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y and swelling property of chitosan microapsules and microbeads prepared by W/O emulsion

W/O 에멀젼에 의한 chitosan microcapsule 및 microbead의 morphology와 팽윤성

  • 하병조 ((주)태평양 기술연구소) ;
  • 이옥섭 ((주)태평양 기술연구소, (주)태평양 기술연구소,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Chitosan microcapsules and microbeads were prepared by W/O emulsion method, and their morphologies were observed through SEM. The microcapsules have skin layer of 8 Um and 250 Um of mean diameter, The swelling test showed higher s welling ability in protic solvents than in aphotic solvents. After containing moth-yl violet in the microcapsules, the release patter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 wed that the addition of Iysozyme in pH 5.1 acetate buffer accelerated the re-lease rate. In case of the microbeads, the mean diameter was about 70 Um. The surface of the microbeads showed porous structures. The swelling ability of the beads revealed two times higher than the one of the microcapsules.

키토산 마이크로캡슐 및 마이크로비드를 W/O emulsion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SEM을 통해 이들의 morphology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은 SEM을 통해 관찰한 결과 약 8$mu extrm{m}$ 정도의 표피층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균 입자의 크기는 약 250$\mu\textrm{m}$ 이였다. 마이크로캡슐의 팽윤부피를 측정한 결과 양성자성 용매가 비양성자성 용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팽윤성을 보였다. 또한 메칠바이올렛을 함유시킨 후 그 방출거동을 pH 변화 및 라이소자임 첨가에 따라 관찰한 결과, pH 5.1에서 라이소자임 첨가시 방출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W/O emulsion법에 의해 제조한 마이크로비드의 경우 70$\mu\textrm{m}$정도의 크기를 보였으며 다공성의 표면구조를 나타내었다. 용매 종류별 팽윤성을 측정한 결과 수용액에서 마이크로캡슐에 비해 2배 이상의 팽윤부피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