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y of Acanthochondria yui(Copepoda, Poecilostomatoida)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flavimanus in Wando Islands, Korea

완도산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의 생태

  • SUH Hae-Lip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M Jae-Duk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ang-Duk (Yosu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Monthly changes in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levels of a parasitic copepod Acanthochondria yui(Poecilostomatoida, Chondracanthidae)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studied for a year from April 1990 to March 1991. This parasite was not found on the fish for four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Prevalence of the parasite increased from $2.9\%$ in January to $88.9\%$ in June. Relative density and mean intensity also increased from January to June. Prevalence of A. yui increased with host size. A. flavimanus samples were never found carrying A. yui larvae of three copepodid stages(CI to CIII), although a few CIV and CV larvae were identified from April and May samples. This indicates that A. flavimanus was not the sole host of A. yui. Adult females and copepodites of A. yui were usually found in the gill arch($74.8\%$) and gill filament($80.6\%$),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copepodites select the gill filament as the most suitable place on their host A. flavimanus, and the adult females move toward the gill arch.

1990년 4월부터 1991년 3월까지 1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에 널리 분포하는 저서어류인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이 출현 및 감염 수준의 월변동을 조사하였다. A. yui는 9월${\sim}12$월(4개월)은 나타나지 않았다. 감염률은 1월에 $2.9\%$에서 6월에 $88.9\%$까지 증가하였다. 상대 감염밀도와 평균 감염강도 역시 1월에서 6월까지 증가하였다. A. yui의 감염률은 숙주의 크기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4월과 5월에 채집된 문절망둑에서 CIV와 CV 유생이 약간 발견되었고 $CI{\sim}CIII$ 유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문절망둑이 A. yui의 유일한 숙주가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A. yui의 암컷 성체와 copepodid기 유생은 각각 아가미 활($74.8\%$)과 아가미필라멘트($80.6\%$)에서 대부분 발견되었다. 이것은 copepodid기 유생이 숙주에서 가장 적합한 부착부위로 아가미 필라멘트를 선택하였고, 성체가 되면서 아가미 활로 이동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