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4. Browning of Ascidian meat, Halocynthia roretzi and Its Prevention-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4. 우렁쉥이 육의 갈변 및 그 방지-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Ho-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Dong-Soo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HONG Byeong-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Cheon-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Min-G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강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호성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동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 홍병일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박천수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민기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Browning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meat occurres very rapidly when skinned off or cut during processing and it resulted the quality loss of fresh frozen, dehydrated or fermented products. In this study, the causes of color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browning were experimented. The browning of ascidian meat may be occurred enzymatically by a tyrosinase contained in meat and viscera which acted specifically on L-tyrosine as a substrate rather than on catechol. Activity of the enzyme in viscera was three times higher than in meat.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n the tyrosinase activity of crude enzyme obtained from ascidian was 6.0 and $30{\sim}35^{\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inactivated heating at $80^{\circ}C$ for 3 minutes or $90{\sim}100^{\circ}C$ for 1 minute and it was inhibited by $0.1{\sim}0.5mM$ solutions at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cystein, citric acid, cyanide but only sodium hydrogen sulfite treatment was effective to retard such a high content of enzyme as in case of viscera. In practical use for processing of ascidian meat browning was retarded by dipping the viscera removed ascidian meat in 0.2M citric acid for 5 minutes or $0.2\%$ sodium hydrogen sulfite solution for 1 minute resulting in sulfur dioxide residue less than 100 ppm.

최근 과잉생산단계에 이르고 생식이외의 소비방법이 없는 우렁쉥이는 봄부터 여름 사이에 집중적으로 대량출하되므로서 선도의 보존과 소비에 한계가 들어나고 있다. 또한 젓갈 등의 제품가공시에는 처리중에 일어나는 변색 즉 갈변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갈변의 원인을 밝히고, (2)그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반응요인, 그리고 (3)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방법 등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1. 우렁쉥이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액을 L-tyrosine과 catechol을 기질로 하여 polyphenol ox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L-tyrosine의 경우 육과 내장에서 20.6 및 63.5 unig/mg의 비활성도를 각각 나타냈으며 특히 내장의 경우가 육보다도 3배정도 높았다. 이 결과 보아 갈변의 주된 원인이 tyrosinase의 작용이 아닌가 추정된다. 2. 우렁쉥이 조효소액의 tyrosinase활성 최적 pH는 6.0, 최적온도는 $30^{\circ}C{\sim}35^{\circ}C$였으며, 열안정성은 $70^{\circ}C$에서 9분, $80^{\circ}C$에서 3분 그리고 $90^{\circ}C$$100^{\circ}C$에서 1분 처리로 완전히 실활하였다. 3. 효소활성 저해효과에 있어서 육의 경우 0.5mM의 농도에서는 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cystein, citric acid, cyanide 등이 효과가 있었고, 0.1mM의 농도에서 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cystein만이 유효하였다. 그러나 내장의 경우와 같이 효소활성이 클 때는 sodium bisulfite만이 tyrosinase활성을 저해했다. 4. 갈변방지를 위하여 산, buffer, sulfite, 기타 갈변억제처리 효과를 검토한 결과 0.2M citric acid에 5분, 또는 $0.2\%\;NaHSO_3$에 1분 침지한 것이 갈변방지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젓갈 등의 가공제품의 개발에 있어서도 유용한 전처리 방법이라 생각되었다. 또 $0.2\%\;NaHSO_3$에 1분 침지한 경우의 잔존 $SO_2$양은 100 ppm 이하였으며 $NaHSO_3$에 침지후 상온숙성의 경우는 약 30일 정도, 저온숙성의 경우는 50일까지 갈변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