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ggestion on the Traffic Flagger System in Japan

일본 교통유도 경비제도의 시사점

  • Published : 2010.05.14

Abstract

The obstructive factors of the smoothly running traffic are street improvement, major commercial buildings like department stores, the large markets, the stadiums, the concert buildings, a lot of steady cars for using parking lot. The accident of cost many lives and traffic congestion from these factors cause the result that it enables to pay the enormous expenditure socially and financially. For solving these problems, Japan adopts the Traffic Flagger System in 1972. This task has the effects of improving traffic flow in the traffic jam and mitigating risk of car accidents as leading pedestrians and vehicles thereby the task carries into effect in the area where the accident took place. Moreover, this security task is rapid growth after adopting and 59.6%(5,317) of the whole security company 8,924 in Japan based on December 2009 registered as the traffic leading security business. While South Korea is demanded of the measures about obstructive factors of the smoothly running traffic, it represents the limitation of the system and the safety management. Thu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we will analyze South Korea's actual condition and then discuss the law and education system for a realizable plan reached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adopting Japan's Traffic Leading Security System.

원활한 교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도로공사, 도로와 인접한 곳에서의 건축공사, 대규모 상업시설(백화점,대형마트,경기장,콘서트장 등), 주차장 이용을 위한 차량의 빈번한 출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발생한 인명사고 및 교통정체는 결국 사회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비용 지출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은 1972년 교통유도경비 업무라는 경비업무를 도입하였다. 업무내용으로는 앞서 언급한 문제요인 발생 지역에 해당 업무를 실시함으로써 교통정체지역의 원활한 교통흐름 유도, 보행자 및 차량의 유도로 사고위험 경감 등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09년 12월 기준 일본 전체 경비업체 8,924개 중 59.6%(5,317개)가 교통유도경비업체로 등록되어 있을 정도로 도입이후 급신장한 일본의 경비업무이다. 반면 한국은 원활한 교통을 방해하는 요인에 대한 대책마련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 및 안전 관리대책에 한계를 들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통유도경비 제도를 한국의 현재 실태 분석과 함께 향후 민 관상호가 협력적으로 협의하여 실현 가능토록하기 위한 법적제도 및 교육제도에 대하여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