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폐기물매립지 안정을 위한 계측자료 분석

Analysis of Measurement Data for Stability of Seashore Waste Landfills

  • 장연수 (동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최종식 ((주)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 류혜림 (동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동현 (동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Jang, Yeon-Soo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Choi, Jong-Sig (Dept. of Geo-Environment, Sunjin Engineering & Architecture Co.) ;
  • Ryu, Hye-Rim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Kim, Dong-Hyun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08.03.28

초록

연약지반에 건설 운영되는 폐기물매립지는 매립하중으로 인하여 지반 및 사면파괴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제한된 부지면적 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며 최대의 매립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당해 연약지반의 특성을 상세히 조사 이해하고, 폐기물의 매립특성 및 반입대상 폐기물의 반입조건 등을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안정관리를 위한 계측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지를 대상으로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Tominaga-Hashimoto법, Kuriharh 법 등 매립장 안정관리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는 기법을 이용한 매립지 안정성여부를 분석하였다.

Waste landfills built on weak soils have the possibilities of the failure of slope and foundation due to the disposed waste loads. To ensure the landfill will sustain its stability within a limited site area, it'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ft land by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for waste filling and by quantitative field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landfills. In this paper, the stability analyses are performed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of Gimpo #2 Metropolitan Landfil. For the stability analysis, Tominaga-Hashimoto method and Kuriharh method, which may be able to manage the stability of the landfill quantitatively, are u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