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 양자화 화자적응기법을 사용한 한국어 단어 인식

Korean Word Recognition Using Vector Quantization Speaker Adaptation

  • 최갑석 (명지대학교 전자공학과)
  • 발행 : 1991.08.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퍼지벡터양자화보다 양자화 왜곡을 더욱 저감시키기 위하여 에너지부분공간을 도입한 퍼지벡터양자화(energy subspace fuzzy vector quatization : ESFVQ)를 제안하였으며, 그것을 화자적응에 적용한 에너지부분공간 퍼지벡터양자화 화자적응기법에 의하여 미지화자의 한국어 단어를 인식하였다. 화자적응을 위한 학습과정에서 에너지 부분공간에 따른 퍼지 히스토그램으로 사상코드북을 작성하였으며, 인식과정에서 미지화자의 음성을 ESFVQ에 의해 복화화하므로써 인식율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남성 2인과 여성 1인이 발성한 DDD 전화 지역명에 대하여 ESFVQ에 의한 양자화 왜곡 및 화자적응 단어 인식율을 측정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ESFVQ의 양자화 왜곡은 벡터 양자화보다 22% 감소되었으며, 퍼지 벡터 양자화보다 5% 감소되었다. 또한, ESFVQ에 의한 화자적응방법으로 인식한 결과, 화자적응을 고려하지 않은 방법보다 26%, 벡터 양자화에 의한 방법보다 11%의 향상된 인식율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the ESFVQ(energy subspace fuzzy vector quantization) that employs energy subspaces to reduce the quantizing distortion which is less than that of a fuzzy vector quatization. The ESFVQ is applied to a speaker adaptation method by which Korean words spoken by unknown speakers are recognized. By generating mapped codebooks with fuzzy histogram according to each energy subspace in the training procedure and by decoding a spoken word through the ESFVQ in the recognition proecedure, we attempt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the ESFVQ is evaluated by measuring the quantizing distortion and the speaker adaptive recognition rate for DDD telephone area names uttered by 2 males and 1 female. The quatizing distortion of the ESFVQ is reduced by 22% than that of a vector quantization and by 5% than that of a fuzzy vector quantization, and the speaker adaptive recognition rate of the ESFVQ is increased by 26% than that without a speaker adaptation and by 11% than that of a vector quantiz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