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미강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 강동호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박혜경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김동훈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ramyon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with ${\alpha}-tocopherol$, BHA, TBHQ, and ascorbyl palmitate+citric acid or blended with palm oil was studie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oil as the frying oil. The antioxidants were added to a ricebran oil at 0.02% level, respectively, while blended oils were prepared by adding a palm oil to the ricebran oil at ratios of 3:7, 5:5, and 7:3. Ramyon samples were prepared by frying steamed noodel with the oils. They were stored in dark at $35.0{\pm}0^{\circ}C$. for 90 days. Peroxide, acid, iodine values, dielectric consta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s extracted from the samples were determined regularly.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extracted oils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samples were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the determinations. ${\alpha}-tocopherol$ did not exert any appreciable antioxidant effect on the extracted oil while BHA demonstrated some effect. Ascorbyl palmitate with citric acid and especially TBHQ exerted a considerable effec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samples fried with the oil fortified with TBHQ was as good as that of the samples prepared with the palm oil. The stability of the samples improved as the palm oil content In the frying oil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samples fried with the blended oil containing 70f) palm oil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samples prepared with the pure palm oil

본 실험에서는 라면제조시 미강유를 튀김유로 사용했을 때, 그 산화 안정성에 대한 ${\alpha}-tocopherol$, BHA,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의 첨가효과와 미강유에 팜유를 가각 30, 50, 70%(w/w) 혼합한 혼합유의 경우 그 혼합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했다. 이상의 항산화제들은 미강유에 0.02%의 수준으로 첨가했으며, 혼합유의 경우에는 전술한대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했다. 이상의 기름으로 튀긴 시제라면들을 각각 30분식을 무색, 투명의 polypropylene 봉지에 넣어 $35.0{\pm}0.5^{\circ}C$의 항온기내에서 90일간 저장했다. 일정기간마다 각 시료구와 실험대조구에서 라면시료를 채취한 후 그 속의 유지를 추출하여, 추출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유전항수, 지방산조성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상의 측정치들의 변과를 토대로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과 시제라면의 저장 안정성을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조구와 각 항산화제 첨가구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유전항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에서 판단할 때 ${\alpha}-tocopherol$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한편 BHA는 약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한 경우와 TBHQ의 경우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특히, TBHQ를 0.02% 첨가한 미강유를 사용했을 경우의 그 산화 안정성은 팜유를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혼합유 시료구들의 경우, 튀김에 사용한 혼합유 중의 팜유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 산화 안정성은 증가했다. 즉, 팜유가 30% 혼합된 혼합유로 만든 시제라면의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은 미강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히 증가했다. 그리고 팜유가 70% 함유된 혼합유를 사용했을 경우 그 산화 안정성은 함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의 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