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Chiri

지리산(智異山) 구상나무임분(林分)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치수(稚樹) 발생(發生) 및 생육(生育) 동태(動態)

  • Chung, Jae Min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l University) ;
  • Lee, Soo Won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Lee, Kang Young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l University)
  • 정재민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 이수원 (임업연구원) ;
  • 이강영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Received : 1995.08.26
  • Published : 1996.03.3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effects of canopy degree(gap or purlieu to 25%, 50%, 75%, over 75%) of the overstory on seedling regeneration and survivorship, and sapling density, growth and growth type of Abies koreana in subalpine of Mt. Chiri. The stem density in Abies koreana stand was higher in middle story than upper story, individual trees in upper story occupied larger area and were more apart, resulted in uniform distribution. The regeneration and survivorship of seedlings and saplings were best in 25% of crown closure, in order of 50%, gap, but lowest in over 75% of crown closure. The annual growth rate and recent 5 years growth rate of saplings were highest in gap or purlieu and getting lower toward gradually higher coverage of overstory. And 10- to 20-Year-old saplings were mainly regenerated in stands with lower density(I or II), but most of 20 to 30 years old saplings were growing in stands with higher density (III or IV). The number of "A" type saplings grown normally in gap or purlieu was gradually decreased in stand with higher density but the number of "D" or "E" types of which growth was supressed or prohibited by the high density was abruptly increased. Saplings normally growing in the gap and purlieu showed the panicle type, but those grown under dense crown were greatly suppressed and showed the umbellate type.

본(本) 연구(硏究)는 지리산(智異山)의 아고산대(亞高山帶)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구상나무 임분(林分)에 대한 식생구조(植生構造)와 상층(上層)의 피도(被度)에 따른 유묘(幼苗)와 치수(稚樹)의 발생(發生)과 생육동태(生育動態)를 조사(調査)하였다. 구상나무 임분(林分)의 밀도(密度)는 상층(上層)보다 중층(中層)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면속(平均面續), 개체간(個體間)의 거리(距離)에서는 상층(上層)이 높았으며, 그리고 상층(上層)은 규칙분포(規則分布)를 하고 있었다. 상층(上層)의 피도(被度)에 따른 유묘(幼苗)와 치수(稚樹)의 발생밀도(發生密度)는 25% 내외(內外)의 약도(弱度)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50% 내외(內外)의 중용도(中庸度), 임분(林分)의 측방순(側方順)이였으며, 75% 내외의 강도(强度) 임분(林分)에서는 가장 낮았다. 그리고 치수(稚樹)의 연년생장량(連年生長量)과 최근 5년간(年間)의 생장량(生長量)은 측방(側方)의 임분(林分)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상층(上層)의 울폐도(鬱閉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저하(低下)되였다. 상층(上層)의 피도(被度)가 낮은 임분(林分)에서는 10-20년생(年生)의 치수(稚樹)가 많았고, 상층(上層)의 피도(被度)가 높은 임분(林分)에서는 20-30년생(年生) 치수(稚樹)가 많았다. 상층임분(上層林分)의 측방(側方)에서 정상적으로 생장(生長)하는 A형(型)은 임내(林內)의 울폐도(鬱閉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극히 감소(減少)하였고, 반면 피압(被壓)에 의한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거나 중지(中止)된 D, E형(型)의 출현율(出現率)은 급격히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상층목(上層木)의 측방(側方) 또는 gap에서는 정상적으로 자라 원추형(圓錐型)의 수형(樹形)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상층목(上層木)의 피도(被度)가 높아질수록 치수(稚樹)는 피압(被壓)되어 가지의 간격이 좁고 정단부(頂端部)의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된 산형(傘型)의 치수(稚樹)가 증가(增加)되고 있었다.

Keywords