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Mediation Analysis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 손인봉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김태형 (부산외국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21.02.22
  • 심사 : 2021.03.30
  • 발행 : 2021.06.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KCYPS)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가 공동체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의식이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동시에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험활동 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is,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Ed. 6).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s'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o sense of commun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키워드

I. 서론

청소년기는 생애발달주기 상으로 급격하고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전환기의 특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1]. 특히, 청소년은 학교라는 환경에서 다양한 발달과업을 수행하게 되며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해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보이는 정신건강 상태는 이후 성인기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생애발달주기 상에서 청소년기의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은 다양한 연구들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나 현실에서의 청소년의 삶은 행복하거나 평온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 발표된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자료[3]를 살펴보면, 도내 청소년 9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정도(0점∼10점)가 6.77점으로 전국으로 시행된 아동종합실태조사(2018) 의 7.24점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사교육비가 서울시 다음으로 높은 경기도의 특성으로 인해 입시에 대한 스트레스와 사교육의 부담감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 정신건강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한 자료도 확인해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감 수준이 OECD 국가들 중 최하위 수준임을 보고[4]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가출 및 자살에 대한 생각이 점차 증가함을 보여[5]주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입시와 사교육 등의 특성으로 인해 청소년 개인이 느끼는 삶은 행복하지 않으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청소년이 느끼는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이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는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 정도를 지각하는 것으로 주관적 안녕감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6][7]. 이러한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는 청소년기의 적응과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를 관련 연구를 통해서 확인해 보면, 삶의 만족도는 청소년의 좌절감, 소외감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2],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삶에 있어서의 활력과 생동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5][8]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것[9]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우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 정서가 현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후 성인기의 삶도 발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을 중심으로 관련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현재 다양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요한 영향요인들은 긍정심리학의 통합이론을 통해 설명되어지고 있다. 통합이론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삶의 여건이 모두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며 구체적으로 개인의 소득, 건강, 결혼 상태, 교육 수준 등이 영향요인임을 설명[10]하고 있다. 즉, 청소년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및 외재적 자원의 증진이 긍정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1]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체험활동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코로나 팬더믹(pandemic) 상황에서 청소년 체험활동 자체는 위축될 수 있으나 그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연구는 분명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겠으며, 비대면 및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체험활동의 개발 및 연구를 위해서도 관련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인의 외재적 자원으로서 청소년 체험활동은 삶의 만족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특히 통합이론에 의하면 여가활동을 통한 경험하는 즐거움, 종교 활동을 통해 얻는 집단적 유대감과 같은 개인의 경험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다[10]. 실제 연구들에서도 고등학생의 체험활동 참여시간 및 참여 여부가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12][13]하고 있으며,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 [14]하고 있다. 그 밖에 청소년 체험활동의 종류 중 하나인 문화예술 활동이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정(+) 적인 효과를 보고[15]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에 있어 청소년의 내적 자원인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이론에서는 외재적 요인과 더불어 내재적 요인 즉, 내재적 동기 및 긍정적 감정 등이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다[10].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공동체의식은 실제 연구들에서도 삶의 만족감을 예측하는데 있어 주요한 변수로연구[2][12] 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공동체의식은 사회구성원들이 소속감과 유대감을 공유하며 형성되는 정서적 차원의 공통된 감정을 의미[16]하며, 선행연구들에서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보고[10][17][18] 되고 있다. 이에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동체의식은 실제로 삶의 만족감, 주관적 행복감 등의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활용되어 분석[19][20] 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와 매개변수인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보고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체험활동 참여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16][21]하고 있으며, 체험활동의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에 정(+)인 영향을 주는 것[1][22]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편,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 관련 선행연구 [1][2][5][17-19]를 바탕으로 성별,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 성적, 부모 근로 여부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위의 선행연구와 관련 이론들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본 연구는 생애발달주기 중 가장 중요한 시점의 청소년이 보다 긍정적으로 삶을 인식하고 희망적인 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관련 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청소년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성장과 발달과 관련된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 변수를 중심으로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보다 행복하고 희망적인 삶을 누리고 성숙되고주체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가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는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 간의 관계를 공동체의식이 매개할 것이다.

연구가설2-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2. 공동체의식은 삶의 만족감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모형

본 연구는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CCTHCV_2021_v21n6_35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목적인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 패널 자료 중 6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중1 패널 자료는 총 7, 071명을 대상으로 2010년 ∼2015년까지 매년 추적조사를 통해 그 변화와 과정을 파악하고 있는 자료이다. 이에 2010년 1차 조사를 완료한 중1 패널 원표본은 2, 351명이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중 1패널에 대한 데이터의 원표본 유지율은 2차년도(2011) 97.0%, 3차년도(2012) 96.1%, 4차년도(2013) 89.7%, 5차년도(2014) 88.9%, 6차년도 (2015) 87.5%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4. 측정도구

4.1 종속변수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삶의 만족감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 삶의 만족감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삶의 만족도 측정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문항은 김신영 외[23]이 작성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나는 사는 게 즐겁다.’, ‘나는 걱정거리가 별로 없다.’, ‘나는 내 삶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다.’의 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합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감 점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삶의 만족도 문항의 신뢰도는 Crobach’s α .816으로 나타났다.

4.2 독립변수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 문항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 문항으로, 건강/보건활동, 과학/정보활동, 교류 활동, 모험/개척 활동, 문화/예술 활동, 봉사 활동, 직업체험 활동, 환경보존 활동, 자기(인성) 개발 등 총 9가지 영역의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1. 매우 만족한다. ∼ 4.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로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9가지 영역의 만족도를 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구성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4.3 매개변수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공동체의식 변수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공동체 인식’ 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권혜원[24]의 민주시민 의식 조사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동체 인식은 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변에 어려움에처해 있는 친구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다.’, ‘공휴일에 쉬지 못하더라도 복지관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를 돕기 위해 기부금을 낼 수 있다.’,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물자절약, 쓰레기 분리수거, 재활용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체 인식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33으로 나타났다.

5.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25]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1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가 매개변수인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유의성을 확인한 후,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의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감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게 된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와 매개변수인 공동체 의식을 함께 투입하여 삶의 만족감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다. 3단계 분석 결과, 독립변수의 직접효과가 유의하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게 되며 유의하지 않다면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 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21_v21n6_359_t0001.png 이미지

2. 관련변수 기술통계

본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요변수 수준을 살펴보면 [표 2]와 같다

표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CCTHCV_2021_v21n6_359_t0002.png 이미지

3. 주요변수 상관관계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체험활동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도 정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감도 정(+)적으로 유의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3.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CCTHCV_2021_v21n6_359_t0003.png 이미지

***p<.001, **p<.01, *p<.05

4. 가설 검증

먼저,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에서 VIF 계수가 2를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26]. 다음으로, 주요 변수들의 첨도 및 왜도 값을 확인한 결과기준치를 넘지 않아 정상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7]. 마지막으로, Baron과 Kenny[25]의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가설검증의 회귀분석결과를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1단계 체험활동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매개변수인 공동체의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모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들이 조직신뢰의 변량(variance)을 7.9%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회귀계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β =.257, p<.001)가 공동체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의 참여한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공동체의식 수준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매개효과 검증의 첫 번째 조건이 충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공동체 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는 가구소득(β=.102, p<.05)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4. 1단계 분석결과

CCTHCV_2021_v21n6_359_t0004.png 이미지

***p<.001, **p<.01, *p<.05

2단계 분석은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삶의 만족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모형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들이 조직 시민 행동의 변량을 16.9%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개별 회귀계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β=.204, p<.001)가 삶의 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의 참여한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제변수들 중에서 성별(β=.084, p<.05)과 가구소득(β=.134, p<.05), 주관적 건강(β=.090, p<.05), 성적만족도(β =.253, p<.001)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자 학생일수록, 청소년이 속한 가정의 연간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성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감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5. 2단계 분석결과

CCTHCV_2021_v21n6_359_t0005.png 이미지

***p<.001, **p<.01, *p<.05

3단계 분석에서는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매개변수인 공동체의식을 독립변수로, 삶의 만족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모형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들이 삶의 만족감의 변량을 약 20.2% 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회귀계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공동체의식(β=.188, p<.001)이 삶의 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체험활동 만족도(β=. 156, p<.001)가 삶의 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인 청소년들의 체험활동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감은 높아지고, 매개변수인 공동체의식의 경우에도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은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 대해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통제변수들 중에서 성별(β=.097, p<.05)과 가구소득(β=.114, p<.01), 주관적 건강(β=.094, p<.05), 성적만족도(β=.257, p<.001)가 삶의 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일수록, 청소년이 속한 가구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그리고 성적에 대해 만족할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6. 3단계 분석결과

CCTHCV_2021_v21n6_359_t0006.png 이미지

*p<.05, **p<.01, ***p<.001

5. Sobel 검증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은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obel test결과,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은 Z값이 3.731로 나타나, p<.001수준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7.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CCTHCV_2021_v21n6_359_t0007.png 이미지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1 패널 자료 중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는 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체험활동에 대해 만족할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12-15]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청소년이 참여하는 활동에 대한 질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그들이 느끼는 삶 또는 정신건강 수준을 높인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라 하겠다. 청소년 복지 차원에서 청소년 활동은 매우 중요한 자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청소년에게 경쟁 중심의 학업 구조와 입시로 인한 스트레스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게끔 하는 기회가 되며, 교과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여가, 문화 등 다양한 체험과 경험으로서 의미를 가지기에 청소년복지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현실의 입시제도와 교육 체계를 극적으로 변화시켜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이미 구조화되어 있는 교육체계와 상호보완적으로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보다 다양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더불어 체험활동 이질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청소년지원센터의 역할과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는 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청소년 체험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의 수준도 높음을 의미하며 선행연구[1][22]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라 하겠다. 개인 내적 자원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은 민주 시민으로서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라 할 수 있다. 특히 현재와 같은 코로나 팬더믹 상황에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느끼는 소속감을 통해 사회적 방역에 참여하고 개인의 건강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공동체의식은 청소년의 이러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그 중요성이 높다고 하겠다. 또한 상호연대감과 상호부조 정신에 기반을 둔 공동체의식은 청소년이 보다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국가의 방역 정책에 협조하고 개인의 건강 행동 증진을 위해 노력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인의 내적 자원이 될 수 있기에 다른 내적 자원 변수들 보다 시의적절한 변수라 하겠다.

셋째,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는 삶의 만족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더불어 공동체의식을 통해 삶의 만족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체험활동의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에도 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매개로 삶의 만족감도 높아진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가지는 내적·외적 자원 모두 개인이 인지하는 삶을 좀 더 가치 있고 살만한 곳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체험활동이라는 외적 자원이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는 개인의 내적 자원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대상중심적 청소년 활동 수행을 위해 청소년의 체험활동에 대한 욕구, 청소년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야 하며, 정부차원에서도 지역사회 기관 및 운영 주체가 체계적으로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운영 매뉴얼을 개발하여 현장에 보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재와 같이 대면활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청소년들이 적절한 경험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자원봉사활동으로 NGO 및 대학사회 기여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시각 장애인 점자 도서 제작(나누는 책 읽기 프로젝트),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해외 교육 봉사활동 등이 좋은 예라 할 수 있으며, 지자체 차원에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는 화순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소년 집콕 생활! 굿바디 홈트’와 같은 프로그램 등이 코로나 펜더믹 상황에서 청소년 체험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향후에는 이러한 청소년 랜선 또는 비대면 체험활동이 대면 체험활동과 더불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정리하자면, 첫째, 독립변수인 청소년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 문항은 2차 자료의 한계로 인해 보다 세분화하여 조사되지 못하였다. 이에 좀 더 청소년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타당성 있게 조사될 수 있도록 추후 구조화된 문항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종속변수의 삶의 만족감 측정 문항은 보다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도구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횡단 연구로 진행되었는데,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도 추후 필요하다고 하겠다. 청소년은 중학교 시기와 고등학교 시기의 특성이 매우 다른 만큼 이에 따른 시간적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체험활동과 관련된 변인과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코로나 펜더믹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므로 연구 결과를 통한 제언에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1. 김민선, 손병덕,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종단 매개효과: 긍정적 청소년발달(PYD) 이론의 발달자산모형 적용,"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12호, pp.425-453. 2019.
  2. 김지혜, "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맍족도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1호, pp.41-62, 2012.
  3.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 청소년의 가족생활 실태 조사, 2018.
  4. 빅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 제44권, 2호, pp.121-154, 2010.
  5. 김태형, "청소년의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790-797,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790
  6. 차경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 상담연구, 제9권, pp.7-26, 2001.
  7. Y. M. Baek,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o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tic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5, pp.809-821, 2004.
  8.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6, pp.803-855, 200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9. Barbara L. Fredrickson,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pp.218-226,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10.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11. P. L. Benson and K. J. Pittman, Trends in youth development: Visions, realities and challenges, Boston: Kluwer Academic, 2012.
  12. 박주현, 이태자, "청소년 체험활동의 참여시간과 참여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3권, 제2호, pp.237-248, 2015.
  13. 박진화, "청소년 체험활동참여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활동연구, 제3권, 제1호, pp.29-50, 2017.
  14. 오승아, 유준호, "우리나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 청소년 활동, 또래애착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아동교육, 제26권, 제3호, pp.207-222, 2017.
  15. 하미경, 윤동열,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5호, pp.157-177, 2013.
  16. 구지윤, 김유나, "청소년 체험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8호, pp.287-309, 2016.
  17. 조성희, 박소영, "청소년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4호, pp.801-818, 2015.
  18. 김연수, 나홀로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층분석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9. 최아람, 오윤선, "기독 후기청소년의 또래신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정서와 공동체 의식의 순차적 매개 효과," 복음과 상담, 제28권, 제1호, pp.327-362, 2020.
  20. 신윤정, 전주람, "대학생의 그릿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동체 의식의 이중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965-991. 2020.
  21. 강현주, 신인순,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9호, pp.25-48, 2015.
  22. 한은영, 김미강,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거주지역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43권, pp.95-124, 2013.
  23.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 청소년 발달지표 조사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 청소년개발원, 2006.
  24. 권혜원,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P. D. Allison, Multiple regression: A primer, Pine Forge Press,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