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Prediction on the Seakeeping Characteristics of a Catamaran Power Yacht

카타마란형 파워요트의 내항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

  • Shon, Chang-Bae (Division of Ocea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Oh, Woo-Jun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Ku, Youn-Kyoung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Gim, Ok-Sok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Lee, Gyoung-Woo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손창배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 ;
  • 오우준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 구윤경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옥석 (목포해양대학교) ;
  • 이경우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10.04.22

Abstract

The ship's seakeeping performance in the pitching and roll motion was felt tired. These gives structural loads to loaded with cargo and hull facilities. Be to improve, small catamaran power yacht designed a data for ship research and ship's hull form to be decided. In this study, based on domestic release for coastal marine environment in the interpretation criteria were chosen based on the exercise performance. The seakeeping performance of marine leisure catamaran was based on voyage speed. The seakeeping performance estimates based on the encounter angle, the wave of the encounter frequency response amplitude ratio for exercise was assessed in the high performance area.

선박의 상하동요 및 종동요 간의 내항성능은 승객에게 피로감을 주며, 적재된 화물과 선체에 탑재된 재설비에 구조적 하중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카타마란 파워요트 설계시 해당 실적선 조사와 선저형상을 결정하여 선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의 해양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운동성능 해석조건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카타마란형 레저선박의 운동성능을 선속에 따라 고찰하였다. 파도와 선박의 만남각에 따른 내항성능을 추정하여, 파랑의 만남주파수에 대한 응답진폭비와 운동성능이 우수한 영역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