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 활엽수림 조성을 위한 특수림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천연림 보육을 위한 시업적용 I -

Studies on the Forestation of Useful Broad Leaf Tree and the Development of Some Special Trees - Practice Application for Tending of Natural Forest I -

  • 투고 : 1993.08.13
  • 발행 : 1993.12.31

초록

천연 활엽수림은 그 경제적, 조림학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그에 대한 시업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임목의 보육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지치기 기술 개선에 있어 보다 명확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굴참나무 천연림의 수관구조 및 물질생산구조를 해석하고 그 자료를 기초로 이에 대한 가지치기 방법을 검토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지의 착지부위 즉, 지하고는 수고 및 직경과의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지하고의 높이는 거의 비슷한 높이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엽량의 최대층과 가지량의 최대층은 거의 같은 층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가지 성장량의 최대층은 이보다 상부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옹이 없는 간재 생산에 대한 가지의 공헌도는 하층부에서 상층부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가지치기에 대한 응용 지표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가지의 착엽 부위와 미 착엽 부위와의 비율을 수관의 형태적 지표로 삼아 적용하는 방법 모색과, 수관의 길이를 기준으로 일정한 지하고에서 가지치기를 행하는 방법에 관해 검토하고 이에따른 수관의 각 기관에 대한 제거율 등을 구하였다.

In spite of the economical and sivicultural importance, tending methods of natural broad leaf tree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the structure of crown and biomass of Quercus variabilis were analyz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pruning practice. There was not correlated between clear length of sample tree and tree height and D.B.H. The stratum with the largest leaf and branch weight was lower part of the stratum with the largest branch increment.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branch to knotless trunk production (${\Delta}{\omega}_B(Z)/{\omega}_B(Z)$ and ${\omega}_L(Z)/{\omega}_B(Z)$) decreas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data to pruning practice, the author attemp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runing with this experimental stand. Two methods of pruning were investigated. One is the removal of branches according to a definite external indication such as clear length rate of branch, and the other is the removal of barnches according to a definite heigh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