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tumor and Immunologic Activity of Chitosan Extracted from Shell of Shrimp

새우 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의 항암 및 면역활성

  • 류병호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2.04.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chitosan extracted from Solenocera prominetis toward on mire bearing sarcoma-180.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the chitosan toward sarcoma-180 showed at the highest level of 63.84% when chitosan were ad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40mg/kg. The direct cytotoxic effect of chitosan was not observed in the mice bearing sar-roma-180 in vitro. In the effect of immunological activities, dose-dependent responses indicated by the increase of leucocyte, peritoneal exudate cell than that of control group when chitosan administered to the mice in the concentation of 30mg/kg and 40mg/kg. Also dose-dependent responses showed also by the increase of immunoorgans weights such as body weight, liver, spleen or thymus in the same concentration of 30mg/kg and 40mg/kg. Food pad swelling having the relationship with arthus reaction of antibody-mediated hypersensitivity an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was recovered the almost normal level. In the efforts of macrophge on phagocytes, there were not substantial differences in phagorytic and corrected phagocytic index. In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PFC), PFC on the 10$^{7}$ spleen cells were increased the levels of 18.88% and 31.83% when chitosan were adminstersd at the concentration of 30mg/kg and 40mg/kg.

수산물 폐기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롱 새우껍질에서 추출하여 만든 키토산을 마우스에 이식한 sarcoma 180을 이용하여 in vivo와 in vitro에서 항암 효과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키토산의 sarcoma-180에 대한 고형암 성장 저지율을 40mg/kg투여시 63.84%의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수명 연장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키토산을 40mg/kg 투여하였을 때 26.84%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를 근거로 하여 in vitro에서는 sarco-ma-180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의 독성 작용은 거의 없었다. 키토산은 30mg/kg과 40mg/kg을 투여시 혈중 백혈구수와 총복강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 하였고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도 투여한 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용량 의존성 반응을 보였다. 항체 유도염증 반응인 항체매개형 과민반응과 지연형 과민반응은 족척의 두께가 키토산에 의해 거의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Macrophage의 식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phagocytic index 와 corrected phagocytic index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용혈성 반응 세포수(plaque forming cell, PFC)는 대조군에 비하여 PFC/$10^{7}$ spleen의 경우 18.88%와 31.83%로 다소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