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vitro에서 메밀 다당분획이 casein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ckwheat Polysaccharides on the Digestibilty of Casein in vitro

  • 손흥수 (고려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 이정선 (한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 라경수 (대구공업전문대학 식품영양학과) ;
  • 곽재혁 (고려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발행 : 1995.12.31

초록

본 실험에서는 메밀에서 추출한 다당분획이 in vitro에서 casein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처리방법(날것, 볶은것, 찐것)을 달리한 메밀로부터 추출한 다당중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LMI-P)이 in vitro에서 trypsin에 의한 casein의 가수분해율을 각각 $80{\sim}89%$, $69{\sim}99%$ 감소시켰으며, 분자량 10,000 이하의 저분자 가용성다당(LMS-P)은 $5{\sim}7%$ 감소시켰다. Chymotrypsin에 의한 가수분해율은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에서 각각 $63{\sim}88%$, $71{\sim}79%$이였으며 저분자 가용성다당은 $2{\sim}5%$였다. Casein 가수분해율을 현저히 감소시킨 볶은 메밀로부터 추출한 다당을 casein과 흔합하여 trypsin과 chymotrypsin으_로 각각 가수분해시킨 후 가수분해산물을 Sephdex G-100 column에 통과시켰다 Casein만 가수분해시켰을 때와 저분자 가용성다방(LMS-P)을 첨가했을 때에 가수분해물은 total volumne에서 1개의 peak가 용출되었으나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LMI-P)에서는 void volumne에서 고분자량의 peptide peak가 1개 더 용출되었다. Casein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의 구조를 분식한 결과 주로 1,4결합의 gluc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1,6결합의 glucose와 단일 glucose도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메밀로부터 추출한 고분자 가용성다당분획에 의한 casein 가수분해율의 감소는 다당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괌자량 10,000이상의 수용성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luble polysaccharides and indigestible polysaccharides on the digestibility of casein in vitro and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The digestibility of casein by trypsin in vitro was reduced to $80{\sim}89%$ and $69{\sim}99%$ by high molecular soluble polysaccharide (HMS-P) and low molecular insoluble polysaccharide (LMI-P) prepared from buckwheat, respectively. The digestibility of casein by chymotrypsin was reduced to $63{\sim}88%$ and$71{\sim}79%$ by HMS-P and LMI-P, respectively. But casein digestibiliy by trypsin and chymotrypsin was slightly reduced by LMS-P. The casein hydrolyzates inhibited by HMS-P gave a main peak in the void volume on Sepadex G-100, but the peak in the total volume was only appeared in case of LMS-P having no inhibito교 effect. It was suggested that the HMS-P was consisted of 4-linked and 4,6-dissubstituted glucose from the structural analysis by G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