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cosal mast cell responses to experimental Metagonimus yokogawai infection in rats

요꼬가와흡충 감염에 대한 흰쥐 장 점막 비만세포의 반응

  • 채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김태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풍토병연구소, 인하대하?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Intestinal mucosal mast cell (MMC) responses were studied in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ngonimur yokogawai (Dlgenea: Heterophyidael. Twenty Sprague-Dawley rats were fed each 2,500 metacercariae isolated from the sweetish and sacrificed on the week 1, 2, 3 and 4 post-Infection (PI). Recovery of worms was perform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each rat. To visualize the MMCs, duodenal and jejunal (upper, middle and lowers) tissue sections were made and stained with alcian blue/safranine-0. The average worm recovery rates were 16.2% and 13.8% on the week 1 and week 2, respectively, but they decreased rapidly to 4.1% and 4.2% on the week 3 and week 4 PI, respectively, which indicate spontaneous worm expulsion after the week 2. The MMC number In the Infected rats was, compared with uninfected control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hole small intestine, through the whole period of observation. The peak level of mastocytosis was observed on the week 3 PI.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MMCs might be involved In the expulsion process of flukes from the rat intestine.

장 점막 비만세포(mucosal mast cells)는 여러 장 질환을 비롯하여 기생충 감염증 등에서 증가함이 잘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에 흔한 인체 장흡충류인 요꼬가와흠충 감염에 있어서는 연구가 없었다. 이 연구는 흰쥐의 실험적 요꼬가와흡충증을 모델로 하여 감염 후 충체가 자연 치유되는 약 4주 동안 충체 회수율의 변화 및 장 점막 비만세포 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한 것이다. Sprague-Dawley계 흰쥐 1마리당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2,500개씩을 총 20마리에 감염시켰고(비감염 흰쥐 6마리를 대조군으로 둠), 감염 1, 2, 3, 4주 후에 각각 5마리씩 회생시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장 점막 비만세포는 흰쥐의 십이지장, 공장 상부, 중부 및 하부로부터 조직을 채취하여 Carnoy액에 고정한 후 절편을 만들고 alclan blue(pH 0.3)/safranfne-0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충체 회수율은 감염 1주 및 2주에 평균 16.B% 및 13.8%, 3주 및 4주에 각각 4.1% 및 4.2%로 나타나, 감염 2주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3-4주에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비만세포의 수는 감염 1주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3주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다가 4주째에 약간 감소하였다. 십이지장, 공장 상 부, 중부 및 하부의 부위에 따른 비만세포 수의 차이는 얼었다. 충체 회수율과 비만세포 수의 변화 양상을 비교해 볼 때, 비만세포가 충체 회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에 맞추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므로 충체 배출과 관계되는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