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zation of Ascidian, Holocynthia roretzi -5.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I)-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5.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 I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Ho-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Do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RYUK Ji-H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Young-J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SUH Jae-Soo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oshin University) ;
  • KIM Dong-Soo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이강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호성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동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육지희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영제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서재수 (고신대학 식품영양학과) ;
  • 김동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In this study fermentation of fresh ascidian was attempted to widen the utility of ascidian. Fresh deshelled and sliced ascidians were fermented for 90days at $25^{\circ}C$ with different salt contents of 5, 10, 15 and $20\%$ (w/w) and at $5^{\circ}C$ with 5 and $10\%$ salt. Changes of such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as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 related compounds, volatile basic nitrogen(VBN), trimethyl amine(TMA), amino nitrogen and total creatinine were determined. VBN increased rapidly after 30days of fermentation at $25^{\circ}C$ while slowly in cases of fermentation at $5^{\circ}C$ an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Amino nitrogen and the total creatinine also increased gradually until 45 days and 30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hereafter tended to decrease. ATP and ADP seemed to degrade rapidly in fresh ascidian post harvest and AMP, IMP and inosine also degraded down to hypoxanthine during fermentation. After 45days of fermentation,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fermented ascidian were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histidine, lysine, alanine and valine in order. The amino acids known as sweetner like prolline, lysine, alanine and glycine were in increased in fermented ascidia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 pretreated with acid or sulfite solution showed that the peculiar taste and flavor of ascidian remained without browning for 45days fermentation at $5^{\circ}C$.

우렁쉥이는 독특한 맛과 향기 때문에 옛부터 줄곧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근년 들어 양식 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양식 면적의 확대로 연안 어민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우렁쉥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조미가공품, 냉동품 등 새로운 제품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시 대량으로 수확하고 있는 우렁쉥이의 유효 이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렁쉥이 젓갈의 상품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숙성 기간중 VBN의 변화는 식염 농도 $5\%$인 경우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여 10일경에 부패취에 도달하였으며 30일후 VBN값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식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VBN생성은 억제되었다. 또한 저온숙성($5{\pm}1^{\circ}C$)시킨 시료의 VBN함량은 상온 숙성($25{\pm}1^{\circ}C$)보다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2. TMA함량의 변화는 식염 농도 $5\%$ 상온 숙성에서 30일경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염 농도가 높을수록, 저온 숙성일수록 그 증가폭은 낮았다. 3. 총 creatinine함량의 변화는 숙성 30일까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염농도가 높을수록, 저온 숙성일수록 그 증가폭은 낮았다. 4. 아미노 질소는 상온과 저온 모두 숙성 3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숙성 50일경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5. 원료 우렁쉥이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histid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serine의 순서로 함량이 많았으며, 이 중에서 taurine 및 aspartic acid가 각각 $30.4\%$$24.9\%$를 차지하였다. 45일 숙성후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이 가장 많았고 proline, glutamic acid, lysine, histidine, valine, alanine순으로 나타났다. 6. 관능 검사 결과 식염 농도 5, 10 및 $15\%$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숙성시킨 경우는 숙성 $10{\sim}40$일경에 악취 발생, 곰팡이 및 흰점질물이 생성되었으나 식염 농도 $20\%$ 상온 숙성 및 저온에서 5, $10\%$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경우는 숙성 50일까지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냄새를 느낄 수 있었다. 7. 전처리후 제조한 젓갈의 관능 검사 결과, 저온 숙성구에서는 45일간 갈변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냄새와 맛이 지속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