자녀)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지만, 향후 건강 악화 등으로 거동이 불편해질 경우에는 자녀(가족) 에게 의지하기보다는 요양원이나 요양병원 등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행 한국의 재가돌봄에서 가족돌봄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고[12], 또 최근 들어 정부는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 케어 실현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실정을 감안하자면, 창원시가 직영‧위탁 운영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에 가족 돌봄을 지원하는 서비스(가령, 가족돌봄 상담지원 및 가족돌봄교실 운영 등)를 다양하게 전개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둘째, 최근의 요양 및 돌봄서비스에 대응한 사업 전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환경변화 속에서, 특히 본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난 인구구조 및 가족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 내 노인복지서비스 대상자의 특성 변화(예를 들면, 홀몸 어르신과 노인부부 가구의 증가 등)를 고려하자면, 건강악화 및 수발(돌봄) 등 긴급 상황 발생 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관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로서 독거노인 치매예방 및 장기요양 예방사업 등을 도입·확충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현재 창원시에서는 독거노인의 정기적인 안부 확인을 위해 주 3회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해피콜 안부사업’과, 주말에 독거노인의 주말 안부확인을 위해 저소득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인돌봄 청소년 복지일자리’를 실시하고 있다[32].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은 각 사업별로 담당부서와 수행인력이 다르고, 사업이 각각 평일과 주말에 제공되고 있으나 정작 서비스 대상인 어르신에 대한 안부 관련 내용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절된 채 시행되고 있다. 향후에는, 이처럼 잠재적 위기 상황에 있는 어르신에 대한 사업이 사업 주체별로 각각 따로 운영되더라도 어르신에 대한 전반적인 안부관리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고, 건강악화 및 수발(돌봄) 등 긴급상황 시에 대응 가능한 복지관의 사업과 연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조사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내 많은 어르신들이 고혈압과 관절염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자면, 어르신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노인복지관의 기존 건강증진사업을 보완하여 물리치료, 운동, 재활, 건강상담(고혈압, 당뇨 등), 건강교실, 한방요법 등의 프로그램을 확대·개설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또 이와 관련하여서는, 어르신들의 건강상태를 가늠하는 1차적척도가 영양상태라고 할 수 있지만, 본 조사연구의 결과 자신의 영양상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어르신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과, 평소의 건강한 영양 상태 유지를 위한 서비스로서 ‘밑반찬지원서비스’ 와 ‘도시락배달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난 점등을 고려하여, 향후 어르신들의 영양상태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급식지원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조사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내 어르신들의 여가활동 자원으로서 경로당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고 또 다른 복지자원에 비해 경로당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가장 높은 점 등을 고려하자면, 어르신들이 경로당에서 제공받고 싶어하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난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체크, 체조 등)’, ‘여가·취미 프로그램(공예, 노래, 원예 등)’, ‘오락, 놀이 프로그램(윷놀이, 게임 등)’ 등을 확충하여 기존의 경로당지원사업을 확대·개편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현재 창원시에서는 매년 경로당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어르신들의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면 사업의 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내 어르신 중 사람들과의 교류 및 경로당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 등으로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어르신 또한 상당수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자면, 기존의 경로당 혁신사업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경로당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가령, 경로당 이용 어르신들의 인식개선을 통한 ‘노노연대’ 및 ‘세대연대’의 장으로서의 경로당 활성화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조사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어르신들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 지역사회활동 모임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르신들이 지역주민을 돕는 정도가 높고 지역주민들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33] 감안한다면, 향후 노인복지관 등에서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이웃들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친목이나 오락활동’ 등의 지역 사회활동 모임을 지지하는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창원시의 경우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은퇴에 따른 은퇴 후 삶에 대한 설계를 위해 관내 대학 평생교육원을 활용하여 재취업, 재테크, 인간관계, 건강/취미 등 사회적응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32]. 따라서, 이를 노인복지관 등으로 확대‧실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개설 시에 자원봉사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앞으로의 노후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하나로써 자원봉사활동 등 사회활동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본 조사연구의 결과 지역사회 어르신들은 현재 수입이 있는 일을 하는 경우(18.9%)보다 하지 않는 경우(81.1%)가 높게 나타났고, 또 수입이 있는 일을 하는 경우 대부분이 생계비와 용돈마련을 위해서 ‘노인 일자리 사업’ 등 정부지원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해서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노년기에 느끼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노년기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이므로[34] 현행 노인복지관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와 고용 및 소득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확충함과 동시에 어르신들의 취업을 위한 부업교실(교육) 등의 취업연계서비스를 확대·개설하는 등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창원시는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2019~2022)에서 2022년까지 5년 내 노인 일자리 5만개 창출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에서는 더 많은 일자리를 필요로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창원시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의 욕구를 반영하여 당초의 노인일자리 관련 목표를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방화’와 ‘복지화’라는 두 가지 흐름이 만나는 지점인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 내 복지욕구를 통해 노인복지의 정책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시도했지만, 창원시 마산회원구라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정책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의 연구지원으로 수행하였고, 연구용역과제 ‘2019 마산회원노인종합복지관 지역복지서비스 욕구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음.

References

  1. 강혜규, 최현수, 엄기욱, 안혜영, 김보영, 지방화시대의 중앙 지방간 사회복지 역할분담 방안,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2. 박병현, "사회복지의 지방분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8권, 제2호, pp.1-31, 2006.
  3. 김승연,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위임복지 및 자율복지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제28권, 제2호, pp.111-135, 2014.
  4. 박병현, 박상미, 최은미, 고재수, "노무현 정부의 사회복지 재정분권: 옳은 정책이었는가 아니면 잘못된 정책이었는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3호, pp.347-376, 2015.
  5. 안홍순, "사회복지사무의 지방이양에 따른 기초자치단체의 재정불균형 완화방안,"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3호, pp.77-106, 2015.
  6. 김지미, "지방자치단체 '노인돌봄'정책의 전개에 관한 연구: 중앙-지방간 관계구조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9 No.1, pp.41-63, 2017.
  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고보조금 정비방안, 2005.
  8. 강혜규, 이재원, 정문호, 김여용, "사회서비스 확대전략과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1-68, 2007.
  9. 김은정, "사회서비스정책 현황분석과 정책적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제1권, pp.111-136, 2013.
  10. 김은정, "지방화 관점에서 본 사회서비스 확충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제31호, pp.79-103, 2007.
  11. 양기용,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변화와 공공성: 지역사회서비스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제27권, 제1호, pp.89-114, 2013.
  12. 김지미, "한일 복지체제 재편과 가족의 위상 변화: 노인돌봄의 사회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제34권, 제4호, pp.61-91, 2018.
  13. 신승연, "지역욕구조사 및 노인복지정책 과제-평택시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5호, pp.111-127, 2010
  14. 관계부처 합동,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1단계: 노인 커뮤니티케어 중심-," 2018(11월 20일).
  1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3월 29일): 치매안심센터 연내 모두 개소! 독거노인 전수 치매검진 실시!」, pp.1-12, 2019a.
  16. 보건복지부, 「보도자료(10월 11일): 내년부터 다양한 노인돌봄서비스가 맞춤형으로 제공됩니다」, pp.1-14, 2019b.
  17. 보건복지부, 「보도자료(11월 22일): 노인일자리로 소득도 올리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다」, pp.1-9, 2019c.
  18. 성규탁, ""가족의 사회복지 욕구 측정: 소비자와 제공자의 관점들을 종합하는 접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제1권, pp.17-40, 1993.
  19. League of California Cities, Assessing human needs, League of California Cities, Sacramento, California, 1985.
  20. E. Kamis, "Sound, targeted compassion; Assessing the needs of and planning services for deinstitutionanlized clients," In I. D. Ruthman (Ed), Planning services for deinstitutionalized clients: A review of pri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Human Services Monograph Series, No. 28. Project SHAR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 C, 1981.
  21. W. A. Kimmel, "Needs assessment: A critical perspective.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7.
  22. 강혜규, 김보영, 주은수, 채현탁, 이지영, 김태은, 이정은, 김진희, 지역사회보장 계획의 이해-지자체의 제4기 계획 수립.실행 지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3. W. Oates, "Fiscal decentr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ational Tax Jornal, Vol.46, pp.237-243, 1993. https://doi.org/10.1086/NTJ41789013
  24. 주은수,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욕구와 복지노력의 정합성: 지역사회복지계획에 포함된 지역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4권, pp.27-50, 2017.
  25. 김영혜, 고지영, 남효정, 경기도 노인의 생활실태 조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0.
  26. 이은희, "성남시 노인의 욕구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사회복지기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지역복지정책, 제17권, pp.91-113, 2003.
  27. 조당호, "평택시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에 대한 정책적 제언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제16권, 제2호, pp.227-256, 2006.
  28. 전병관,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를 통한 맞춤형 노인복지정책 추진방안-도농복합 아산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한국지방자치학회 2006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037-1067, 2006(4).
  29. 김도희, 조정현, 장임숙, "지역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울산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30권, 제2호, pp.31-57, 2018.
  30. 권승, 김영미, 조영훈, 사회문제론, 공동체, 2011.
  31. 손근호, 김경호, "연령 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 참여에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127-138,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127
  32. 창원시,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19~2022, 2018.
  33. 문지현, 김다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44-54,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044
  34. 최장원, "노년기 경제적 스트레스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봉사활동 동기, 연령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117-13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