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ome Care Beauty Device

맞춤형 홈 케어 뷰티 디바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11.29
  • Accepted : 2021.12.23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Due to the regular usage of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people developed skin issues. As a result, interest in skin care which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at home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ustomized home beauty care device to respond to these market trends. In order to do so,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applied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proceeded in the order of discovery, defini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user-centered design development approach by fusing design thinking processes rather than styling-oriented design processes, and suggested new possibilities for design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measured.

COVID-19 발병과 장기화로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발생으로 셀프 스킨케어에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맞춤형 홈 뷰티 케어 디바이스의 제품디자인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중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 정의, 발전, 전달 단계 순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1단계 발견에서는 사전 조사를 통해 도출된 3가지 제품 컨셉 평가와 함께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집단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2단계 정의에서는 제품 컨셉과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였고, 적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3단계 발전에서는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부 상태 측정 간소화 및 케어 솔루션을 제시하여 제품 컨셉을 정교화 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 스케일 적용을 위해 한국인 인체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 대표 치수를 적용하여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4단계 전달에서는 시안들에 대해 소비자 평가를 시행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시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타일링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가 아닌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융합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측정 데이터 기반으로 한 정보들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홈 뷰티 디바이스는 크고 비싼 피부과 의료기기를 개인용 디바이스로 구현한 제품을 지칭한다. 홈 뷰티 디바이스는 경제 소득이 증가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 지면서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모의식 상승, 미용기기에 대한 인식증가, 피부질환의 유병률 급증, 노인 인구증가 역시 시장 확대를 주도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제 리서치회사 Prescient & Strategic Intelligence의 2021년 가정용 미용기기 세계시장(Global Home Beauty Devices Market)분석에 따르면 2020년 95억 7, 160만 달러에서 2020-2030년 동안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25.1%로 2030년에는 895억 3, 5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국내 뷰티 디바이스 시장 역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에스테틱 디바이스 시장은 800억 원 규모였으나, 매년 10% 이상 성장해 2018년 기준 5, 000억 원 규모로 증가했다. 이러한 추세는 계속 이어져 2022년에는 1조 6, 000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홈 뷰티 에스테틱의 대표 기기인 LED 마스크 업계가 호황을 누리고 있다. 11번가에 따르면 1 월 중순부터 약 한 달간 LED 마스크 판매량이 전월 동기 대비 203%,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여성 1, 000명을 대상으로 시장조사 전문 업체 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에서 피부관리 및 홈 뷰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중 85.4%가 피부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피부관리 기기를 사용해 집에서도 피부를 관리하는 홈 뷰티에 대해 관심이 많다고 응답했다 [3]. 이는 과거 병원 또는 피부관리실에서 받을 수 있었던 피부미용 서비스를 사용자가 개인적인 공간에서 스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셀프 뷰티‘ 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COVID-19 발병과 장기화로 홈 뷰티기기를 활용해 쉽고 간편하게 피부관리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 이러한 제품의 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상황에 맞춰 LED 마스크, 클렌징 기기 정도에 국한되던 뷰티 관련 제품들이 점차세분화되면서 IT기술과 접목한 다양한 피부관리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런 시장 상황에 따라서 뷰티 디바이스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충족, 미충족 욕구 등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소비자 중심의 차별화된 디자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니즈를 분석하여 셀프로 피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피부 진단부터 맞춤형으로 케어까지 가능한 안면 피부관리 기기 디자인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2. 연구방법 및 범위

소비자 중심의 차별화된 디자인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방법론을 융합하여 발견 > 문제정의 > 발전 > 실현 단계로 진행하였다. 문제점 발견과 디자인 방향성 시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소비자 집단을 모집하여 두 번의 집단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디자인 컨셉 및 전략을 정교화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한국 여성들의 인체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안면 착용감 향상을 위한 대표 사이즈를 도출하여 유니버설 스케일을 적용한 디바이스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1.1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디자인 컨설팅회사인 IDEO의 CEO Tim Brown은 디자인 씽킹에 대해 ‘사회를 좀 더 좋게 변화시키기 위한 인간중심의 이노베이션 기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4]. 다시 말해 디자인 씽킹은 ‘창조적 방법으로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5]. 스탠포드대학교 디스쿨(d.school)을 오픈한 데이비드 켈리 (David Kelley, 2013)는 ‘디자인씽킹은 창조적 자신감 (Creative Confidence)’을 주는 데서 출발한다고 주장하였다[6].

오인균, 이단비(2021)의 선행연구에서는 디자인 씽킹의 대표적 프로세스 중 하나로 영국 디자인 카운슬 (The Design Council)에서 제시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Double diamond design thinking process) 을 소개하였다[7]. 정석길, 차석울(2019)의 연구에 의하면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 발견 단계에서는 문헌조사와 필드 리서치를 통한 문제점 발견을 의미한다. 2단계 정의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아이디어를 재검토하여 다시 분별 및 선별하는 작업을 하여 개발 방향을 설정한다. 3단계 발전 과정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서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발산한다. 최종 4단계 전달 단계에서는 수렴과정을 통해서 최종 디자인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8].

CCTHCV_2022_v22n1_2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출처:https://www.designorate.com/the-double-diamond-design-thinki ng-process-and-how-to-use-it/

III. 디자인 개발

1.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프로세스를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초로 하여 진행하였다.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발견(Discover), 문제정의(Define), 발전(Develop), 실현(Deliver)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국 디자인 카운슬에서 제시한 방법론으로 첫 번째 발견 단계에서는 시장조사와 소비자 집단심층면접(FGI)을 통해 대표적인 홈 케어 뷰티 디바이스인 LED 마스크의 현황과 문제점 수집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문제정의 단계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정의 즉, 제품 컨셉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세 번째 발전 단계에서는 디자인 컨셉 도출, 아이디어 발산 및 시각화하였다. 특히, 인체에 착용하는 기기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니버설 스케일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전달 단계에서 수렴과정을 통해 최종 디자인 결과물을 3D 렌더링으로 제작하였다[표 1].

표 1. 프로세스 단계별 세부내용

CCTHCV_2022_v22n1_23_t0001.png 이미지

2. 소비자 조사: 집단심층면접(FGI)

2.1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

집단심층면접은 모집단의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통해 소비자의 동기나 태도, 의견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특히 집단의 상호작용 때문에 새로운 의견이나 아이디어 발상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9]. 본 연구에서는 발견 단계에서 소비자들의 피부 관리에 대한 충족, 미충족 니즈를 발견하고 개발 제품 및 디디자인 컨셉 방향 설정을 위해 집단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2.2 연구대상

FGI 조사의 경우 2019년 11월에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홈케어 피부미용 기기인 LED 마스크의 구매율이 높은 연령대가 30대인 점을 참고하여 모집 연령을 만 25~54세로 설정하였다[10]. 선정된 나이에 부합하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 중이고 피부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취업:전업 비중을 5:5 비율로 선정하여 모집하였다. 모집된 인원을 LED 마스크를 사용 중인 그룹과 구입 의향이 있는 그룹으로 나눠 진행하였으며 그룹 구성과 진행 과정은 [표 2][표 3]과 같다.

표 2. FGI 그룹 구성

CCTHCV_2022_v22n1_23_t0002.png 이미지

표 3. FGI 진행 순서

CCTHCV_2022_v22n1_23_t0003.png 이미지

FGI를 통한 선행연구에서[11] LED 마스크 구입 의향 이유로 간단한 피부관리법, 피부 개선에 많은 기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을 사용하면서 불만 사항에서 비롯되는 미충족 욕구(Unmet Needs)로 빛 노출로 인한 눈 보호 우려, 일상 활동 제한, 마스크 사용 후의 위생 관리 등이 있었다[표 4].

표 4. LED 마스크 구입 이유, 기대, Unmet Needs

CCTHCV_2022_v22n1_23_t0004.png 이미지

이를 통해 다음 [표 5][그림 2]와 같이 세 가지의 차별적인 디바이스 컨셉을 제시하여 컨셉 정교화를 위한 수용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컨셉평가 관련 내용 위주로 정리하여 최종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표 5. 수용도 진단을 위한 세 가지 컨셉

CCTHCV_2022_v22n1_23_t0005.png 이미지

CCTHCV_2022_v22n1_23_f0013.png 이미지

그림 2. 3가지 컨셉 이미지

2.3 소비자 조사 결과

세 가지 컨셉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 조사 결과 3가지 모두 차별적인 제품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앱과 연동되어 피부 상태가 체크 가능하고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관리를 할 수 있는 컨셉 1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CCTHCV_2022_v22n1_23_f0002.png 이미지

그림 3. 그룹별 정량평가 결과

또한, 3가지 디바이스 컨셉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 평가를 [표 6]과 같이 정리 하였다.

표 6. 컨셉별 디바이스 기능관련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결과

CCTHCV_2022_v22n1_23_t0006.png 이미지

3. 제품 컨셉 설정

3.1 기능 컨셉 설정

앞서 진행한 FGI(Focus Group Interview)에서 정리된 기능별 선호도를 분석하여 [표 7]과 같이 필수요소, 적극 활용 요소, 검토 요소 단계로 활용도를 분류하였다[표 6]. 필수요소로는 모바일 앱과 연동되는 피부 상태 체크 및 측정된 피부 상태에 따른 피부관리를 제안해 주는 기능으로 설정하였다. 두 번째 중요 기능으로 미세전류를 활용해 각종 세럼, 크림 등의 영양분이 진피층까지 빠르게 침투 가능하게 하여 전문적인 피부관리를 받는 느낌을 주게 하는 기능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착용 중 설거지, 청소, TV시청 등 가벼운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컨셉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표 7. 컨셉 요소별 활용도 분류

CCTHCV_2022_v22n1_23_t0007.png 이미지

3.2 디자인 컨셉 설정

FGI조사와 더불어 디자인 트렌드, 경쟁제품 분석, 문헌 및 시장 조사 등을 통해 핵심 가치와 디자인 컨셉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표 8][그림 4].

표 8. 디자인 핵심 가치

CCTHCV_2022_v22n1_23_t0008.png 이미지

CCTHCV_2022_v22n1_23_f0003.png 이미지

그림 4. 디자인 컨셉

도출된 디자인 컨셉을 바탕으로 세 가지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고, 순서대로 방향성 A, 방향성 B, 방향성 C로 명명하였다. 방향성 는 의료기기를 연상케 하며 보다 전문성을 강조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성 B는 친숙하면서도 트렌드가 반영된 디자인, 방향성 C는 새로운 형태와 기능, 혁신적이며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각각의 방향성에 따른 세부 디자인 키워드, 대표 제품군, 디자인 특징, 디자인 이미지는 [표 9]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9. 디자인 방향성

CCTHCV_2022_v22n1_23_t0009.png 이미지

3.3 디자인 전략 적정성 평가

앞선 연구에서 수립된 개발 제품의 컨셉과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객관적인 적정성 평가를 위해 마케팅 분야 2명, 디자인 분야 3명의 외부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항목 및 평가내용을 다음 [표 9] 와같이 설정하고 총합계 점수가 100점이 되게 각각의 항목에 배점을 부여하여 진행하였다.

표 10. 적정성 평가 항목 및 내용

CCTHCV_2022_v22n1_23_t0010.png 이미지

5가지 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평가 결과, 100을 기준으로 86.4로 평가되어 제품 컨셉 및 디자인 방향성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11].

표 11. 적정성 평가 결과

CCTHCV_2022_v22n1_23_t0011.png 이미지

4. 제품 컨셉 정교화

4.1 맞춤형 피부 케어를 위한 유수분 측정 방법 개선

김정희(2006)의 선행연구에서 피부 타입의 결정은 얼굴 4개 부위의 유수분 상태를 측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 측정의 간소화를 위해 얼굴 이마 부위의 유수분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 해석의 한 방법인 곡선적합(Curve Fitting)을 통해 계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2019년 11월부터 20~60의 남, 여 14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4 부위(이마, 눈가, 뺨, 턱)의 유수분 데이터를 Skin Analyzer SK-8을 활용해 측정하였다. 수분과 유분의 3차 다항식 회귀분석 (3rd-order polynomial Regression)에 의한 계산 식은 다음과 같다.

CCTHCV_2022_v22n1_23_f0004.png 이미지

그림 8. 얼굴 수분 데이터의 계산

\(-0.0084 x^{3}+1.016 x^{2}-39.53 x+535.5\)(1)

CCTHCV_2022_v22n1_23_f0005.png 이미지

그림 9. 얼굴 유분 데이터의 계산

\(-0.001508 x^{3}+0.05014 x^{2}+0.4286 x+3.357\)(2)

분석된 자료와 피부 전문가 조언을 참고하여 피부 타입을 유분부족, 중성, 지성, 건성, 수분부족건성, 수분부족 지성 6가지로 분류해 모바일 앱에 탑재하고, 별도의 문헌 조사 및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LED 광원을 활용한 피부케어 및 미세전류 자극 솔루션도 함께 적용하였다[그림 10][그림 11].

CCTHCV_2022_v22n1_23_f0006.png 이미지

그림 10. 피부 타입별 케어 솔루션 예시

CCTHCV_2022_v22n1_23_f0007.png 이미지

그림 11. 모바일 앱 피부상태 주요화면

피부 상태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위해 Lesile Baumann(2016)이 제안한 설문을 통한 16가지 피부 유형을 모바일 앱에 적용하여 피부 타입에 맞는 케어 솔루션 및 앰플 추천 등을 기능을 제안하였다[12].

4.2 유니버설 스케일 적용

4.2.1 연구배경

디바이스 착용 중 설거지, 청소, TV시청 등 가벼운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컨셉을 적용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형태로 안경 착용형으로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유니버설 스케일을 적용하기 위해 최영림(2016)은 스마트 글래스 관련 선행연구에서 눈살귀구슬수평길이, 귀바퀴사이너비, 눈구석사이너비를 이용한 남성용 사이즈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설계방식은 남성의 인체 데이터를 활용하였기에 남성에 적합한 디자인, 사이즈의 제품을 설계할 수 있으나 뷰티 디바이스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와는 거리가 멀었다.

4.2.2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뷰티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을 위해 제 6차 사이즈코리아 사업(국가기술표준원, KATS) 에서수집된 성인 여성의 머리부위 측정데이터 중 뷰티 디바이스 구매 비율이 높은 30, 40대 여성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13]. 총 45개의 치수 항목 중 안경 착용형 디바이스 제품 디자인에 관련성이 높은 8개 항목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고 요인수는 3개로 선정하였으며, 성분행렬은 Varimax 방법에 의하여 직교 회전 하였다. 그 중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이즈 대표항목을 선정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사이즈 구간을 개발하고, 교차분석을 통해 다빈도구간을 추출하여 뷰티 디바이스 설계에 활용하였다[14]. 자료 분석에는 spss 26.0이 사용되었다.

4.2.3 대표치수 항목 추출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글래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프레임의 전체 가로 길이를 좌우하는 귀바퀴사이너비를 front 요인, 안경다리 사이즈를 결정하는 눈살귀구슬수평길이를 temple, 그리고 눈구석 사이 너비를 마스크의 눈구멍 간격이될 bridge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대표치수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표 12. 안경프레임 관련 인체측정항목의 요인분석결과

CCTHCV_2022_v22n1_23_t0012.png 이미지

4.2.4 사이즈 구간 설정

대표치수항목으로 선정된 귀바퀴사이너비, 눈살 귀 구슬 수평길이, 눈구석사이너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사이즈 구간을 산출하였다. 중심 사이즈 구간을 평균±표준편차(SD)로 하고, 그 외 사이즈 구간은 중심 사이즈에서 표준편차x2 간격으로 산출하였다[표 13] [표 14].

표 13. 대표치수항목의 평균, 표준편차

CCTHCV_2022_v22n1_23_t0013.png 이미지

표 14. 대표치수항목의 사이즈 구간 설정(단위:mm)

CCTHCV_2022_v22n1_23_t0014.png 이미지

4.2.5 교차분석에 따른 다빈도구간 도출

도출된 각 치수별 사이즈 구간을 나누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영림(2016)의 선행연구에 따라 전체 연구대상 399명의 5% 이상이 분포되는 6개 사이즈 구간을 다빈도 구간으로 선정하였다[13].

표 15. 대표치수 사이즈 구간의 교차분석 결과(%)

CCTHCV_2022_v22n1_23_t0015.png 이미지

교차분석을 통해 선정된 6개 사이즈 구간은 70.9%에 달하는 커버율을 보였으며, [그림 12]와 같이 31.4mm (눈구석사이너비)-88.5mm(눈살귀구슬수평길 이)-157.2mm(귀바퀴사이너비)가 다빈도 구간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머리부위 인체치수를 활용해 뷰티 디바이스 디자인을 위한 기준 치수를 산출하였다.

CCTHCV_2022_v22n1_23_f0008.png 이미지

그림 12. 다빈도 사이즈 구간 분포

산출된 치수를 기반으로 [그림 13]과 같이 디바이스 1차 제품디자인 컨셉을 개발에 적용하였다.

CCTHCV_2022_v22n1_23_f0009.png 이미지

그림 13. 주요 설계 요소별 대표 사이즈 적용

4.2.6 시뮬레이션을 통한 LED 광원 포지셔닝

안면 부위에 조사되는 LED 광원의 효과적인 배열을 위해 한국인 여성의 연령별 표준 두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3D 설계 툴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고, 3D 프린팅된 두상에 LED 광원을 그룹핑 및 포지셔닝 하였다. LED 광원은 안면 한쪽 면을 기준으로 이마 2분할, 볼 및 뺨 부위 6분할, 턱 부위 4분할로 총 24곳의 부위로 그룹핑을 진행하였다[그림 14].

CCTHCV_2022_v22n1_23_f0010.png 이미지

그림 14. LED 광원 포지셔닝

5. 홈 뷰티 디바이스 제품 디자인 렌더링

5.1 1차 3D 모델링 및 렌더링 전개

앞서 연구된 디자인 방향성, 제품 컨셉 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1차 3D 모델링 및 렌더링을 진행하였다 [그림 16]. 1차 모델링에서는 형태 및 기능의 구현 외에도 유니버설 스케일을 적용하였다.

CCTHCV_2022_v22n1_23_f0011.png 이미지

그림 15. 1차 3D 모델링 및 렌더링

방향성 A안은 그레이 계열 배색으로 의료기기 분위기의 전문성을 전달하려 하였고, 전면부 흡입 홀 구성하여 답답함 해소 및 밴드형 착용에 의한 밀착감 높이는 형태로 디자인 하였다. 방향성 B안은 보다 샤프한라인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움과 공예적인 요소 강조한 디자인 제안 이다. 전면부 폐쇄형으로, 심리적으로 집중케 어를 느끼도록 하였고, 눈부분 투과형으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 방향성 C안은 개방감을 높인 타입으로, 사용성을 극대화하려 하였고, 보관 및 이동성을 높인 디자인 컨셉이다.

5.2 평가

앞서 언급한 디자인프로세스 네 번째 전달(Deliver) 단계에서는 제품디자인의 객관성 및 구체성 확보, 보완사항 체크를 위해 소비자 조사에서 모집되었던 인원을 대상으로 1차 시안에 대한 평가를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C안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조형적으로는 B안의 세련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안의 선호 이유로는 사용성, 휴대성을 이유로 선호하였고, 비선호 이유로는 케어 되지 않은 얼굴부위에 대한 불만족, 스포츠 고글 같은 이미지 등이 있었다. B 안에 대한 선호 이유는 디자인이 고급스러워 프리미엄 제품의 이미지를 준다고 평가되었다. 이에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C안의 포터블 형태를 유지하되 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코부분의 케어가 안되는 형상을 수정하여 케어 면적을 좀 더 넓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안에 대한 선호도와 소비자들의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 [표 16]과 같다.

표 16. 소비자 조사 – 디자인 방향성CCTHCV_2022_v22n1_23_t0016.png 이미지

5.3 최종 제품디자인

이해관계자들과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 디자인 렌더링 시안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CCTHCV_2022_v22n1_23_f0012.png 이미지

그림 17 최종 디자인 이미지

개발사에 의해 개발되어 있던 눈 전용 제품을 기본 본체모듈로 설정하여 최종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이는 기존 제품 활용 및 연동으로 생산단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체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들은 케어 부위에 따라 자석 부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특정 부위에 대한 집중 케어, 안면 전체 케어, 미세전류 마스크 팩과 함께 LED 케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하였다.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위해 금속재질 느낌의 마감과 색상을 적용하였다. 1차 시안의 코 부위에 대한 케어가 안되어 불만족이었던 점을 보완하고자 코 부위 형상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IV. 결론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홈 뷰티 디 바이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품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의 하나인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소비자 조사(발견), 제품과 디자인 방향성 설정(정의), 디자인 전개(발전), 평가(전달)의 총 4단계를 기본으로 진행되었다, 발견 및 정의 단계에서는 소비자 그룹을 모집해 집단층면접심 시행하여 피부 관리에 대한 충족 및 미충족 니즈를 발견하여 제품 및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전개 단계에서는 안면 부위별유수분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 측정 간소화 방안을 3차다항식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하여 맞춤형 피부 케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또한, 30-40 대 여성의 인체측정치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요인추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사이즈 구간화, 교차분석을 통한 대표 사이즈를 도출하여 디바이스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전달) 단계에서는 소비자 조사를 시행하여 컨셉을 정교화하여 최종 디자인 시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으며, 다음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첫 번째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차별화된 디자인 시안을 개발할 수 있었다. FGI를 통해 소비자들의 미충족 욕구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디자인 방향성 및 컨셉 설정을 정교화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실제 측정된 유수분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을 통해 피부 상태 측정을 간소화하여 피부 상태에 따른 맞춤형 케어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는 한국 여성의 머리부위 인체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대표사이즈 구간을 도출하여 디바이스 디자인에 적용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유사 제품들의 디자인 및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인체측정데이터 및 소비자 조사를 기반으로 하였기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다른 인종 혹은 국가를 대상으로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https://www.psmarketresearch.com
  2.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00329500253
  3. http://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87
  4. T. Brown, "Design Thinkingm," Harvard Business Review, pp.84-92, 2008.
  5. 박재호, 송동주, 강상희, 디자인씽킹-제품과 서비스개발을 위한 혁신적 문제해결방법, 가디언북, 2020.
  6. Kelly, Tom and Kelly, David, 박종성(옮김), 유쾌한 크리에이티브, 청림출판, 2014.
  7. 오인균, 이단비, "디자인 씽킹 방법론 융합 정수기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9권, 제2호, pp.249-259, 2021.
  8. 정석길, 차성욱, "디자인 씽킹 방법론 융합 유아용 칫솔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7권, 제3호, pp.415-427, 2019.
  9. 하봉준, 전략적 광고조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0.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5/371117/
  11. 김태원, 김현웅,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LED 마스크 컨셉 정교화 및 브랜딩 방향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21권, 제6호, pp.137-148, 2020.
  12. https://sizekorea.kr/
  13. M. D. Leslie Baumann, The Skin Type Solution, Bantam; Reprint edition, 2006.
  14. 국가기술표준원, 사이즈코리아를 활용한 스마트글라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https://sizekorea.kr/board/article/view/4/4964, 2015.
  15. 최영림, "스마트 글래스 설계를 위한 남성용 안경프레임 사이즈 시스템 개발,"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2호, pp.563-57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