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하중의 주행에 의한 트러스교의 동적응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 Response of Truss Bridge due to Moving Train Loads

  • 장동일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최강희 (철도청 시설국) ;
  • 이종득 (철도전문대 철도토목과)
  • 투고 : 1988.08.12
  • 발행 : 1989.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열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때 트러스교에 얼어나는 동적응답을 구해보았다. 해석은 Householder 변환과 QL법을 이용하여 고유치해석을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모든중첩법에 의해 동적응답을 구했으며, 이것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먼저 아주 느린 속도로 하중이 주행할 때 얻어지는 응답을 정적해석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치와 비교하였고, 동적응답은 직접 적분법에 의한 결과 치와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열차의 속도와 형태의 변화에 따른 동적확대계수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그것들을 시방서 규정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열차의 속도가 낮은 경우 동적확대계수는 열차의 형태에 관계없이 비교적 낯은 값이 있었으나 속도가 높아질수록 형태에 따라 크게 다르고, 전도차 및 U. I. C. 하중의 경우는 그값이 시방서 규정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수 있었다.

In this paper, dynamic response of a truss bridge due to constantly moving train loads is analysed. Dynamic response of the bridge is found by the mode superposition method with the solution of the eigenvalue problem by Householder transformation and QL algorithm.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procedure, the response due to a very slowly moving load is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static analysis program, and the dynamic response is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direct integration method. Based upon this, the variation of dynamic amplification factors i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train types and speeds,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code specified impact factor. From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the dynamic amplification factor is not quite different by train types in low speeds but in high speeds it is, and in the case of electric car and U. I. C. loads the factor could exceed the code specified impact factor depending upon the spe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