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물 박막 증착 시 발생하는 산소 음이온 측정

  • 최진우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박혜진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조태훈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황상혁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박종인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윤명수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 권기청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발행 : 2015.08.24

초록

일부 금속들은 산화물을 형성하여 반도체적 성질을 갖게 되는데 이를 산화물 반도체라 한다. 산화물 반도체는 전자의 전도 특성에 의해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a-Si 반도체 보다 뛰어난 전자 이동도를 갖고 넒은 Band gap energy를 갖기 때문에 누설 전류가 적어 Device 제작 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용액 공정, CVD, Sputtering 등이 있다. 그 중 Sputtering을 이용한 산화물 박막 증착 시 산소 음이온이 기판으로 가속하여 박막에 충돌, 박막 물성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ITO를 증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음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산소 음이온 발생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