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n the Copepods in the South Sea of Korea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요각류에 관한 고찰

  • 김웅서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유재명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명철수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Ec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the copepods were reviewed in order to dake data bases on the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distributional pattern,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pepods in the South Sea of Korea. Total 179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this area.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and embayments, such as Acartia clausi, Paracalanus parvus, Oithona similis, and Oithona nana, were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the offshore waters around Cheju Island. Indicator species of the South Sea we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Copepod abundances were higher in the coastal waters, up to more than 390,000 individuals/$m^3$(collected with a $150{\mu}m$ mesh net), than in the offshore waters. There were two types of temporal variations in copepod abundances in the coastal waters, i.e., bimodal abundance peaks in spring and fall, md unimodal peak during summer to early fall.

한국 남해에서 출현하는 요각류에 대한 현재까지 발표된 분류학과 생태학 논문들을 대상으로, 요각류의 종조성, 개체수, 분포, 계절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 179종의 요각류가 동정되었으며, 연안역과 내만역의 우점종들은 Acartia clausi, Paracalanus parvus, Oithona similis, and Oithona nana 등이었고, 이는 제주도 부근의 외양에서 발표된 우점종들과는 상이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남해에 출현하는 지표종들에 관해서도 토의를 하였다. 요각류의 개체수는 일반적으로 외양역보다는 연안역에서 최대 평균 390,000개체/$m^3$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요각류의 계절별 개체수 변화에는, 주로 춘계와 추계에 각각 개체수 극대치가 나타나는 유형과, 하계에서 추계에 걸쳐 극대치가 나타나는 두가지 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