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흰쥐 정관의 수축성에 미치는 Octreotide의 영향

  • Jang, Sun-Ae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won, Oh-Cheol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 Jeoung-Hee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g-Yo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Won-Joon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장선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권오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하정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이광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김원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rat vas deferens. The smooth muscle strips isolated from the prostatic portion were myographied in isolated organ bath, Electric field stimulation (monophasic square wave, duration: 1 mSec, voltage : 50 V, frequency : 5 Hz or 30 Hz, train: 10 Sec) produced reproducible contraction. The contraction was composed of two component, first phasic component (FPC) and second tonic component (STC). These contractions were abolished by tetrodotoxin ($1{\mu}M$). Octreotide inhibited the field stimulation induced contractions both FPC and STC concentration-dependently. The FPC was decreased by a desentization of purinergic receptor by pretreatment of mATP, and the STC was decreased by pretreatment of reserpine(3 mg/kg, IP) 24 hours before experiments. Octreotide reduced the field stimulation induced contraction in the presence of mATP and of reserpinized muscle strips. The inhibitory effect of octreotide was more potent at 5 Hz than at 30 Hz. Octreotide did not affect basal ton and exogenous norepinephrine- or ATP-induced con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treotide inhibit the contractility of the isolated rat vas deferens by inhibition of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both ATP and norepinephrine from adrenergic nerve terminal.

Octreotide는 somatostatin 동족체로서 8개의 aminoacid로 구성된 합성 polypeptide이다. 이는 외분비선과 내분비선, 특히 위의 분비기능과 췌장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며 somatostatin에 비하여 체내 반감기가 길고 장기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출혈, 급성췌장염, 그리고 소화기관의 분비선에 나타나는 종양의 치료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somatostatin이 말초 교감신경에 존재하며, 신경전달인자 또는 신경조정인자로서 작용할것이라는 보고와 임상적용시 혈압과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흥미를 가지고 그 유도체인 octreotide가 말초 교감신경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흰쥐 (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험조에 현수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흰쥐 적출정관은 전기장 자극(duration : 1 mSec, voltage: 50 V, frequency: 5 Hz or 30 Hz, train: 10 Sec)에 대하여 first phasic component (FPC)와 second tonic component (STC)로 구성된 수축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축반응은 tetrodotoxin($10^{-6}M$) 전처치로 소실되었다. Octreotide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반응을 FPC, STC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24 시간 전에 reserpine(1 mg/kg, IP)을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을 고갈시킨 흰쥐에서 적출한 정관 절편과 beta-gamma-methylene ATP를 전처치하여 퓨린성 수용체를 탈감작시킴으로써 ATP의 작용을 배재한 정관절편의 전기장 유발 수축을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octreotide의 모든 수축 억제 작용들은 5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30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octreotide는 정관 절편의 기본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외부에서 첨가한 norepinephrine과 ATP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octreotide는 흰쥐적출 정관의 교감신경성 신경원으로부터 ATP와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그 수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