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rmation regi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of O/W microemulsion

O/W형 microemulsion의 생성영역과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in four-component O/W microemulsion system on its formation region, droplet size and stablilty. The results was that the more number of OH site, the shorter carbon chain length of polyol, the larger formation region of microemulsion was showed. The small microemulsion droplet was ob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olatry of oil was large and carbon chain length of hydrophobic group of surfactant was long. In using satrated hydrocarbon (such as liquid paraffin, squalane) as dispersed phase, the stability of microemulsion was better than aromatic oil phase.

본 연구에서는 ME의 각 성분의 구조가 그들의 생성영역, 입자의 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surfactant로서 POE sorbitan fatty acid 계를 사용하였고, oil로는 포화탄화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 방향족계열인 alkyl benzoate, Isostearyl benzoate를 그리고 cosurfactant로는 glycerine, propylene glycol, sorbitol, 1, 3-butanediol을 사용하여 4성분계 ME을 제조하고, 이 계에서 cosurfactant의 구조적 특성이 ME 생성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리고 oil과 surfactant의 구조 특성이 제조된 ME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 cosurfactant로 polyol류를 사용했을 때, polyol 분자 중 탄소가 같은 경우 OH수가 많을 때, OH기 수가 같을 경우 탄소수가 적을 때 ME생성영역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된 ME의 입자 크기를 비교했을 때 oil의 극성이 클수록, surfactant 소수부분의 alkyl chain의 탄소수가 클수록 입자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분산상으로 사용된 oil 중 alkyl benzoate나 Isostearyl benzoatbenzoate 에 비해서 포화탄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으로 구성된 ME의 경시 안정성이 더 양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